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ueberry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9초

블루베리가 인체 유방암세포 MCF7에서 세포 사멸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lueberry Extract on Gene Expressions Related to Apoptosis in Human Breast Cancer MCF7 Cells)

  • 이세나;강금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0-3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lueberry extract on cell death, ROS and gene expression patterns associated with the anti-cancer activity in human breast cancer MCF7 cells. To accomplish this, 20 mg/mL concentration of blueberry extract was added to the cell culture for 0, 6, 12, 24 or 48 h, after which the effects were evaluated by various analyses. MTT assay showed that the cellular activities decreased rapidly during the first 12 h of treatment. During this period, dual staining with Hoechst33322 and propidium iodide also produced a similar trend in which the dead or dying cells increased sharply. Furthermore, evaluation of BrdU incorporation as an index for cell proliferation revealed a marked decrease during the first 12 h of treatment, suggesting that anticancer activity involves the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and induces cell death. ROS also increas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treatment, indicating intracellular accumulation is associated with the cell death. RT-PCR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s in anti-apoptotic (Bax) and increases in pro-apoptotic gene expressions (Bci-2, caspase- 3, and 9) (p<0.05). Taken these together, blueberry extract induces ROS accumulation in MCF7 cells, causing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and eventually leading to cell death. This cell death was associated with apoptotic gene expression in blueberry-treated cells for up to 24 h.

Effect of vacuum blending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apple juice and blueberry juice

  • Lee, Sung-Gyu;Lee, Min-Seo;Seo, Soo-Min;Park, Seong-Yu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271-277
    • /
    • 2021
  • The present study aimed to assess and compa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pple juice and blueberry juice at hourly intervals over a period of time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vacuum blending (0 and 800 hPa) using a household blender. Measurement of the dissolved oxygen content revealed that the removal rates of dissolved oxygen were approximately 83% and 86% in the apple and blueberry juice samples, respectively, after vacuum blending. Moreover, compared with general blending, there was little change in the antioxidant property and degree of browning over time with vacuum blending. Furthermore, hourly assessments revealed that the decrease in the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the apple and blueberry juice samples was significantly lesser with vacuum blending for 3, 6, and 12 h than with general blending. Assessment of the change in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ctivity over time revealed that the rate of decrease in FRAP activity over time was lower with vacuum blending than with general blending for both juice samples.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hange in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vealed inhibitory activity at 0, 3, 6, and 12 h and confirmed that vacuum blending resulted in long-lasting antioxidant activities in both apple and blueberry juice samples. Taken together, the present results confirmed that vacuum blending is associated with superior quality maintenance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comparison with general blending.

래빗아이 블루베리 품종별 꽃눈의 내동성과 재배안전지역 (Floral Bud Cold Hardiness and Cultural Safety Zone in Rabbiteye Blueberry Cultivars)

  • 김홍림;곽용범;한점화;오필경;채원병;김성철;김목종;김진국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27-333
    • /
    • 2014
  • 래빗아이블루베리는 북부형과 남부형 하이부쉬 블루베리와 함께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블루베리의 한 품종군이다. 하이부쉬 블루베리에 비해 높은 토양적응성과 다수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저온 저항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단점 역시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래빗아이 블루베리의 품종별 꽃눈의 내동성 범위를 구명하고 그에 따른 재배안정지대를 설정하는데 두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실험재료는 경남 남해에 소재한 국립원예특작 과학원 남해출장소 블루베리 유전자원 포장에서 1월 상순에 굵기와 꽃눈의 개수 등이 균일하도록 채취하였다. 결과지의 저온반응은 전해질 누출량을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꽃눈의 내동성은 절개한 후 씨방의 갈변율이 50%에 도달한 온도($LT_{50}$)를 경계로 구분하였다. 각 품종의 내동성을 바탕으로 재배안전지대설정은 1981~2010년까지 30년간의 극최저 기온 자료를 바탕으로 설정하였다. 래빗아이 블루베리 품종별 가지의 전해질 누출량은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5^{\circ}C$조건에서의 전해질 누출량은 'Brightwell'이 가장 낮았고, 'Bluegem'이 가장 많았다. 한편 'Brightblue', 'Brightwell', 'Climax', 'Delite', 'Gardenblue', 'Southland' 그리고 'Woodard' 품종들은 $-20^{\circ}C$ 처리에서 전해질 누출량이 증가하였다. 래빗아이 블루베리 품종별 꽃눈의 내동성($LT_{50}$)은 'Bluegem' 과 'Homebell' ($-13.3^{\circ}C$)이 가장 낮았고, 'Tifblue'($-25^{\circ}C$)가 가장 높았다. 'Bonita', Gardenblue', 'Brightblue' 그리고 'Southland는 $-15.0{\sim}-16.7^{\circ}C$ 범위 내에서 내동성을 나타냈으며, 'Delite', 'Brightwell', 'Austin' 그리고 'Climax'는 $-18.3^{\circ}C$에서, 'Bluebelle', 'Woodard' 그리고 'Powderblue'는 $-20^{\circ}C$범위 내에서 내동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래빗아이 블루베리 내한성 영역을 6개 구역으로 분류하였으며, 'Tifblue'를 제외한 대부분 품종들의 재배안전 지대는 전남 및 경남지역과 그 이남지역 이었다. 한편 본 연구의 실험실조건의 결과물이기 때문에 재배현장(노지 및 시설)에서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밀한 안전지대 설정을 위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사료된다.

제주산 블루베리와 상동열매의 일반성분, 항산화 및 항증식 활성 비교 (Comparison of proximate compositions,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between blueberry and Sageretia thea (Osbeck) M.C.Johnst fruit produced in Jeju Island)

  • 고경아;고소예;류지연;김소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2호
    • /
    • pp.161-17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블루베리의 형태 및 풍미와 유사한 상동열매의 일반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열량, 조단백, 조회분, 탄수화물 및 유리당은 상동열매가 블루베리에 비해 더 높았으며 수분은 블루베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동열매의 주요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및 maltose로 나타난 반면, 블루베리에서는 maltose가 검출되지 않았다. 상동열매와 블루베리를 각각 80% 메탄올로 추출한 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층으로 용매 분획하여 이들의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상동열매 메탄올 추출물이 블루베리 메탄올 추출보다 폴리페놀 함량과 안토시아닌 함량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아울러 DPPH, alkyl,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또한 더 우수하였다. 용매 분획물들을 대상으로 항산화 효능을 비교했을 때, 상동열매와 블루베리 모두 폴리페놀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DPPH와 alkyl radical 소거 활성이 가장 우수했으며,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부탄올 분획물의 ABTS radical 소거 활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특히, 안토시아닌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상동열매 부탄올 분획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블루베리 부탄올 분획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상동열매와 블루베리 메탄올 추출물은 피부세포에서의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냈으며, 블루베리와 비교하여 상동열매에서 그 효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동열매와 블루베리의 헥산 분획물과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위암(AGS)와 유방암(MDA-MB-231)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활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초로 상동열매와 블루베리의 일반성분,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비교하였으며, 상동열매가 블루베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의 폴리페놀과 안토시아닌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블루베리보다 우수하거나 그에 필적한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나타내고 있어, 항산화 식품 및 천연 항산화 소재 로서의 활용가치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복분자, 오디 및 블루베리 첨가 그레이비소스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vy Sauce Added with Bokbunja (Rub coreanus Miquel), Mulberry and Blueberry)

  • 라하나;김남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58-465
    • /
    • 2016
  • Purpose: Bokbunja (Rub coreanus Miquel), mulberry and blueberry have been reported to have powerful anti-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avy sauce added with Bokbunja, mulberry and blueberry. Methods: Quality characteristics pH, brix, color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amples were evaluated. Antioxidant activities of samples were compared using total phenol,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esults: Mulberry juice showed significantly (p<0.05) higher values of pH and $^{\circ}Bx$ compared to Bokbunja and blueberry juice. Bokbunja juice also had significantly (p<0.05) higher value of Color-L value than mulberry and blueberry juice. The total phenol contents and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okbunja juice were 236.50 mgGAE/100 g and 61.66%,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blueberry and mulberry juice. pH value of gravy sauce added with mulberry (MBS) was 4.67,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avy sauce (GS) and gravy sauce added with Bokbunja (BJS) which had the lowest (p<0.05) pH value 4.33. $^{\circ}Bx$ of GS (13.50)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MBS and BBS. However, BJS showed the lowest (p<0.05) value $12.33^{\circ}Bx$. Total phenol contents and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JS were 78.09 mgGAE/100 g and 14.47%,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MBS or BBS. Values of sensory characteristics color, sour aroma and sour flavor of BJ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value than those of other samples. Conclusion: Bokbunja juice and gravy sauce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and higher acceptance test compared to blueberry and mulberry. Thus, Bokbunja has the potential to be added to as high value products in the food industry.

국내 도입 블루베리의 생육기 및 형태적 특성에 의한 유연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ased on Growth Period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Blueberry (Vaccinium spp.))

  • 김수진;정성민;허윤영;남종철;김세희;조강희;박정관;박서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1-109
    • /
    • 2017
  • 국내에서 주로 재배중인 28개 품종의 품종 식별을 위해 생육기 및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여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래빗아이 블루베리 품종인 'Austin', 'Brightwell', 'Powderblue', 'Southland', 'Tifblue'가 하이부쉬블루베리에 비해 수확 기간이 길고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꽃의 L/D율은 래빗아이 블루베리 품종인 'Austin', 'Brightwell', 'Powderblue', 'Tifblue'과 남부하이부쉬 블루베리인 'Brigitta' 품종의 경우 2.0 이상으로 나타나 수분에 불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블루베리 품종별 형태적 특성 결과를 군집 분석한 결과 블루베리의 생육 및 과실 의형태적 특성에 의해 크게 2개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룹 I은 래빗아이 블루베리 품종들이었으며 그룹 II는 하이부쉬 블루베리 품종들이었다. 따라서 생육기 및 형태적 특성만으로도 래빗아이 블루베리 품종을 식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하이부쉬블루베리 내 반수고, 북부, 남부 하이부쉬 블루베리의 구분은 되지 않았다.

국내산 Black Chokeberry와 Blueberry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Black Chokeberry and Blueberry Cultivated in Korea)

  • 정해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349-135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블랙초크베리와 블루베리의 기능적 특성을 비교 조사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superoxide 음이온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금속 킬레이트 효과,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블랙초크베리가 117.20 mg/g, 블루베리가 42.26 mg/g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블랙초크베리가 32.50 mg/g, 블루베리가 26.39 mg/g으로 나타났다. 생리활성 측정 결과 블랙초크베리는 본 실험에서 조사한 기능성에서 탁월한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금속 킬레이트 효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5 mg/mL의 농도에서 90% 이상의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ascorbic acid의 활성과 대등하였다. 블루베리도 추출물의 농도증가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블랙초크베리의 0.2~0.7배에 해당하는 낮은 활성을 나타내어 블랙초크베리보다 기능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블랙초크베리와 블루베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생리활성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리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이들 간에는 높은 양(+)의 상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블루베리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with Blueberry Powder)

  • 한지민;정해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65-27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블루베리 분말을 0%, 3%, 6%, 9%로 첨가하여 양갱을 제조하고 수분 함량, pH, 적정산도, 당도, 색도, 기계적 조직감,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환원력 등을 측정하였고 소비자 기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양갱의 수분함량은 블루베리 분말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pH는 블루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고 적정산도와 당도는 증가하였다. 양갱의 명도와 황색도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적색도는 대조군이 가장 낮았으며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기계적 조직감 측정 결과 경도는 블루베리 분말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블루베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9% 첨가군이 가장 많은 페놀성 물질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PPH radical 소거능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어 9%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호도 조사 결과 양갱의 색은 대조군이 가장 낮게 평가되었고 냄새, 맛,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모든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블루베리 분말을 9%까지 첨가하여 양갱을 제조한다면 대조군과 비교하여 관능적인 면에서 차이가 없고 기능적인 면에서는 총 폴리페놀 함량이 많고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여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효소처리에 의한 블루베리 음료 생산을 위한 최적추출조건 (Optimization of blue berry extraction for beverage production using enzyme treatment)

  • 지유정;임무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0-6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저온추출 뿐만 아니라 효소처리를 이용하여 생과형 블루베리 과일음료생산을 위한 최적의 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생리학적 기능성물질 추출 시 열에 의한 영양손실을 막기 위해 저온을 사용하였다. 또한 다양한 효소처리를 이용하여 혼탁 방지 및 추출수율 향상을 위한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블루베리를 cellulase, pectinase 및 cellulase:pectinase(1:1) 혼합 효소와 효소 처리량, 추출온도, 추출시간, 추출 교반속도 등을 고려한 다양한 조건으로 추출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추출 조건을 조사하였다. cellulase로 처리할 경우, 추출률이 85.72-86.55%, pectinase 처리구는 87.06-87.93%, cellulase:pectinase(1:1) 혼합 처리할 경우, 86.84-88.14%의 추출률을 나타냈다. 추출 온도는 $45^{\circ}C$에서 $87.91{\pm}0.05%$, 3시간 추출 하였을 경우 $87.88{\pm}0.10%$, 교반속도는 90 rpm에서 가장 높은 추출결과를 보였다. 블루베리 추출액의 당도 및 pH는 추출 조건에 관계없이 모든 처리구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총 폴리페놀 함량은 pectinase 처리구에서 18.62 mg/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유리당 함량은 모든 시료에서 과당과 포도당 두 가지 당류만 검출되었으며 cellulase 효소 0.10%를 처리한 블루베리 추출액의 유리당 함량이 포도당 0.51%, 과당 0.49%로 가장 높았으나 다른 처리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블루베리를 이용하여 생과일형 음료 제조를 위한 최적 조건은 cellulase: pectinase(1:1) 혼합효소 0.1%를 첨가하여 $45^{\circ}C$ 온도에서 90 rpm의 교반속도로 조사되었다.

블루베리·복분자와 오디 그리고 이들 부산물 주정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페놀화합물 함량 비교 (Comparison of Chemical Properties and Phenolic Compound for Ethanol Extract of Blueberry, Bokbunja and Mulberry and their Pomaces)

  • 강다래;정이형;심관섭;신대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35-547
    • /
    • 2015
  • 본 연구는 베리와 그 부산물들의 영양학적 가치와 더불어 이들의 식품 내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국내생산 베리 중 대표적 베리인 블루베리, 오디 그리고 복분자와 그들 부산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페놀화합물 함량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수분함량은 통 베리 시료가 그들 부산물의 함량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복분자와 그 부산물의 수분함량은 차이가 가장 컸다. pH는 오디와 오디 부산물에서 각각 4.03, 5.1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블루베리 부산물에서 24.81와 24.13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안토시아닌 함량은 오디 부산물에서 53.27 ug/g으로 가장 높았다. Cyanin chloride는 오디와 복분자 과일에서만 측정되었으며, epigallocatechin, gallocatechin과 isorhamnetin은 블루베리에서만 측정되었다. Catechin (hydrate)과 epicatechin의 경우에는 블루베리를 제외한 오디와 복분자의 통 과일과 부산물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gallic acid는 오디에서, quercetin 3-D-galactoside는 블루베리에서 통 과일과 부산물간 유의적인 차이가 조사되었다. Apigenin, luteolin은 오디류에서만 측정되었으며 특히 부산물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Naringenin은 각각의 베리 부산물에서 함량이 높았으나, rutin (trihydrate)과 quercetin은 블루베리를 제외한 오디와 복분자의 통 베리에서 부산물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Kaempferol 함량은 통 오디에서 15 ng/g으로 가장 높았다. 본 실험에 이용된 베리들은 성숙도 및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나타날 수도 있겠으나, 본 연구결과는 각각의 통 베리의 유효성분을 조사한 것 뿐 아니라 그들의 부산물까지도 가축 사료 첨가제 및 식품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을 나타낸 연구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