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om's Revised Taxonomy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8초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과학과 수업 목표 분석 (Classification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Elementary Science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김영신;이혜숙;신애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5호
    • /
    • pp.570-579
    • /
    • 2007
  • Instructional objectives clearly show what teachers should teach in the class and how they lead the class, focusing on a certain activity for their students in the class. Clear instructional objectives are a prerequisite for teachers to accomplish effectively their curriculum. The revised Bloom's taxonomy table of educational objectives has been introduced in 50 years since the publication of his original taxonomy table in 1956. Bloom's revised taxonomy table of educational objectives has two-dimensions,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and the "knowledge" dimension, and it classifies class objectives more elaborately and clear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classify instructional objectives stated in elementary science guidebooks for teachers into Bloom's revised taxonomy table, and see how the objectives of elementary science classes were categorized by grade level and area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how the objectives of elementary science classes by study area were classified into the new taxonomy table. This study classified 618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third- to sixth-grade science guidebooks for teachers into Bloom's revised taxonomy tab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bjectives of elementary science classes emphasized disproportionately some of the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s. In the area of subjects while the percentages of factual knowledge were very high, those of meta-cognitive knowledge were low.

  • PDF

Bloom의 신교육 목표 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과 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체계 비교 (Comparison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the 2007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with 7th Elementary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 위수민;김보경;조현준;손정주;오창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1호
    • /
    • pp.10-21
    • /
    • 201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he objectives in elementary science fo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to compare the classified data of 2007 revised curriculum with 7th national curriculum from a view of creative objectives. For the purpose, the frame and manuel was developed to classify the objectives. In this study,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third- to forth-grade level were classified through the frame. The finding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objectives, stated in elementary science fo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re biased to the 'conceptional knowledge', 'factual knowledge' and the 'underst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 And the remaining dimension of the Bloom's revised taxonomy is very scanty. Comparing with 7th national curriculum,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s objectives system has not conspicuous improvement in creativity area. It was suggested to improve present objectives system, because of give learners more experience to opportunity about creativity.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따른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수업 목표 분석 (Analyse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Wise Life'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이은영;신명경;최취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1호
    • /
    • pp.1-1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Wise Life'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t was to extend understanding the 7th and the revised Wise Life 2007 as well. The written objectives of two curriculum of Wise Life were divided into two,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Major activity subjects presented in the 7th and the revised Wise Life 2007 were dominantly the basic inquiry activity types. It was found from this research that the 'factual' knowledge of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understand' of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took a large proportion of the revised Wise Life 2007 objectives. The 'meta-cognitive' knowledge was increased. 'Remember' of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was decreased and the high level objectives as 'analyze' and 'create', i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was increased from the 7th to the revised curriculum. The 'factual' knowledge, 'conceptual' knowledge and 'metacognitive' knowledge were engaged with 'understand' and the 'procedural' knowledge were engaged with 'apply'. The 'meta- cognitive' were engaged with 'create' is the 'procedural' knowledge in the revised Wise Life 2007. 'Remember' was decreased. 'Create' was increased in the basic inquiry activities. It was analysed in zero percent of 'Observing', 'Investigating and Presenting', and 'Making'.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에 기초한 중학교 생물 영역 총괄 평가 문항의 목표 분석 (Analysis of Summative Evaluation Objectives in Middle School Biology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김윤희;윤기순;권덕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1호
    • /
    • pp.164-174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 생물영역의 총괄 평가 문항의 평가 목표를 블룸의 신 교육목표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하여 평가 목표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대구지역 중학교 25개교로부터 총 1,711개의 총괄 평가 문항을 수집하여 블룸의 신 교육목표분류체계에 따라 각 문항의 평가 목표를 분석하였다. 총괄 평가 문항을 지식과정 차원의 목표분류틀로 분석한 결과, 사실적 지식에 대한 평가를 목표로 하는 문항이 대부분(67.6%)을 차지하였다. 인지과정 차원에서 표본 문항의 평가 목표는 기억하는가를 평가하는 것이 가장 우세하였다(76.1%). 문항의 주된 평가 목표들이 블룸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 중 특정 영역에 치우쳐 있었고, 동일한 분류체계로 수업 목표를 분류했던 이전의 연구 결과와 비교했을 때, 수업목표와 평가 목표의 분포에 차이가 있었다. 학년별 문항의 평가 목표 수준을 분석한 결과,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변하는 인지 수준을 고려하여, 평가 목표를 선정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문항의 평가 목표에서 학년별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A Psychological Model fo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based on Revised Bloom Taxonomy for High School Girl Students

  • Hajibaba, Maryam;Radmehr, Farzad;Alamolhodaei, Hass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3호
    • /
    • pp.199-220
    • /
    • 2013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factors (i.e. math anxiety, attention, attitude, Working Memory Capacity (WMC), and Field dependency) and students' mathematics problem solving based on Revised Bloom Taxonomy. A sample of 169 K11 school girls were tested on (1) The Witkin's cognitive style (Group Embedded Figure Test). (2) Digit Span Backwards Test. (3) Mathematics Anxiety Rating Scale (MARS). (4) Modified Fennema-Sherman Attitude Scales. (5) Mathematics Attention Test (MAT), and (6) Mathematics questions based on Revised Bloom Taxonomy (RBT). Results obtained indicate that the effect of these items on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s different in each cognitive process and level of knowledge dimension.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07 및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의 성취기준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07 & 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with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in U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 최정인;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77-288
    • /
    • 2015
  • 과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교육목표를 안내하고,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며, 평가의 방향을 지시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자연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길러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할 줄 아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새롭게 개정된 교육과정인 만큼 이전의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과학교육이 추구하는 목표를 지향하는 성취기준이 되어야 바람직 할 것이다.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사용하여 우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으로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담아내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이전의 2007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인지과정 및 지식 차원에서 고등사고를 촉진하는 인지과정 및 지식차원의 유형이 확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미국의 NGSS와 비교하여 인지과정 차원과 지식 차원에서 특정 범주의 인지과정이나 지식 유형에 편중되어 있었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와 같은 인지과정이나 '메타인지 지식'과 같은 지식의 유형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었다. 성취기준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인지과정과 지식의 유형은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에서도 다루어지지 않음을 비교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천명하고 있는 과학교육의 목표를 고려하였을 때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 진술이 일부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 편중되어 있는 것은 분명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진술방식에 대한 제고를 통하여 다양한 인지과정과 지식의 유형을 지향하는 성취기준을 작성하여야 할 것이다.

중학교 수학 교과서 문제의 인지적 영역 분석 (Cognitive Domain of Problems in Korea Mathematics Textbooks)

  • 이지혜;허유진;신민경;허난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451-465
    • /
    • 2019
  • Textbooks are official materials so that these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teaching materials in school. The teacher constructs the lesso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to achieve the learning goal. Thus, textbooks play an important role because the quality of the contents in textbooks affects the cognitive level of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gnitive domain based on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knowledge, understanding, application,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of 'Values and Expression' in the mathematics textbook of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reflecting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e also looked at cognitive levels based on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understanding was dominant in 'Values and Expression'. Also, although the problem of requiring a higher level of cognition is increasing as the unit finishes, there are still a high percentage of low level of problems.

Bloom의 개정된 교육목표 분류에 따른 화학II 단원 평가 문항 분석 (Analysis of the End-of-Chapter Questions in Chemistry II according to Revised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서영진;김형수;채희권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29-337
    • /
    • 2010
  • 본 연구는 과학 교사들에게 교과서에 실린 문항에 대한 관심을 높일 뿐 아니라 교과서 문항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고등학교 화학II 교과서 8종의 단원 평가 문항을 블룸의 개정된 교육목표 분류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블룸의 인지 영역에 따른 분류에서는 '이해(44.7%)'에 해당하는 문항이 가장 많았고, '적용(29.9%)', '지식(15.6%)', '분석(9.5%)' 순이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일반화학 교재의 단원 평가 문항 분석 결과인 '적용', '분석', '이해' 순으로 되어 있는 것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평가'에 해당하는 문항은 전체 화학II 교과서에서 단 한 문제도 발견되지 않았으며 '종합(0.3%)'에 해당하는 문항도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한편 '적용'에 해당하는 문항의 대부분이 특정한 계산을 요하는 '양적인 수행'이었으며 '이해' 및 '양적인 수행'에 해당하는 문항의 비율은 분석된 총 문항의 70%에 이르렀다.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교육프로그램의 학습목표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ograms of Centers for the University Affiliated Science-Gifted Education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박경진;류춘렬;최진수
    • 영재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7-35
    • /
    • 2017
  • 이 연구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프로그램에 제시된 학습목표를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와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학습목표를 분석할 때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7개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프로그램 중 과학 분야 169개 주제에 제시된 702개의 학습목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하고 코딩한 후 각 학습목표 사이의 구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로 나타난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 별로 사용된 학습목표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초등은 약 3개, 중등은 약 6개의 서로 다른 범주의 학습목표가 사용되고 있었다. 둘째, 연구방법과 학교 급에 관계없이 지식차원의 사실적 지식, 개념적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의 '기억하다', '이해하다', '창안하다'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단순 통계 분석 결과로는 확인할 수 없지만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통한 가중치에 근거하여 살펴본 결과 초등 단계는 과학적 사실에 대한 학습을 통해 실제실험과정에 적용해 보는 활동을 강조한 반면, 중등 단계는 이보다는 과학적 사실, 개념 자체를 이해하는 것을 더욱 강조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기존 단순 통계적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것에 비해 보다 다양한 학습목표의 특성을 해석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언어네트워크분석방법이 학습목표를 분석하는데 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풍부한 정보 환경에서 정보와 함께 하는 학습: 인지기술 활용을 중심으로 (Learning with information in an infomration-rich environment)

  • 정진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4호통권50호
    • /
    • pp.135-158
    • /
    • 2003
  • 본 연구는 정보이용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탐구하였다. 특히 정보이용 과정 중에 활용된 학습자들의 인지기술 분석을 통한 그들의 의미 있는 학습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성공적인 정보이용이란 단순한 사실과 개념의 검색이라는 일반적 가정을 넘어서 학습자에게 개인적으로 의미 있는 학습이라 정의한다. 구성주의적 패라다임에 근본을 둔 질적 연구 방법론을 이용한 본 연구는 앤더슨과 크래스울(Anderson and Krathwohl, 2001)이 제시한 개정된 블룸의 택사노미라는 개념적 틀에 기초하여 실제정보이용 환경에서는 어떠한 인지기술이 활용되고 결과물에 반영되는지를 탐구하였다. '설득력 있는 화법(Persuasive Speech)"이라는 영어과 교과 중 하나의 과목의 우등반 학생 21명의 참여로 두 가지 방법론의 혼합적 활용이 - 개념도와 개별 인터뷰 - 제안되어 학 습자들의 자연스런 정보 환경 속에서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는 학생들이 정보이용 과정 중에 네 가지 패턴의 변환을 거치면서 개정된 블룸의 텍사노미에 제시된 모든 단계의 학습에 필요한 인지기술의 활용이 발견이 되었고 특히 풍부한 정보 환경에서는 고급 학습단계의 인지기술의 활용이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