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ue Fluorescent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5초

Vegetative Growth Characteristics of Phalaenopsis and Doritaenopsis Plants under Different Artificial Lighting Sources

  • Lee, Hyo Beom;An, Seong Kwang;Lee, Seung Youn;Kim, Ki Su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1호
    • /
    • pp.21-29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rtificial lighting sources on vegetative growth of Phalaenopsis and Doritaenopsis (an intergeneric hybrid of Doritis and Phalaenopsis) orchids. One - month - old plants were cultivated under fluorescent lamps, cool - white light - emitting diodes (LEDs), or warm - white LEDs at 80 and $160{\mu}mol{\cdot}m^{-2}{\cdot}s^{-1}$. The blue (400 - 500 nm) : green (500 - 600 nm) : red (600 - 700 nm) : far - red (700 - 800 nm) ratios of the fluorescent lamps, cool-white LEDs, and warm-white LEDs were 1 : 1.3 : 0.8 : 0.1, 1 : 1.3 : 0.6 : 0.1, and 1 : 2.7 : 2.3 : 0.4, respectively. Each light treatment was maintained for 16 weeks in a closed plant-production system maintained at $28^{\circ}C$ with a 12 h photoperiod. The longest leaf span, as well as the leaf length and width of the uppermost mature leaf, were observed in plants treated with warm-white LEDs. Plants grown under fluorescent lamps had longer and wider leaves with a greater leaf span than plants grown under cool-white LEDs, while the maximum quantum efficiency of photosystem II was higher under cool-white LEDs. The vegetative responses affected by different lighting sources were similar at both 80 and $160{\mu}mol{\cdot}m^{-2}{\cdot}s^{-1}$. Leaf span and root biomass were increased by the higher light intensity in both cultivars, while the relative chlorophyll content was de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latively high intensity light can promote vegetative growth of young Phalaenopsis plants, and that warm - white LEDs, which contain a high red-light ratio, are a better lighting source for the growth of these plants than the cool-white LEDs or fluorescent lamps. These results could therefore be useful in the selection of artificial lighting to maximize vegetative growth of Phalaenopsis plants in a closed plant - production system.

고효율 청색 유기발광다이오드의 DPVBi와 BCzVBi 사이에서 발생하는 흡열 페르스터 에너지전이 (Endothermic Forster Energy Transfer from DPVBi to BCzVBi in High Efficient Blu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 김유현;이상연;송욱;신성식;류대현;;;김우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91-29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농도의 BCzVBi를 청색 형광도판트, DPVBi를 청색 호스트 물질로 적용한 청색OLED 소자를 제작하였다. 최적화된 고효율 청색 OLED 소자의 적층 구조는 NPB (500 ${\AA}$)/DPVBi:BCzVBi-6%(150 ${\AA}$)/$Alq_3$(300 ${\AA}$)/Liq(20 ${\AA}$)/Al (1000 ${\AA}$)으로 구성되었다. 청색 OLED의 최대휘도는 구동전압 13.8V에서13200 cd/$m^2$이고 전류밀도 및 최대효율은 각각 1000 cd/$m^2$의 휘도에서 26.4 mA/$cm^2$, 구동전압 3.9 V에서 4.24 cd/A 이었다. 도핑된 청색 OLED 소자의 발광효율은 도핑되지 않은 소자의 2배에 이른 반면 색좌표는 (0.16, 0.19)로 서로 비슷하였다. BCzVBi가 6% 도핑된 청색 OLED 445 nm와 470 nm에 2개의 EL 스펙트럼의 Peak이 존재하는 반면 도핑되지 않은 순수한 DPVBi 청색OLED 소자는 456 nm에서의 유일한 Peak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호스트 물질인 DPVBi의 LUMO와 도판트 물질인 BCzVBI의 LUMO 사이에 분자 진동에 의한 페르스터 에너지 전이에 기인한 것이다.

LED 조명에 대한 청색광 위험 평가 (Evaluation of Blue Light Hazards in LED Lightings)

  • 정명훈;양석준;육주성;오상영;김창진;류정묵;최은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93-300
    • /
    • 2015
  • 목적: 청색광 위험도의 정량적 지표인 청색광 복사휘도를 이용하여 안경원 내 LED 조명에 대한 청색광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방법: LED 조명의 분광복사휘도를 측정하고 청색광 복사휘도와 최대노출시간을 산출한 후, IEC 62471 분류기준에 따라 위험군을 분류하였다. 결과: 진열장에 사용된 황색 LED 조명, 천장에 사용된 백색 및 황색 LED 조명, 그리고 로고에 사용된 백색 LED 조명은 위험제외군 RG0로 분류되었지만, 진열장에 사용된 백색 LED 조명은 위험군 RG1으로 분류되었다. 진열장에 사용된 백색 LED 조명의 청색광 복사휘도는 형광등에 비하여 수십 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청색광 복사휘도의 값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조명에 대한 청색광 위험을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진열장용 백색 LED 조명은 높은 휘도와 색온도로 청색광 위험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안경원 내의 조명 교체 시 장기적이 측면에서 시건강을 위해 적절한 밝기와 색온도의 조명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느타리버섯 재배를 위한 적정 LED혼합광 및 광량 (The suitable mixed LED and light intensity for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

  • 장명준;이윤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58-262
    • /
    • 2014
  • LED혼합광에 따른 자실체의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갓직경은 녹색광+적색광을 제외한 모든 처리구가 형광등 처리구와 대등하였으며, 갓직경/대길이는 청색광+백색광에서 가장 컸다. 대의 길이는 무광과 녹색광+적색광에서 가장 길었고, 수량은 녹색광+적색광을 제외한 혼합광에서 대조구와 대등하였으며, 상품수량은 청색광+백색광에서 가장 많았다. 또한 버섯류의 대표적인 항산화물질인 ergothioneine은 청색광+백색광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장 높았다. 광량에 따른 생육특성 중 갓직경은 광량이 작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이었고, 대길이는 $1{\mu}mol/m^2/s$에서 가장 길었으며, 갓직경/대길이는 $1{\mu}mol/m^2/s$에서 0.34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장 작았다. 수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대등하였으나 광량이 작을수록 유효경수와 상품수량이 많았다.

Enhanced pectinase and β-glucosidase enzyme production by a Bacillus subtilis strain under blue light-emitting diodes

  • Elumalai, Punniyakotti;Lim, Jeong-Muk;Oh, Byung-Tea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9-109
    • /
    • 2018
  • Bacillus subtilis B22, a chemotrophic and aerobic bacterial strain was isolated from homemade kimchi, identified by 16S rRNA gene sequencing. B22 was primarily screened by biochemical, carbon source utilization tests. B22 was used to produce pectinase and ${\beta}$-glucosidase by submerged fermentation under different light sources. B22 was incubated in pectin media and basal media (pH 7.0) under blue, green, red and white light-emitting diodes (LEDs), fluorescent white light, and in darkness at $37^{\circ}C$, orbital shaker 150 rpm for 24 hours. Fermentation under blue LEDs maximized pectinase production ($71.59{\pm}1.6U/mL$ at 24 h) and ${\beta}$-glucosidase production ($56.31{\pm}1.6U/mL$ at 24 h). Further, the production of enzyme increased to pectinase ($156{\pm}1.28U/mL$) and ${\beta}$-glucosidase ($172{\pm}1.28U/mL$) with 3% glucose as a carbon source. Activity and stability of the partially purified enzymes were higher at pH 6.0 to 8.0 and $25-55^{\circ}C$. The effect on the metal ions $Na^+$ and $K^+$ and (moderateactivity) $Mn^{2+}$ and $Ni^{2+}$ increased activity, while $Hg^{2+}$, $Cu^{2+}$, $Fe^{2+}$, and $Fe^{2+}$ inhibited activity. EDTA,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and 5,5-dithiobis (2-nitrobenzoicacid) reduced activity, while tetrafluoroethylene and 1,10-phenanthroline inhibited activity. The amylase was highly tolerant of the surfactants TritonX-100, Tween-20, Tween-80 and compatible with organic solvents methanol, ethanol, isoamylalcohol, isopropanol, t-butylalcohol and the oxidizing agents hydrogen peroxide, sodium perborate and sodium hypochlorite, although potassium iodide and ammonium persulfate reduced activity. These properties suggest utility of pectinase and ${\beta}$-glucosidase produced by B. subtilis B22 under blue LED-mediated fermentation for industrial applications.

  • PDF

Comparison of LIVE/DEAD$^{(R)}$ BacLight$^{TM}$ Bacterial Viability Test and alamarBlue$^{(R)}$ Method for Enumeration of Live and Dead Bacteria for Oral Bacterial Species

  • Kim, Yeon-Hee;Lee, Si 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7권4호
    • /
    • pp.197-201
    • /
    • 2012
  • LIVE/DEAD$^{(R)}$ BacLight$^{TM}$ and alamarBlue$^{(R)}$ are fluorescent materials used for the enumeration of live and dead bacteria. LIVE/DEAD$^{(R)}$ BacLight$^{TM}$ is generally used for confocal microscopy applications to differentiate live from dead bacteria in a biofilm or planktonic state. AlamarBlue$^{(R)}$ has also been used widely to assay live and dead bacteria in a planktonic state. Whilst these materials are successfully utilized in experiments to discriminate live from dead bacteria for several species of bacteria, the application of these techniques to oral bacteria is limited to the use of LIVE/DEAD$^{(R)}$ BacLight$^{TM}$ in biofilm studies. In our present study, we assessed whether these two methods could enumerate live and dead oral bacterial species in a planktonic state. We tested the reagents on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sobrinus, Porphyromonas gingivalis,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and Enterococcus faecalis and found that only LIVE/DEAD$^{(R)}$ BacLight$^{TM}$ could differentiate live from dead cells for all five of these oral strains. AlamarBlue$^{(R)}$ was not effective in this regard for P. gingivalis or A. actinomycetemcomitans. In addition, the differentiation of live and dead bacterial cells by alamarBlue$^{(R)}$ could not be performed for concentrations lower than $2{\times}10^6$ cells/ml. Our data thus indicate that LIVE/DEAD$^{(R)}$ BacLight$^{TM}$ is a more effective reagent for this analysis.

Eucalyptus pellita의 기내(器內) 줄기생장에 미치는 LEDs (Light-emitting diodes) 및 환기처리(換氣處理) 효과 (Effect of Light-emitting Diodes (LEDs) and Ventilation on the in vitro Shoot Growth of Eucalyptus pellita)

  • 김지아;문흥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716-722
    • /
    • 2006
  • Eucalyptus pellita 기내줄기를 재료로 광질에 따른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반적으로 줄기의 생장은 광질보다는 환기처리가 더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기처리 한 청색광(blue LED) 하에서 묘고, 잎수, 절간수 및 액아수가 양호하였고, 잎에 캘러스가 형성되지 않았다. 식물체의 충실정도를 나타내는 건물율 역시 환기처리 하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청색광 하에서 가장 높은 건물율을 나타냈다. 광질별 총엽록소 함량은 형광등과 혼합광 R5B5(50% red LED + 50% blue LED)에서 $24.5{\mu}g/g$$20.1{\mu}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광합성에 관여하는 카로티노이드 함량 역시 적색광(red LED)을 제외한 모든 광질에서 환기 처리 시 양호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E. pellita의 기내 줄기생장은 환기처리가 중요하고,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을 기준으로 볼 때 혼합광 R5B5에서 건전한 줄기생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및 이를 위한 청색형광체 (Recent Research Highlights in Blue Fluorescent Emitters in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 박영일;김진철;서봉국;조득희
    • 공업화학
    • /
    • 제25권3호
    • /
    • pp.233-236
    • /
    • 2014
  •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는 차세대 평판디스플레이로 학문적으로나 산업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고성능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생산을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많은 과제들이 여전히 남아있다. 그중 청색발광물질은 자체의 넓은 밴드갭으로 인해 녹색과 적색 발광재료에 비해 낮은 효율을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많은 사람들이 높은 효율을 가진 청색 발광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기본개념과 청색 발광물질의 개발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LED 광원이 청치마 상추의 생육 및 무기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Emitting Diodes Treatment on Growth and Mineral Contents of Lettuce (Lactuca sativa L. 'Chung Chi Ma'))

  • 신용습;이문중;이은숙;안준형;도한우;최돈우;정종도;이지은;김민기;박종욱;엄영철;박소득;채장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59-668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effect of LEDs (light emitting diodes) irradiation in relation to early growth and inorganic elements in leaf lettuce (Lactuca sativa L. 'Chung Chi Ma'). In morphological changes of leaves, shoot elongation and hypocotyl length showed poor growth in red light irradiation, while the red+blue light irradiation induced shorter plant height and much greater leaf numbers resulting in increased fresh weight. In change of the Hunter's color and SPAD values, lettuce seedlings grown under in red+blue and fluorescent light irradiation had a higher $a^*$ value, otherwise SPAD values were not changed in these light irradiations. Interestingly, relative chlorophyll contents showed 1.8 times increased redness in the treatment of red+blue light irradiation. Inorganic element (N, Ca, Mg, Mn, and Fe) and ascorbic acid contents were increased in lettuce plants grown under LEDs light irradiation compared to those of lettuce grown under the fluorescent light which showed higher P and Mn contents.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red+blue light irradiation which stimulates growth and higher nutrient uptake in leaf lettuce could be employed in containers equipped with LEDs.

상추에서 LED광질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생합성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및 이차대사 산물의 성분 분석 (Analysis of growth pattern, gene expression and flavonoid contents under LED light wavelength in Lettuce (Lactuca sativa L.))

  • 정유진;강대현;;문준관;강권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2호
    • /
    • pp.104-110
    • /
    • 2015
  • 본 연구는 다양한 LED광 처리가 상추의 생장상, 플라보노이드 생합성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양상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상추의 생장상 분석에서 혼합광 처리가 단일 처리구보다 잎생장이 월등히 우수하였으며, 단일광내에서 청색광이 적색광보다 생체중이 높게 나타났다. LED광질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생합성 관련 8개 유전자들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LsF3H와 LsDFR 유전자에서 혼합광 처리한 적상추에서 청상추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혼합광 처리가 단일광 처리보다 Gallic acid, Chlorogenic acidn, Quercetin 및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LED 광질에 따라 상추 생장과 발육차이를 보이며, 유전자의 발현 및 기능성 물질의 축적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기능성 물질의 축적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적색과 청색의 혼합처리가 유용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