• 제목/요약/키워드: Bond length

검색결과 485건 처리시간 0.023초

Study on shear fracture behavior of soft filling in concrete specimens: Experimental tests and numerical simulation

  • Lei, Zhou;Vahab, Sarfarazi;Hadi, Haeri;Amir Aslan, Naderi;Mohammad Fatehi, Marji;Fei, Wu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85권3호
    • /
    • pp.337-351
    • /
    • 2023
  • In this paper, the shear behavior of soft filling in rectangular-hollow concrete specimens was simulated using the 2D particle flow code (PFC2D). The laboratory-measured properties were used to calibrate some PFC2D micro-properties for modeling the behavior of geo-materials. The dimensions of prepared and modeled samples were 100 mm×100 mm. Some disc type narrow bands were removed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model and different lengths of bridge areas (i.e., the distance between internal tips of two joints) with lengths of 30 mm, 50 mm, and 70 mm were produced. Then, the middle of the rectangular hollow was filled with cement material. Three filling sizes with dimensions of 5 mm×5 mm, 10 mm×5 mm, and 15 mm×5 mm were provided for different modeled samples. The parallel bond model was used to calibrate and re-produce these modeled specimens. Therefore, totally, 9 different types of samples were designed for the shear tests in PFC2D. The shear load was gradually applied to the model under a constant loading condition of 3 MPa (σc/3). The loading was continued till shear failure occur in the modeled concrete specimens. It has been shown that both tensile and shear cracks may occur in the fillings. The shear cracks mainly initiated from the crack (joint) tips and coalesced with another one. The shear displacements and shear strengths were both increased as the filling dimensions increased (for the case of a bridge area with a particular fixed length).

MZ세대의 패션상품 구매채널여정 유형화와 특징 비교 (A comparison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urchase channel journey of fashion products in the MZ generation)

  • 이정우;김미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30권5호
    • /
    • pp.656-67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and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urchase channel journeys of MZ generation consumer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urchase channel journey of 20 women in the MZ generation using the ethnographic method of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As a result, three purchase channel journeys were identified: mobile, multi-channel, and offline. These were variously subdi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s. Gen Z's journey was categorized into types: fashion platform app, Youtube, multi-channel supplement, multi-channel non-planned store visit, offline loyalty store, and impulsive offline store. Gen M's journey was categorized as: an online community bond, portal site, online loyalty store, multi-channel brand involvement, multi-channel efficiency, a multi-channel conversion, offline efficiency and offline task. The difference in mobile journey between generations was found in the time and length of the purchase. Gen M recognized both online and offline search processes to be tiring, while Gen Z enjoyed the search process using the online path. In the offline journey Gen Z began with their own intention to purchase, while Gen M sometimes recognized that purchasing fashion products necessary for work was a cumbersome task.

Selected Properties of Particleboard Made from Sugar Palm (Arenga pinnata) Dregs

  • Faza AISYADEA;Greitta Kusuma DEWI;Ragil WIDYORINI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5호
    • /
    • pp.334-344
    • /
    • 2023
  • Dregs from the sugar palm (Arenga pinnata) starch industry are considered a waste product of the agricultural industry and have not yet been optimally utiliz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manufacture particleboards from dregs using different amounts of adhesive and particle size ratios. Sugar palm dregs, which had been separated into fibers and powder/fine particles, were used as raw material for making particleboards. The fiber had an average length of 6.84 ± 3.23 cm, while the fine particles were of a size that passed through size 10 mesh and remained in size 60 mesh. Three ratios of fiber to fine particles (100:0, 75:25, and 50:50 wt%) with three different amounts of sucrose-citric acid adhesive (10, 15, and 20 wt%) were used in this study. Increasing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and the resin content can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and the internal bond strength of boards made from sugar palm dregs. The fine particles possibly filled the gap between the fibers in the particleboard, while the fibers exhibited a high bending strength. As a result, a high-performance particleboard can be attained by combining the composition ratio of fiber/fine particles and resin content. In this study, particleboards made from fiber/fine particles (75:25 wt%) and adhesive content of 15 wt% and 20 wt% had the mechanical properties that met the requirements of Japanese Industrial Standard (JIS) A 5908 type 18. Sugar palm dregs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as raw materials to create value-added particleboards.

펄스방전 그라운드 앵커의 확공특성 및 극한인발력에 관한 연구 (Expansion Ratio and Ultimate Load of Pulse-Discharge Bulbed Anchors)

  • 김낙경;김성규;주용선;서효균;김선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7호
    • /
    • pp.5-10
    • /
    • 2009
  • 느슨한 사질토나 연약 점토층에서는 큰 앵커 극한인발력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앵커공법이 잘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앵커 천공 홀을 다양한 방법으로 확공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술로 인하여 느슨한 사질토 및 연약 점토에서 비교적 큰 극한인발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짧은 시간에 방전시키는 펄스방전 공법은 앵커 정착장을 천공 케이싱 또는 비트 직경보다 크게 확공시키는 공법이다. 총 24공의 앵커를 성균관 대학교 지반시험장 풍화토 및 모래질 점토층에 시공하였다. 극한인발력과 앵커 확공비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AASHTO에서 규정하고 있는 시험방법으로 인발시험이 수행되었으며 펄스방전에 의해 확공된 앵커의 직경을 확인하기 위해 7공의 앵커를 굴착하였다.

Microleakage and characteristics of resin-tooth tissues interface of a self-etch and an etch-and-rinse adhesive systems

  • Xuan Vinh Tran;Khanh Quang Tra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6권2호
    • /
    • pp.30.1-30.13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microleaka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sin-tooth tissue interface between self-etch and etch-and-rinse adhesive systems after 48 hours and 3 months. Materials and Methods: 40 extracted premolar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2 groups: 1-step self-etch adhesive system - OptibondTM All-In-One, and 2-step etch-and-rinse adhesive system - AdperTM Single Bond 2. Both groups were subjected to 500 thermocycles (5℃-55℃) befor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alysis or microleakage trial at 48-hour and 3-month time periods. Results: SEM images showed the hybrid layer thickness, diameter, and length of resin tags of the self-etch adhesive (0.42 ± 0.14 ㎛; 1.49 ± 0.45 ㎛; 16.35 ± 14.26 ㎛) were smaller than those of the etch-and-rinse adhesive (4.39 ± 1.52 ㎛; 3.49 ± 1 ㎛; 52.81 ± 35.81 ㎛). In dentin, the microleakage scores of the 2 adhesives were not different in both time periods (48 hours/3 months). However, the microleakage score of etch-and-rinse adhesiv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3 months (0.8 ± 0.63 and 1.9 ± 0.88, p < 0.05). Conclusions: The self-etch adhesive exhibited better long-term sealing ability in dentin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etch-and-rinse adhesive. The greater hybrid layer thickness and dimensions of resin tags did not guarantee reliable, long-lasting sealing in the bonding area.

영구 앵커의 구조적 안정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the Structural Stability of Permanent Anchor)

  • 유남재;박병수;박찬덕;홍영길;이종용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87-98
    • /
    • 2006
  • 본 연구는 풍화암에 근입된 영구 앵커의 극한인발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실규모 인발시험을 실시한 실험 결과이다. 현장 실물 실험에서는 정착길이가 다른 4개의 앵커에 대한 하중-변위 곡선으로부터 극한인발력을 산정하였다. 또한, 앵커의 수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단계별 최대하중에서 15분 동안의 크리프 시험을 실시하여 극한하중까지의 크리프치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풍화암에 근입된 영구 앵커의 파괴메카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지표면에 다이얼게이지를 설치하여 하중 변화에 따른 지반의 파괴 거동 범위를 측정하였다.

아라미드섬유쉬트로 휨 보강된 RC보의 부착파괴 방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to Prevent Debonding Failure of RC Beams Strengthened by AFRP Sheet)

  • 최기선;유영찬;김긍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5호
    • /
    • pp.144-15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아라미드섬유쉬트로 휨 보강된 RC 보의 파괴양상을 분석하고, 부착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아라미드섬유쉬트의 부착파괴 방지상세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총 5개의 실험체를 제작 실험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기존에 사용되어온 단순부착식이나 단부 U보강상세를 적용한 실험체는 아라미드섬유쉬트의 재료변형률보다 낮은 변형률에서 부착파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중앙부 U보강상세와 에폭시 전단키를 적용한 실험체는 아라미드섬유쉬트의 부착파괴를 억제함으로써 충분한 보강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랫 플레이트 구조에서 전단보강체의 정착성능에 따른 전단보강효과 (The Effect of Anchorage with Shear Reinforcement in Flat Plate System)

  • 최창식;배백일;최윤철;최현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667-675
    • /
    • 2012
  • 플랫 플레이트는 실의 배치가 지속적으로 바뀌는 오피스와 같이 유연한 공간의 배치를 위해 그 사용처가 증가하고 있다. 플랫 플레이트 구조를 사용함에 있어서 실무에서의 주요 문제는 슬래브-기둥 접합부에서 발생는 뚫림 전단 파괴에 대한 적절한 보강을 해주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플랫 플레이트 구조의 내부 슬래브-기둥 접합부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세 가지의 특수한 전단 보강근이 구조물 전체의 파괴를 유발시킬 수 있는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취성적인 뚫림 전단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총 네 가지의 프랫 플레이트 실험체가 수직 방향의 단조 가력에 의해 수행되었다. 전단 보강근은 뚫림 전단강도를 높여주는 역할과 취성파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해 주었다. 수행된 실험에서 전단보강근이 충분한 정착길이를 확보하지 못하여 전단보강근의 항복 이전에 파괴가 일어났다. 실험 결과를 통한 FE 모델의 검증이 이루어졌으며 검증된 FE 모델을 통해 전단보강근의 부착 성능에 대한 변수 분석이 수행되었다. 주요 변수는 슬래브의 두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였으며 전단보강근의 성능을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소규모 철골조 노출형 주각부의 반복가력 실험 (Cyclic Loading Test for Exposed Column-base Plate Connections of Small-size Steel Structures)

  • 임우영;유영찬;유미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34-4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철골조에 대한 기존 건축물의 접합부 현황조사와 분석을 통해 노출형 주각부에 대한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총 9개의 주각부에 대한 반복가력 실험을 통해 휨강도, 변형능력, 그리고 초기강성 등이 조사되었다. 실험의 주요 변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 앵커볼트의 개수와 매립깊이, 앵커볼트 후크의 유무, 그리고 리브 플레이트의 유무이다. 본 실험결과에 의하면, 주각부의 휨거동은 앵커볼트의 개수와 매립깊이,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주각부에 설치된 리브플레이트는 휨강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노출형 철골 주각부와 기초부 그리고 앵커볼트 등이 모두 현행 구조기준을 만족한다고 할지라도, 앵커볼트와 기초부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력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슬립형 거동이 관측되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앵커볼트의 매립깊이가 현행 구조기준을 만족하고, 앵커볼트에 후크가 설치된 경우, 노출형 주각부의 초기강성은 주각부가 구속되었을 때의 휨강성 하한값의 약 1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SD600 철근의 B급 겹침 이음에 대한 현행설계기준의 적용성 (Applicability of Current Design Code to Class B Splice of SD600 Re-Bars)

  • 최원석;정란;김진근;박홍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49-459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SD600 철근 B급 이음에 대한 현행 설계기준의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실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단순 지지된 12개의 B급 겹침 이음 실험체에 단순 증가 하중을 가하여 실험하였다. 주요 변수는 겹침 이음 철근직경, 콘크리트 피복 두께, 콘크리트 강도, 횡보강 철근 간격이다. 콘크리트는 24 MPa의 보통 강도 콘크리트와 60 MPa의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였다. 대부분의 실험체는 현행 설계기준의 B급 이음 길이를 만족하도록 설계하였다. 실험에서 발현된 철근 응력의 평균을 현행 KCI설계기준의 예측 철근 응력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하여 SD600 철근에 대한 현행 설계기준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현행 설계기준은 모든 D13 겹침 이음과 횡보강 철근이 배치된 D22, D32 겹침 이음에 대하여 안전측이었다. 직경 D22 이상 철근의 겹침 이음은 횡보강 철근의 사용이 권장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D22, D32 철근의 겹침 이음은 안전한 경향성을 보였으나, 확실한 검증을 위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