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od Donation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2초

헌혈자의 헌혈 반복성과 건강증진행위, 자기 효능감, 자존감과의 관계 (A Study on the Repeated Blood-Dona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Blood-donors.)

  • 홍경희;박호란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33-341
    • /
    • 200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basic strategies of nursing intervention in order to keep and obtain healthy, responsible and regular donor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relationship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blood-donors. The subjects collected for the research were four hundred and sixty-eight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platelet donation at a university hospital apheresis unit in Seoul.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between May and June, 2002 using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oportion of subjects who have not had previous experience of whole blood-donation was $13.7\%$, while the proportion of subjects who have had two times previous experiences was $16.2\%$ and over five times was $30.6\%$. 2. Mean scor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2.7 (range 1-4), self-efficacy was 3.8 (range 1-5) and self-esteem was 3.3 (range 1-4), which showed higher than middle. 3. There was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blood-dona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as well as the number of blood donation and self-efficacy. 4.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the number of whole blood-donation and the number of apheresis blood-donation. Therefore, to increase recurrence of blood-don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ore effective and organized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can promot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blood-donors.

  • PDF

일 지역 대학생의 헌혈행위 참여 예측요인 (Predictive Factors of Blood Don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Clinical Faculty, Department of Nursing, Saint John Fisher College)

  • 이은남;주현옥;강지연;김수진;윤영진;오주현;송영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0-77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ortant factors for predicting blood donation behavior of medical &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To analyze these issues using logistic regression, we collected data from 230 nursing & medical students of D University in B city by using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December 12 to December 21, 2004. Knowledge for blood donation was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Koo(1982), self efficacy was assessed by General Self Efficacy Scale (Sherer & Maddux, 1982), and altruistic attitude was measured by Altruistic motivation & Responsibility Scale(Jo, 199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Chi -square, and logistic regression by using SPSS/Win 11.0 version. Results: As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actors which showed significance for predicting blood donation behavior were the perceived health status, family member's experience for the blood donation, religion and gender.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ived health status of college students and to conduct a campaign for blood donation around college students whose family members have had the experience of blood don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rate of blood donation in medical and nursing college students.

  • PDF

대학생의 헌혈에 대한 지식, 인식수준에 따른 헌혈행태 (Association betwee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egarding Blood Donation in University Students)

  • 김정현;윤중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316-326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헌혈지식, 헌혈인식, 헌혈태도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헌혈 촉진 및 저해 요인을 파악하여 헌혈 참여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자료는 2014년 12월 8일부터 12일까지 국내 두 개 대학교의 보건계열 20대 대학생 272명을 대상으로 헌혈지식, 헌혈인식, 헌혈경험에 관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분석방법은 Pearson correlation test, t-test, descriptive statistics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혈인식이 긍정적일수록 헌혈횟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둘째, 보건계열 전공생과 비보건계열 전공생 집단 간 헌혈지식(P<.01)과 헌혈인식(P<.05)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헌혈경험자가 헌혈비경험자에 비해 헌혈 참여의도가 높았다(P<.01). 분석 결과를 토대로 20대 대학생의 헌혈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홍보를 통한 헌혈인식 개선과 헌혈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것이라 제언한다.

일개 종합병원 보건의료인의 헌혈경험 관련 요인 (Related Factors on the Blood Donation Experience among Healthcare Provider in a General Hospital)

  • 공정희;김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628-263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헌혈에 대한 지식과 태도, 이타성을 조사하고 헌혈경험과 관련한 요인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자료는 311명의 보건의료인을 편의추출하여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헌혈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63.3%를 나타냈다. 간호사와 임상병리사 중 남자들의 헌혈 참여 비율이 여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보건의료인의 직업 유형에 따라 헌혈 지식에 차이가 있었고, 연령과 경력이 더 높은 군이 이타성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헌혈에 참여하기 위해 더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전략이 확인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추후에는 보건의료인들이 헌혈에 참여하는 가장 중요한 동기요인이 다른 사람을 돕기 위한 책임감이었으므로 책임감과 관련한 변인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헌혈자의 헌혈기록정보의 인식도 및 만족도 연구 (The Study of Health Information on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Their Blood Donation)

  • 최희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405-415
    • /
    • 2014
  • 본 연구는 헌혈 참여자들의 헌혈에 대한 지식과 인식 및 만족도,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홍보방안에 대해 살펴보고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헌혈인구의 확대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3월 9일부터 3월 24일까지 16일간이었고, 자료의 수집방법은 설문조사로 총 700부를 배포하여 636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 t-test, ANOVA를 시행한 결과 첫째, 남성, 20~29세의 범위 연령층에서, 학생, 대졸이상의 집단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다. 둘째, 헌혈에 대한 지식과 인식도는 모른다는 내용이 많았으며, 만족도는 헌혈행위에 대한 만족보다는 헌혈과 관련된 서비스 만족도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헌혈 홍보에서는 홍보교육이 필요하며 홍보매체와 수단으로는 TV, 거리광고, 전철광고 방법 순의 결과를 보였으며 지속적인 헌혈을 위하여 헌혈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헌혈인구 확대를 위해서는 헌혈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홍보를 통하여 대국민 인식변화를 유도하고 헌혈자에 대한 다양한 보상 이벤트제공 등으로 헌혈에 대한 더욱 적극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헌혈 지식 및 태도, 이타성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Donation Knowledge, Attitude and Altruism of Nursing Students)

  • 임세미;염영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68-7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헌혈 지식 및 태도, 이타성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적극적인 헌혈 실천 증가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20년 6월 4일부터 6월 15일까지 G시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사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지식 정도는 평균 10.83점, 태도 정도는 평균 3.15점, 이타성의 정도는 평균 3.57점으로 나타났다.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헌혈 태도와 이타성(r=.447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헌혈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봉사활동을 통한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이타성을 높이고 코로나로 인해 헌혈 수급이 부족한 현 실정에 맞추어 대학생들의 헌혈 태도와 인식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적십자사 헌혈의 집 실내공간의 실태분석에 따른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rior of Blood Donation Houses of the Korean Red Cross - Improvement Advice based on Recent Changes around Seoul Area -)

  • 한명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140-147
    • /
    • 2005
  • For a safe and stable supply of blood in Korea, 'Blood Donation Houses' are springing up all over Korea to advertise and improve the awareness on blood donations. This research will conduct a study on such blood donation centers, their conditions and problems. It will furthermore provide solutions to raise the level of comfort to donators and help nurses for a better working environment. The research will be conducted in 'Blood Donation Houses' that were established by 4 centers of the Korean Red Cross in Seoul after 1993. Any houses that are temporary (containers, buses, smaller than 15 pyung)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changes of these houses, the ones analyzed and recorded in the 2002 data were used as a basis for comparison. A total of 16 hous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5 houses were closed after the initial study of 2002, and 6 houses were not available for research upon above mentioned criteria, leaving 9 houses from the original 2002 data. 7 additional houses were opened after 2002, which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a close study of written materials on the historical and theoretical viewpoint of blood donations, as well as visits to the actual Blood Donation Houses. The conclusion will offer solutions to necessary functional and working space, and lighting in such houses on the basis of above analyzed theoretical and practical data.

헌혈에 대한 대중 인식 개선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Designing Mobile Application for Improvement in Public Understanding of Blood Donation)

  • 허선주;최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12-120
    • /
    • 2011
  • 한국의 혈액사업은 반세기 이상의 역사를 갖고 발전해왔으며, 기술 발전은 그 과정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대한적십자사와 민간 혈액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중이 헌혈의 필요성을 절감하지 못함과 동시에 현행 혈액관리체계에 대한 불신을 가지고 있어 혈액 사업 전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모바일 시장에서 급부상하고 있는 스마트폰은, 초소형 PC의 역할을 수행하며 현대인의 삶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새로운 미디어로 각광받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헌혈에 대한 대중의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헌혈 어플리케이션 '나누미(가칭)'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구체적 개발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기존 연구와 선행 개발된 헌혈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였으며,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기능구성과 UI 디자인을 제안하는 단계까지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개심술시 자가헌혈을 이용한 자가수혈의 효과 (Use of Predonated Banked Autologous Blood in Open Heart Surgery)

  • 김동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7호
    • /
    • pp.685-692
    • /
    • 1992
  • In spite of multiple technical advances, large amount of homologous blood transfusions usually required for open heart surgery. Because the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ransfusion are increased as the number of homologous transfusion increase, especially as transfusion related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has appeared in recent years, such risks have stimulated recent interest in the use of autologous blood. This is a report concerning 23 consecutive adult autologous donors[autologous group] who had elective cardiac surgery at the Yonsei Cardiovascular Center,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rom march, 1990 to august, 1991. A similar group of 23 patients operated during the same periods without autologous blood donation was used for comparison [control group]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donated autologous blood in decreasing the need of homologous transfusion and to investigate predonation related adverse effect. Autologous group consisted of 15 men and 8 women. Control group consisted of 7 men and 16 wom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age, hemoglobin, hematocrit, RBC count, platelet count and prothrombin time on admiss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mean autologous blood donation in autologous group was 2.2 units. In 10[43.5%] of the 23 atuologous group patients, no homologous RBC products transfusion was required. However, all patients required homologous transfusion in control group. In autologous group, patients required less homologous RBC products than control patients[2.1 units versus 5.3 units; p<0.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moglobin, hematocrit, RBC count and platelet count between the two groups before discharge. There were no serious complications related to preoperative blood donation, although 3 patients complained of mild dizziness during donation We conclude that preoperative autologous predonation of blood is a safe and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homologous transfusion and is recomended in all patients undergoing elective cardiac surgery except limited contraindications such as severe aortic valve stenosis or unstable angina pectoris.

  • PDF

헌혈자와 비헌혈자의 헌혈에 대한 지식, 태도 및 동기에 대한 비교 (Comparison Study of Knowledge, Attitude and Motivation Between Blood Donors and Non-donors)

  • 신재학;사공준;김석범;김창윤;강복수;정종학;송달효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6권2호
    • /
    • pp.159-172
    • /
    • 1989
  • 일부 가두 및 단체 헌혈자와 헌혈 미경험자들의 헌혈에 대한 태도, 지식 및 동기 등을 비교조사하기 위해 1989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대구적십자 혈액원 소속 가두헌혈차를 방문하여 헌혈한 사람과 동 기관에서 실시한 단체헌혈캠페인의 헌혈자 622명과 가두헌혈자를 방문하여 헌혈을 거부하였거나 단체헌혈캠페인에서 거부한 322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서를 이용하여 조사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헌혈자군은 남자가 84.1%, 여자 15.9%였고 비헌혈자군은 남자 73.6%, 여자 26.4%였고 16-24세군이 헌혈자군 63.2%, 비헌혈자군 72.7%를 차지하였다. 그 외 교육정도, 직업분포, 종교, 가구당 월수입, 결혼상태 및 건상상태의 분포도 헌혈자군과 비헌혈자군이 유사하였다. 헌혈에 관한 정보습득 매체는 TV가 헌혈자군 75.2%, 비헌혈자군 78.9%로 가장 많았고, 헌혈차직원, 라디오, 신문 순이었다. 잡지를 통한 정보습득이 헌혈자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5). 헌혈자군의 70.6%, 비헌혈자군의 58.1%가 헌혈을 권유받은 적이 있다고 대답했으며(p<0.01), 권유의 근원은 두군 모두에서 친구가 가장 많았고 헌혈차직원이 그 다음이었다. 헌혈 및 혈액에 관한 지식측정 문항 중 정답률이 가장 높은 것은 "혈액의 생성 및 소멸"에 관한 것이었으며 오답률이 가장 높았던 문항은 "수혈을 통한 암전파 가능"이었다. 헌혈자군의 평균정답률은 62.6%였고 비헌혈자군은 54.1%로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p<0.01).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정답률도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헌혈에 대한 태도측정 문항중에서 "혈액에 대한 느낌", "수혈을 가정한 혈액선택" 및 "혈액부족상황에 대한 견해"가 헌혈자군과 비헌혈자군 사이에 태도가 차이가 있었다(p<0.05). 헌혈자군 비헌혈자군에서 헌혈의 가장 큰 동기는 "예치성 동기"였고 그 다음이 "인도주의적 이유"이었다. 헌혈에 응하지 않은 이유의 분포는 헌혈자군과 비헌혈자군 모두에서 "주사침공포", "헌혈차나 혈액원 방문이 두렵다" 그리고 "헌혈이 건강이나 활동에 지장" 등의 순으로 중요한 이유였다. 이상의 소견으로 보아 헌혈에 대한 홍보 및 계몽활동시 잡지를 이용하는 방안이 더욱 고려 되어야겠으며 홍보내용은 위의 지식측정문항중 오답률이 높은 것과 헌혈에 응하지 않은 이유중 잘못 인식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뤄져야겠으며 각종 두려움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회 헌혈자의 비중을 높여야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