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lting Respons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초

종자처리에 의한 상추 품종간 추대반응 차이 (Bolting Response of Various Lettuce Cultivars Affected by Seed Treatments)

  • 황현정;이정명;안종문;김세영;최근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25-331
    • /
    • 2007
  • 본 실험은 상추의 춘파재배 시 종자의 건열처리 및 저온 처리에 따른 상추품종의 반응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추대반응은 저온처리, 무처리 및 건열처리 순으로 빨랐다. 초장은 저온처리에 의해 5-10 cm 가량 더 커졌으나 건열처리는 몇몇 품종의 경우 오히려 생육을 억제하였다. 건열처리와 저온처리의 차이는 정식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상쇄되었다. 생체중은 모든 처리구간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Red Gyeolku'는 매우 빠른 추대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저온처리에 의해 초장의 생육이 촉진되었다. 그러나 'Cheongchima'는 다양한 종자처리 이후에도 추대율이 높지않아 만추대성 품종으로 여겨졌다.

참당귀의 정식시기에 따른 생육 및 추대 (Plant Growth and Bolting Affected by Transplanting Time in Angelica gigas)

  • 유홍섭;조재성;박충헌;박춘근;성정숙;박희운;성낙술;김동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92-396
    • /
    • 2003
  • 참당귀 품종별 정식시기에 따른 생육 및 추대반응을 구명하고자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존율은 만추당귀, AGJ90-1, 진부재래 공히 정식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생존율이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4월 25일 이후 정식에서는 현저히 낮았다. 2. 초기생육은 품종별 모두 조기 정식에서 생육량이 많고 만기 정식에서 생육량이 적어지는 경향으로 정식시기별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생육후기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3. 품종별 추대율은 내추대성인 만추당귀는 $1.0{\sim}8.1%$, 중간형인 AGJ90-1은 $5.9{\sim}20.3%$, 추대성인 진부채래 $58.5{\sim}74.6%$ 범위로 품종의 추대성 정도에 따라 추대율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4. 정식시기별 추대율은 만추당귀, AGJ90-1, 진부재래공히 조기정식에서 추대율이 높고 만기정식에서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5. 품종의 정식시기별 추대반응은 내추대성 품종은 둔감하게 반응하고 추대성에서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6. 10a당 수량은 만추당귀는 4월 5일 정식에서 389 kg으로 가장 높고, AGJ90-1은 4월 15일에 377 kg, 진부재래는 4월 25일에 133 kg으로 가장 높았다.

노두무게에 따른 북강활의 생육 및 추대반응 (Effect of Weight of Crown Part on Growth and Bolting Response in Ostericum koreanum Kitagawa.)

  • 김수용;이상석;최효심;손형락;오세명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1-164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weight of crown part effect on growth and bolting response of Ostericum koreanum Kitagawa. Bolting rate with crown part weight was represented 0%, 0%, 4.1%, 12.9%, 25.1%, 34.9% corresponding to each crown part weight 5 g, 10 g, 20 g, 30 g, 40 g, 50 g. The heavier the crown part weight was the higher the direction rate rose and the flowering time came earlier. The dried root amount was the highest at 30 g and crown part number, the length of root, and crown diameter showed all the highest figures at 30 g. The relation between amount per 10 g and outcrop weight increased on secondary regression formula as weight increased and reached its peak at 29.7 g and then decreased over 29.7 g.

재배 지대에 따른 참당귀의 추대 변이와 FLC 유전자 특성 (Variation of Bolting at Cultivation of Different Regions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FLC homologs in Angelica gigas Nakai)

  • 김영국;여준환;안태진;한신희;안영섭;박충범;장윤희;김정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59-364
    • /
    • 2012
  • This study were carried out to find bolting response of cultivation in different regions and to isolate FLC (FLOWERING LOCUS C) homologs in Angelica gigas Nakai. The mean temperature of different regions, ordering in altitude, were as follows: 100 m > 350 m > 530 m > 700 m. The largest amount of rainfall was occurred in the region of 350 m while the longest time of sunshine was occurred in the region of 100 m. The content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regions showed pH 6.2 ~ 7.4, T-N 0.17 ~ 26, organic mater $1{\sim}32gkg^{-1}$, $P_2O_5$ ${151{\sim}664_{mgkg}}^{-1}$, exchangeable potassium and calcium and magnesium were 0.78 ~ 1.15, 3.9 ~ 10.0, ${0.7{\sim}3.2_{cmol}}^{+kg-1}$. L5 line of A. gigas was occurred in bolting at all regions, but the bolting ratio was 60.0% in 700 m region with non-mulching treatment. Manchu of A. gigas was not occurred in bolting at all regions. The accumulation bolting ratio of L5 line by non-mulching was higher than that of mulching as 90.4% and 72.8% in 100 m region. The MADS-box transcription factor FLC is one of the well-known examples as a strong floral repressor. We decided to isolate FLC homologs from A. gigas as a starting point of flowering mechanism research of this plant. We have isolated two RT-PCR products which showed very high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to Arabidopsis FLC.

중.산간지대에서 참당귀의 화성억제 연구 (Inhibiting Floral Induction of Angelica gigas NAKAI in the Hilly Altitude Area)

  • 이승필;조지형;민기군;권태용;최장수;박노권;최부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8
    • /
    • 1995
  • 중ㆍ산간지대에 재배되는 참당귀의 화성억제에 의한 추대율 감소를 위하여 1992년 2월부터 1994년 11월까지 경북농림진흥원 북부시험장에서 육묘지대, 육묘지간 및 유기물 시용에 따른 화성 및 품질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육묘지대에 따른 추대율은 표고가 높을수록 현저히 낮았고, 아울러 지하부 생육 및 수량이 200, 400m인 지대보다 양호하여 참당귀의 육묘적지는 적어도 표고 600m 이상이 적당하다고 적당된다. 2. 중ㆍ산간 지대에서는 육묘기간이 짧아질수록 추대율이 현저하게 낮아서 수량은 증수되었지만, extract 및 decursin 함량은 육묘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여 육묘기간과 품질면에서는 반대되는 경향이었다. 3. 유기물 자원별에 따른 추대반응은 단비 시용구보다 유기물 시용구에서 추대율이 낮았으며, 특히 볏짚퇴비에서 가장 낮았고 수량 및 품질반응은 관행재배보다 유기물 시용구에서 양호하였지만 유기물 자원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미역취의 육묘일수가 추대반응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rsery Periods on Bolting Response and Yield of Solidago)

  • 민기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82-385
    • /
    • 1997
  • 미역취의 재배기술 확립을 위하여 육묘일수에 따른 생육특성, 추대율 및 수량성을 시험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육묘일수에 따른 생육은 재배년수와는 무관하게 60일 육묘와 70일 육묘에서 초장, 분기수가 40일 육묘와 50일 육묘보다 양호하였다. 2. 육묘일수별 추대반응은 1년차의 경우 40일 육묘와 50일 육묘에서 추대율이 각각 14.5%, 13.5%로 나타난 반면 60일 육묘와 70일 육묘에서는 추대주가 없었다. 3. 육묘일수별 생엽수량은 육묘일수에 따라 다소 수량차이는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60일 육묘가 가장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4. 재배년수에 따른 추대율은 2년차 재배보다 평균적으로 3년차 재배에서 낮아졌으며 생엽 수량은 38% 증가되었다. 5. 미역취의 추대에 따른 적정 수량확보를 위한 적정 육묘일수는 60일정도 육묘하여 재배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중.산간지대에서 참당귀의 화성억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nhibiting Floral Induction of Angelica gigas NAKAI in the Hilly Altitude Area)

  • 이승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5-62
    • /
    • 1995
  • 중(中) 산간지대(山間地帶)에 재배(栽培)되는 참당귀(當歸)의 화성유도(花成誘導)에 의(依)한 추밀률(抽蜜率) 감소(減少)를 위(爲)하여 1992년(年) 2월(月)부터 1994년(年) 11월(月)까지 경북농촌진흥원(慶北農村振興院) 북부시험장(北部試驗場)에서 육묘지대(育苗地帶), 육묘기간(育苗期間) 및 유기물(有機物) 시용(施用)에 따른 화성(花成) 및 품질(品質)을 비교(比較)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육묘지대(育苗地帶)에 따른 추대율(抽臺率)은 표고(標高)가 높을 수록 현저(顯著)히 낮았고, 아울러 지하부(地下部)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이 200, 400m인 지대(地帶)보다 양호(良好)하여 참당귀(當歸)의 육묘적지(育苗適地)는 적어도 표고(標高) 600m 이상(以上)이 적당(適當)하다고 사료(思料)된다. 2. 중(中) 산여(山閭) 지대(地帶)에서는 육묘기간(育苗期間)이 짧아질 수록 추대율(抽臺率)이 현저(顯著)하게 낮아서 수량(收量)은 증수(增收)되었지만, extract 및 decursin 함량(含量)은 육묘기간(育苗期間)이 길어질 수록 증가(增加)하여 육묘기간(育苗期間)과 품질면(品質面)에서는 반대(反對)되는 경향(傾向)이었다. 3. 유기물(有機物) 자원별(資源別)에 따른 추대반응(抽臺反應)은 단비(單肥) 시용구(施用區)보다 유기물(有機物) 시용구(施用區)에서 추대율(抽臺率)이 낮았으며, 특(特)히 볏짚퇴비(堆肥)에서 가장 낮았고 수량(收量) 및 품질반응(品質反應)은 관행재배(慣行栽培)보다 유기물(有機物) 시용구(施用區)에서 양호(良好)하였지만 유기물(有機物) 자원간(資源間)에는 뚜렷한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외부 가진을 받는 관로계에서 볼트 결합부의 동특성 (Dynamic Characteristics of Bolted Joint in Tube Line by External Vibration)

  • 박태원;김영권;신귀수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8-43
    • /
    • 2001
  •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 of dynamic characteristics in tube line by external vibration conveying fluid with the power steering system. By the experimental analysis we found out that the factor of system vibration is the fluid-structure interaction of tube line. In fluid-filled tube system we study on the influence that the natural frequency of system and the frequency of wave motion produce upon through experiment. Experiments are modal test, frequency response function in continuous system, and vibrating tests when the system is driving with bolted clamping joint condition.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studies, we obtained that the natural frequencies of system are very important than the wave induced vibrations. And we found that the tendency of system vibration level was decreased by bolting force, bolting condition and clamping distance.

  • PDF

참당귀(當歸)의 파종시기(播種時期)에 따른 묘소질(苗素質) 및 추태반응(抽苔反應) (Seedling Quality and Bolting Response by Seeding Time in Angelica gigas Nakai)

  • 유홍섭;방진기;김영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0-164
    • /
    • 1998
  • 참당귀(當歸) 노지육묘시(露地育苗時) 추태경감(抽苔輕減)에 적합한 묘생산(苗生産)과 파종시기(播種時期)에 따른 묘소질(苗素質) 및 추태반응(抽苔反應)과 육묘기간을 줄일 수 있는 적정파종기를 알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묘(苗)의 엽장(葉長)은 6월 10일 파종(播種)까지는 파종기(播種期)가 늦어질수록 커지는 경향이었으나 7월 10일이후 파종(播種) 에서는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2. 묘(苗)의 근장(根長)은 파종시기(播種時期)가 늦어질수록 길어지는 경향이었으며, 근경(根徑)과 지근수(枝根數)는 파종시기(播種時期)가 빨라질수록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3. 육묘기간(育苗期間)은 관행(慣行) 4월 10일 파종(播種)에 비하여 7월 10일 파종(播種)에서 92일 단축(短縮)되었다. 4. 파종시기(播種時期)가 빨라질수록 대묘생산(大苗生産)이 많고 파종시기(播種時期)가 늦어질수록 소묘생산(小苗生産)이 많았으며, 중묘(中苗), 소묘(小苗) (묘두직경(苗頭直徑) : $0.31{\sim}0.7cm$)는 7월 10일 파종(播種)에서 730주/$m^2$로 가장 많았다. 5. 육묘기간(育苗期間) 단축효과(短縮效果), 묘소질(苗素質), 적정묘(苗) 생산량(生産量), 정식후 생존율(生存率), 추태(抽苔) 및 수량(收量) 등으로 보아 파종적기(播種適期)는 7월 10일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