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uetooth 5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초

해상 고속 무선 통신망을 위한 UWB/Bluetooth용 이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설계 (UWB/Bluetooth for a High Spe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ual Band Microstrip Antenna Design)

  • 오말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60-966
    • /
    • 2018
  • 해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통신용 안테나는 눈에 띄게 계속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해상통신용 안테나의 발전속도는 사용자의 요구와 비교했을 때 많이 부족한 것을 느끼고 있다. 그래서 해상에서 도움이 되는 안테나를 개발하고자 하였고 안테나의 소형화, 이득 및 방사패턴을 개선한 고속 통신망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3 [GHz], 5.72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UWB/Bluetooth용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대역폭의 개선을 위해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를 선택하였고 3D 설계가 가능한 CST Microwave Studio 2014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프로그램을 통해 각 단계마다 이론적인 근거에 의한 수식을 이용하여 슬롯의 폭, 길이, 전송선로의 폭 등을 계산하여 결과값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작 기준에 적합한 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해상에서 근거리 통신을 위한 고속 무선 통신용인 UWB와 해당 기술을 쉽고 편하게 접할 수 있고 각각의 기기와 연결을 통해 근거리의 정보교환을 강조한 Bluetooth를 추가하여 사용자들에게 많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안전한 유비쿼터스를 위한 확장성 있는 블루투스 피코넷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calable Bluetooth Piconet for Secure Ubiquitous)

  • 서대희;이임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3-24
    • /
    • 2005
  • 무선 정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의 질적 풍족감이 요구되고 이에 따라 많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들이 개발되고 연구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최근 유비쿼터스와 관련하여 블루투스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현실 환경에 적용성을 인정받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블루투스를 유비쿼터스 혹은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차세대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현재 블루투스가 제공하고 있는 보안 서비스 뿐만 아니라 새로운 형태의 네트워크 구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피코넷 구성시 슬레이브 개수의 제한에 대한 취약성을 분석하고 스케터넷으로 구성하지 않아도 피코넷 내부에서 슬레이브 개수와 무관한 확장된 블루투스 피코넷 구성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 방식은 기존 피코넷의 확장된 형태로써 트리 형태의 구조로 피코넷을 형성하여 기존의 피코넷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성을 보완 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블루투스용 초소형 안테나 (A Subminiature Antenna for Bluetooth Applications)

  • 박명실;렌춘;방재훈;안병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19-12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용 초소형 PCB 일체형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인쇄형 역 F 안테나의 공진부 선로를 미앤더 형태로 변형함으로써 크기를 소형화한 구조이다. 안테나의 치수는 널리 사용되는 상용 소프트웨어인 MWSTM를 사용하여 최적화하였다. VSWR 3.5 기준으로 $2.38GHz{\sim}2.45GHz$ 범위의 주파수를 만족시켜 3%의 대역폭을 만족하고 중심주파수에서 최대 VSWR 2.4의 값을 가지며 -0.23dBi의 이득 특성을 보였다. 제안된 안테나의 크기는 $9.65mm{\times}5.95mm$로서 기존의 인쇄형 역 F안테나와 비교 할 때 55%의 면적으로 소형화된 것이다.

  • PDF

A Fully Synthesizable Bluetooth Baseband Module for a System-on-a-Chip

  • Chun, Ik-Jae;Kim, Bo-Gwan;Park, In-Cheol
    • ETRI Journal
    • /
    • 제25권5호
    • /
    • pp.328-336
    • /
    • 2003
  • Bluetooth is a specification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2.4 GHz ISM band. It emphasizes low complexity, low power, and low cost. This paper describes an area-efficient digital baseband module for wireless technology. For area-efficiency, we carefully consider hardware and software partitioning. We implement complex control tasks of the Bluetooth baseband layer protocols in software running on an embedded microcontroller. Hardware-efficient functions, such as low-level bitstream link control; host controller interfaces (HCIs), such as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UART) and universal serial bus (USB)interfaces; and audio Codec are performed by dedicated hardware blocks. Furthermore, we eliminate FIFOs for data buffering between hardware functional units. The design is done using fully synthesizable Verilog HDL to enhance the portability between process technologies so that our module can be easily integrated as an intellectual property core no system-on-a-chip (SoC) ASICs.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prototype of this module was tested for functional verification and realtime operation of file and bitstream transfers between PCs. The module was fabricated in a $0.25-{\mu}m$ CMOS technology, the core size of which was only 2.79 $mm{\times}2.80mm$.

  • PDF

대각측량 방식을 이용한 실내 측위 정확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Indoor Positioning Accuracy Using Diagonal Survey Method)

  • 정현기;박태현;권장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60-172
    • /
    • 2018
  • 위성항법장치(GPS)를 이용한 위치 추정 방법은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하지만 GPS 신호는 실내에서 측정이 어려우므로 건물이나 공장과 같은 실내에서 특정 물체의 위치를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장 내에서의 물자관리를 위해 저전력 블루투스(BLE) 기반의 객체 위치 추정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객체위치 추정 시스템은 블루투스 신호 발생기, 수신기,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자에는 BLE를 기반으로 하는 신호 발생기를 부착하고, 공장 내부에 수신기를 적절하게 배치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기존의 삼변 측량법의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4개의 수신기를 사용하는 4축 측량알고리즘인 "대각측량"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기존 삼변측량대비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공장에 시스템을 설치하여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스템과 알고리즘의 실효성을 증명하였다.

블루투스를 이용한 모바일 전광판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a Mobile Signage Application using Bluetooth)

  • 이민영;도상미;박아란;우성호;임순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96-103
    • /
    • 2016
  • Mobile electronic display applications represent a simple motion and express personal motions recently. In this context, we propose the Mobile Signage Application as against these existing applications. It provides the quality motions by multiplex editing and thus should share a kinetic typography with other people using Bluetooth. The Mobile Signage Application includes kinetic motions that are developed by HTML5 and JavaScript to attain variety effects. Furthermore, usability evaluation shows its sufficient availability and serviceability.

Design of Two-port MIMO Antennas without Space for Isolation

  • Jo, Hyun-Dong;Park, Wee-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권1호
    • /
    • pp.1-5
    • /
    • 2012
  • We propose a structure for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antenna which has no space for isolation. The antenna operates in a frequency range of 2.4-2.48 GHz and can achieve a high channel capability as a Bluetooth antenna. The MIMO antenna consists of two planar inverted F antennas with symmetric structure. We designed the proposed antenna using HFSS simulator, and we designed the fabricated antenna using PCB fabricator. The MIMO antenna's isolation $S_{21}{\leq}-10dB$ and reflection coefficient $S_{11}{\leq}-20dB$. The proposed antenna's specification satisfies Bluetooth antenna's criteria and has more space than the existing MIMO antennas, which have space for isolation.

802.11 practical improvements using low power technology

  • Bhargava, Vishal;Raghava, N.S.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5호
    • /
    • pp.1735-1754
    • /
    • 2022
  • The reliability and performance of WiFi need optimization because of the rising number of WiFi users day by day. A highlighted point is saving power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s using WiFi devices. Wake-on-Wlan (WoW) is also implemented to improve energy consumption, but it also needs betterment. This paper will introduce universal ideas to transmit and receive packets using low-power technology like Bluetooth or BLE (Bluetooth low energy). While looking for power-saving ways in this research, WiFi connection and maintenance also take care using lesser power-consuming technology. Identifying different use-cases where low power technology can help save energy and maintain 802.11 connection is part of the research. In addition, the proposed method discuss energy saving with unicast and broadcast/multicast data. Calculation of power-saving and comparison with standalone WiFi usage clearly show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LoRa 모듈을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Pet Management System using Lora Module)

  • 박세준;최익현;유태준;모지수;이상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275-281
    • /
    • 2018
  •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반려동물 관련 시장과 더불어 반려동물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IoT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관련 시스템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아두이노와 LoRa모듈을 사용한 기기와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간의 Bluetooth 4.0 통신 및 LoRa 통신을 통해 거리에 따른 다양한 통신방법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과 반려동물에 부착된 기기 간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받아 볼 수 있고, 반려동물 정보 저장, 반려동물 관리 일정, 산책경로 저장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해 반려동물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관리 할 수 있다.

FMS를 지원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4-채널 미세 입자 계수기 개발 (Development of 4-Channel Particle Counter based on bluetooth Supporting FMS)

  • 엄우용;구자일;박성욱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3호
    • /
    • pp.185-193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클린 룸 환경의 생산 설비에서 발생하는 미세입자, 온도, 습도 값을 측정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4-채널 미세입자 계수기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광학 렌즈와 입자 검출 챔버를 설계하고, 미세 검출 회로를 다채널로 설계하여 $0.3{\mu}m$에서 $5{\mu}m$ 내외의 미세 입자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측정된 값을 상시 모니터링 하기 위해 FMS(Facility Monitoring Systems)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험을 통해 개발된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