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od vessel

검색결과 757건 처리시간 0.032초

불안정한 생체징후 하의 두피 결출상 환자의 치험례 (Treatment of Complete Scalp Avulsion with the Conditions of Unstable Vital Signs: A Case Report)

  • 이강우;강상윤;양원용;범진식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6-120
    • /
    • 2011
  • Purpose: Scalp avulsion is a life-threatening injury that may cause trauma to the forehead, eyebrows, and periauricular tissue. It is difficult to treat scalp avulsion as it may lead to severe bleeding. Therefore, emergency scalp replantation surgery is necessary, and we must consider the function, aesthetics, and psychology of the patients. A case of scalp avulsion leading to massive bleeding was encountered by these authors, which led to a failure to achieve the proper operation conditions in an adequate time period. Methods: A 49-year-old female was hospitalized due to having had her head caught in a rotatory machine, causing complete scalp avulsion which included the dorsum of the nose, both eyebrows, and ears. Emergent microsurgical replantation was performed, where a superficial temporal artery and a vein were anastomosed, but the patient's vital signs were too unstable for further operation due to excessive blood loss. Three days after the microanastomosis, venous congestion developed at the replanted scalp, and a medicinal leech was used. Leech therapy resolved the venous congestion. A demarcation then developed between the vitalized scalp tissue and the necrotized area. Debridement was performed 2 times on the necrotized scalp area. Finally, split-thickness skin graft with a dermal acellular matrix ($Matriderm^{(R)}$) was performed on the defective areas, which included the left temporal area, the occipital area, and both eyebrows. Results: The forehead, vertex, right temporal area, and half of the occipital area were successfully replanted, and the hair at the replanted scalp was preserved. As stated above, two-thirds of the scalp survived; the patient could cover the skin graft area with her hair, and could wear a wig. Conclusion: Complete scalp avulsion needs emergent replantation with microsurgical revascularization, but it often leads to serious vital conditions. We report a case with acceptable results, although the microanastomosed vessel was minimal due to the patient's unstable vital signs.

Gadoteridol을 이용한 Head & Neck MR Angiography에서의 적정 Flip Angle (Optimization of Flip Angle at Head & Neck MR Angiography using Gadoteridol)

  • 정현근;김민기;송재준;남기창;최현성;정현도;김호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3호
    • /
    • pp.151-15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가돌리늄 조영제를 사용한 Head & Neck MR Angio검사에 있어서 매개변수인 FA(Flip Angle)이 MR신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른 FA의 적정 값을 제시하는 것이다. 실험은 FA증가에 따른 MR팬텀실험과 임상실험으로 진행하였고, 이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실험결과 팬텀실험에서의 조영증강 반응시작 지점인 RSP(Reaction Starting Point)는 FA증가에 따라 300~400 mmol 사이에서 반응하였고, 최대 신호강도인 MPSI(Max Peak Signal Intensity)는 2,086, 3,705, 5,109, 6,194, 7.096, 7,192 [a.u]를 기록하였다. MPSI가 형성되는 몰농도 지점인 MPP(Max Peak Point)는 FA에 증가에 따라 40, 50, 50, 40, 50, 40 mmol에서 보였으며, MPSI의 증가율인 IRMPSI(Increase Rate of MPSI)는 77.6%, 37.9%, 21.2%, 14.6%, 1.4%임을 확인하였다. 임상실험에서의 평가기준인 SICB(Signal Intensity of Carotid artery Bifurcation)는 FA증가에 따라 각 평균값 2392.5, 4165.2, 4270, 3502.2, 3263.7, 3119.6 [a.u]를 기록하였고, 아티팩트 발생율인 ORA(Occurence Rate of Artifact)는 0, 0, 20, 40, 50, 70%로 점차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FA의 증가는 혈관 내 가돌리늄과 결합한 H1스핀의 신호강도와 아티팩트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이는 실제 임상에서의 CE(Contrast Enhanced)-Head&Neck MR Angio검사에 있어서 본 연구의 데이터를 활용한다면 진단학적으로 효율적인 MR Angiography 영상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콜라겐으로 유도한 사람 혈소판 응집에 미치는 Scopoletin의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Scopoletin in Collagen-induced Human Platelet Aggregation)

  • 권혁우;신정해;박창은;이동하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4-41
    • /
    • 2019
  • 혈소판 응집은 혈관 손상의 경우 지혈 플러그 형성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과도한 혈소판 응집은 혈전증, 죽상 동맥 경화증 및 심근 경색과 같은 순환기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다. Scopoletin은 Scopolia 또는 Artemisia 속 식물의 뿌리에서 발견되는 성분으로, 항응고 및 항말라리아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collagen에 의해 유발된 혈소판 응집에 scopoletin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copoletin은 활성화된 혈소판에서 생성되는 응집 유도 분자인 thromboxane $A_2$ ($TXA_2$) 및 세포 내 $Ca^{2+}$ 동원 ($[Ca^{2+}]_i$)의 하향 조절을 통해 항 혈소판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scopoletin은 세포 내 $Ca^{2+}$-길항제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cAMP)와 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 (cGMP) 수치를 증가시켰다. 특히, scopoletin은 cGMP보다 cAMP 수준을 강력하게 증가함으로써 콜라겐에 의해 유발된 사람 혈소판 응집에서의 ${\alpha}IIb/{\beta}_3$에 대한 피브리노겐 결합을 억제하였다. 또한, scopoletin은 용량 의존적으로 collagen에 의해 증가된 adenosine trisphosphate (ATP)의 방출을 억제하였다. 이 결과는 혈소판 내 과립 분비를 통한 응집 증폭작용이 scopoletin에 의해 억제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scopoletin이 강력한 항혈소판 효과를 가지며 혈소판-유래의 혈관 질환을 예방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노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혈관상태와 스트레스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Vascular Conditions and Stress on Leisure Activity in the Elderly)

  • 김동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3-61
    • /
    • 2020
  • 목적: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혈관상태와 스트레스를 알아보고 스트레스의 문제가 노인의 혈관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노인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여가활동 항목의 구성을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여가활동에 대한 혈관상태와 스트레스를 분석하였으며 노인의 혈관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노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혈관상태의 평균값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p=.012) 체육활동이 혈관 상태에서 가장 안정성이 높았다. 둘째, 노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스트레스의 평균값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p=.035) 휴식 및 기타활동이 다른 활동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스트레스 문제가 혈관상태에 미치는 영향은 경제적어려움과 건강문제에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노인에게서 여가활동은 삶의 질 변화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노인은 여가활동을 통한 혈관상태의 개선과 스트레스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고 특히 체육활동은 혈관상태와 긍정적 관계가 있고 휴식 및 기타활동은 스트레스와 부정적 관계가 있다. 이로 인해,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 선정과 지속적인 참여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음파 장비에 따른 정도관리와 화질 비교 (Quality Control and Image Quality Comparison according to Ultrasonic Equipment)

  • 홍동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935-942
    • /
    • 2022
  • 초음파 유도 하 중재적 시술 시 먼저 초음파 장비로 병변의 위치를 파악하며 angio needle을 삽입한다. 이때 실제와 초음파 상 병변의 위치 또는 바늘의 투과 깊이의 차이가 클수록 인체의 주요 혈관이나 조직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초음파 장비 업체와 연식에 따라 성능의 차이가 나는지, 이것이 시술의 정확도에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지 의문이 들어 이를 연구 주제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는 임의의 초음파 5대의 장비를 사용하여 초음파상 주사침의 길이와 실제 길이를 비교하여 왜곡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초음파 유도 하 돼지고기 투과 시 각 연식과 업체가 다른 다섯 대의 초음파 장비로 실제 소시지의 깊이와 바늘의 투과 길이를 영상에서의 값을 측정하여 오차율을 비교하기 위해 spss 22 통계 프로그램의 단일 표본 T 검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범위의 수치가 나왔고, 장비의 연식과 업체만으로 성능을 평가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므로 초음파 정도 관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시술자의 숙련도를 높여 실제 시술 부위와 영상에서의 오차율을 줄여야한다고 결론을 내리는 바이다.

혈관과 섬유증의 평활근 및 세포외기질 조절에 대한 릴랙신의 다양한 작용기전 (Diverse Mechanisms of Relaxin's Action in the Regulation of Smooth Muscles and Extracellular Matrix of Vasculature and Fibrosis)

  • 민계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5-188
    • /
    • 2022
  • 혈관과 섬유증 기관들의 평활근과 세포외기질에 대한 릴랙신의 조절기능이 입증되어왔다. 본 총설에서는 저항성 소동맥과 방광을 포함한 섬유증 기관들의 세포외기질에 작용하는 릴랙신의 다양한 기전들을 고찰한다. 릴랙신은 혈관 평활근육의 수축을 억제하고,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구성성분들을 감소키켜 혈관벽의 수동적 신전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혈관확장을 유도한다. 릴랙신이 동맥의 혈관확장을 유도하는 주된 세포기전은 RXFP1/PI3K의 활성화, Akt 인산화 및 eNOS 활성화를 통한 내피세포-의존성 산화질소의 생성에 의해 매개된다. 추가적으로, 릴랙신은 또한 다른 대체경로들을 작동하여 신장과 장간막 동맥의 혈관확장을 증가시킨다. 신장 소동맥에서, 릴랙신은 내피세포의 MMPs 및 EtB 수용체의 활성화와 VEGF 및 PlGF의 생성을 촉진하여, 평활근의 수축성과 콜라겐의 침착을 억제함으로써 혈관확장을 초래한다. 이와 달리, 장간막 소동맥에서, 릴랙신은 bradykinin (BK)-유도 이완을 시간-의존적으로 증강시킨다. BK-매개 이완의 신속 증가는 IKCa 이온통로와 뒤이은 EDH 유발에 의존하는 반면, BK에 의한 지속적 이완은 COX 활성과 PGI2에 의존한다. 릴랙신의 항섬유화 효과는 염증유발 면역세포의 침투, endo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 (EndMT) 및 근섬유아세포의 분화와 활성을 억제하여 매개된다. 릴랙신은 또한 근섬유아세포 내 NOS/NO/cGMP/PKG-1 경로를 활성화하여, TGF-β1-유도 ERK1/2 및 Smad2/3 신호의 활성과 ECM 콜라겐의 침착을 억제한다.

A decade of treating traumatic sternal fractures in a single-center experience in Korea: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 Na Hyeon Lee;Seon Hee Kim;Jae Hun Kim;Ho Hyun Kim;Sang Bong Lee;Chan Ik Park;Gil Hwan Kim;Dong Yeon Ryu;Sun Hyun Kim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6권4호
    • /
    • pp.362-368
    • /
    • 2023
  • Purpose: Clinical reports on treatment outcomes of sternal fractures are lacking. This study details the clinical features, treatment approaches, and outcomes related to traumatic sternal fractures over a 10-year period at a single institution. Method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of patients admitted to a regional trauma center between January 2012 and December 2021. Among 7,918 patients with chest injuries, 266 were diagnosed with traumatic sternal fractures. Patient data were collected, including demographics, injury mechanisms, severity, associated injuries, sternal fracture characteristics, hospital stay duration, mortality, respiratory complications, and surgical details. Surgical indications encompassed emergency cases involving intrathoracic injuries, unstable fractures, severe dislocations, flail chest, malunion, and persistent high-grade pain. Results: Of 266 patients with traumatic sternal fractures, 260 were included; 98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sternal fractures, while 162 were managed conservatively. Surgical indications ranged from intrathoracic organ or blood vessel injuries necessitating thoracotomy to unstable fractures with severe dislocations. Factors influencing surgical treatment included flail motion and rib fracture. The median length of intensive care unit stay was 5.4 days (interquartile range [IQR], 1.5-18.0 days) for the nonsurgery group and 8.6 days (IQR, 3.3-23.6 days) for the surgery group. The median length of hospital stay was 20.9 days (IQR, 9.3-48.3 days) for the nonsurgery group and 27.5 days (IQR, 17.0 to 58.0 days) for the surgery group. The between-group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urgical interventions were successful, with stable bone union and minimal complications. Flail motion in the presence of rib fracture was a crucial consideration for surgical intervention. Conclusions: Surgical treatment recommendations for sternal fractures vary based on flail chest presence, displacement degree, and rib fracture. Surgery is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offset-type sternal fractures with rib and segmental sternal fractures. Surgical intervention led to stable bone union and minimal complications.

Collagen 유도의 사람 혈소판에서 인산화 단백질 조절을 통한 hydroxygenkwanin의 혈소판 응집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hydroxygenkwanin on platelets aggregation via regulation of phosphoproteins in collagen-induced human platelets)

  • 박창은;이동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122-127
    • /
    • 2023
  • 심혈관 질환(CVD)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 원인으로써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이며, 혈관 손상이 발생하였을 때, 혈전이 과도하게 형성되는 것이 그 원인인 중 하나이다. 근래에 혈소판 억제를 통한 항혈전 물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천연 생물활성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부작용을 줄이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Flavonoid 중 하나로 알려진 hydroxygenkwanin(HGK)은 팥꽃나무(Daphne genkwa)에서 정제되는 물질로서 항균, 항염증 및 항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혈전증을 예방하는 조직 인자의 억제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었지만 항혈소판 효과와 그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HGK가 collagen 유도의 사람 혈소판 응집에 미치는지 확인하였고, 그 작용 기전을 확인하였다. HGK은 혈소판 신호 전달 과정에서 PI3K/AKT 및 MAPK의 인산화를 억제하였고, ATP 및 serotonin 등의 혈소판 내 과립 분비를 감소하였다. . 또한, HGK는 cPLA2의 인산화를 억제하며 응집 촉진물질인 TXA2 생성을 강하게 저해하였다. 결과적으로 응집 유도 물질인 collagen가 유도한 혈소판 응집을 86.36 µM의 IC50로 강하게 억제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HGK가 혈관 손상을 통해 일어나는 사람 혈소판의 활성화 및 응집을 억제하는 항혈전 물질로 가치가 있음을 분명히 하였다.

흉부 및 대혈관 외상의 인터벤션 (Intervention for Chest Trauma and Large Vessel Injury)

  • 이호준;권훈;김창원;황보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4호
    • /
    • pp.809-823
    • /
    • 2023
  • 외상(trauma)이란 신체 외부에서 작용한 힘에 의한 여러 해부학적, 병태생리학적 변화를 수반하는 신체 손상을 의미한다. 외상 환자는 우리 사회가 고도로 발달해 감에 따라 그 수도 따라 증가하고 있다. 치료 및 진단기술의 발전과 보급의 증가로 외상의학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으며 그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다. 그중 특히 흉부 및 흉부의 대혈관의 손상은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고 그 후유증 역시 심각한 경우가 많아 진단 및 치료 방법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흉부 및 흉부의 대혈관의 외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사고 수상 기전 및 관련된 해부학적 손상 기전에 따라서 다양한 정도의 신체 손상이 발생한다. 주요한 손상으로는 흉부의 동맥에서 발생하는 출혈이 있으며, 이는 혈역학적 불안정과 응고장애 등을 동반하여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게 된다. 이러한 손상은 즉각적인 진단과 빠른 치료적 접근이 예후를 증진하는데 도움을 주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환자의 치료로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수술적 접근 방법과 중재적 시술로 접근하는 방법이 있다. 이 중 중재적 시술은 그 편리성과 신속성 및 높은 치료 효과로 인해 점차 각광받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보다 많은 외상의료기관에서 점차 시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흉부 외상 환자의 인터벤션 치료로는 비대동맥성 손상의 경우 색전술(embolization)이 있으며, 대동맥의 경우 thoracic endovascular aortic repair (TEVAR)가 있다. 이러한 시술들은 수술적 치료 방법에 비하여 내과적 혹은 외과적 부작용이 적고, 수술적 방법보다 신속하게 시행할 수 있는 점 등 보다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외상 환자의 치료성적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극저전류자극이 손상된 토끼 뇌의 별아교세포 증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icrocurrent Stimulation on the Astrocytes Proliferation at Injured Brain of Rabbit)

  • 김지성;민경옥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07-119
    • /
    • 2002
  • Astrocyte, which shares the greatest part of the brain (about 25%), is a land of glial cell that composes the central nervous system along with microglia, ependymal cell and oligodendroglia. It has 7-9nm of fibers in its cytoplasma, which are composed of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and vimentin. As for the functions of the astrocyte, it has, so far, been supposed that the astrocyte will play a cytoskeletal role in maintaining the structure of the cerebrum, play a role as a blood-brain barrier so that it can induce migration of the neuron in its development and substances in the blood cannot go into the nervous tissue, and a role of immunology and phagocytosis. However, it was revealed today that it will be a role in preventing expansion of injury by attaching itself to the connective tissue such as the vessel and the pia mater when the nervous tissue or the arachnoid is injured. Microcurrent stimulation can control current, on the basis of A unit. That is, with such devices using it, it is possible to sense, from the outside, the injured current(wound current) of the lesion and to change it into the normal current, thereby promoting the restoration of the cell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microcurrent stimulation on the injured astrocytes in the rabbi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4 New Zealand White Rabbit as its subjects, which were divided into 8 animals of the experiment group and 16 animals of the control group. After the animals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fixed to the stereotaxic apparatus, their hair was removed and their premotor area(association area) perforated by the micro-drill for skull-perforation with the depth of 8mm from the scalp. In one week after the injury, 4 animals in the control group and 8 animals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sacrificed and examined with immunohistochemical method. And in three weeks, the remaining 4 animals in the control group and 8 animals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also sacrificed and examined with the same way. The conclusion has been drawn as follows : In the control group sacrificed in one week after the injury, the astrocytes somewhat increased, compared with the normal animals, and in the group sacrificed in three weeks after the injury, they increased more (p < 0.05). The experiment group A in one week showed a little increa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 experiment group in three weeks showed more increas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 group in one week (p < 0.05). The experiment group B in one week showed more increase than the control group or the experiment group A, and the experiment group in three weeks showed more increase than the experiment group in one week (p < 0.05). Among the astrocytes, fibrous astrocytes were mostly observed, increasing as they are close to the lesion, and decreasing as they are remote from it. The findings show that microcurrent can cause the astrocytes to proliferate and that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stimulate the cervical part somewhat remote from the lesion rather than to directly stimulate the part of the lesion. Thus, microcurrent stimulation can be one of the methods that can activate the reaction of astrocytes, which is one of the mechanism for treating cerebral injury with hemorrhage.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for promoting restoration of functions in the patient with injury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