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ck quality

검색결과 1,210건 처리시간 0.031초

16개의 처리기를 가진 다중접근기억장치를 위한 영상처리 알고리즘의 구현에 대한 성능평가 (Performance Analysis of Implementation on Image Processing Algorithm for Multi-Access Memory System Including 16 Processing Elements)

  • 이유진;김재희;박종원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9권3호
    • /
    • pp.8-14
    • /
    • 2012
  • 최근 3D TV나 영화, 증강현실과 같은 대용량 고화질의 영상 응용분야가 확산됨에 따라 빠른속도로 영상을 처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여러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되어 병렬처리 성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SIMD구조의 컴퓨터는 다양하고 많은 양의 데이터들을 처리하는 것을 가속화한다. 다중접근기억장치인 MAMS는 여러개의 PE와 고성능 SIMD 구조에 최적화된 시스템으로 MAMS는 메모리 모듈을 $M{\times}N$의 2-D array 개념을 적용하여 X, Y 좌표 및 임의의 간격으로 pq개의 데이터 각각에 수평, 수직, 대각선, 역대각선, 블록의 다양한 방식으로 충돌없이 접근하며, 이 메모리모듈(MM)의 개수 m은 pq 개수보다 큰 소수이다. MAMS-PP4는 4개의 PE와 5개의 MM로 구성되어 기존에 구현된 바 있다. 이 논문에서는 MAMS-PP4의 확장으로 16개의 PE와 17개의 MM으로 구성된 MAMS-PP16에 대한 영상처리 알고리즘의 구현과 그에 따른 성능평가에 대해 소개한다. MAMS-PP16의 인스트럭션 포맷은 64비트로 확장되어 새로 설계 되었으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추가와 새로운 인스트럭션이 포함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구현된 알고리즘이 수행될 수 있도록 MAMS-PP16의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이 시뮬레이터를 통해 구현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수행함으로서 MAMS-PP16의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영상처리 알고리즘 중 피라미드 기법을 적용하여 수행한 결과, 캐시를 사용하는 Serial processor에서는 랜덤한 응답인 반면, 캐시를 사용하지 않는 MAMS-PP16에서 일정한 응답을 확인하였다.

기상청 기상레이더 관측망을 이용한 합성 하이브리드 고도면 강우량(HSR)의 정확도 검증 (Accuracy Evaluation of Composite Hybrid Surface Rainfall (HSR) Using KMA Weather Radar Network)

  • 류근수;정성화;오영아;박홍목;이규원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496-510
    • /
    • 2017
  • 본 연구는 기상청의 기상레이더 관측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고도면 강우추정 기법 기반의 새로운 정량적 합성강수량 추정 방법을 제시한다. HSR기법은 지형클러터, 빔차폐, 비 기상 에코 및 밝은 띠의 영향을 받지 않는 하이브리드 고도면의 반사도를 합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HSR 합성반사도는 정적 HSR (STATIC)과 단일편파레이더에 대한 퍼지로직 기법과 이중편파레이더에 대한 시선방향 질감 기반의 품질관리 절차를 사용하는 동적 HSR (DYNAMIC) 합성으로 구분된다. STATIC과 DYNAMIC은 2014년 5월부터 10월까지 10개의 강우 사례에 대해 기상청 현업용 합성강우(MOSAIC)와 비교검증 하였다. 차폐 영역에서 STATIC, DYNAMIC, MOSAIC의 상관계수는 각각 0.52, 0.78, 0.69이며 평균 상대 오차는 각각 34.08, 30.08, 40.71%로 분석되었다.

Evalu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insertion torque and primary stability of dental implants using a block bone test

  • Bayarchimeg, Dorjpalam;Namgoong, Hee;Kim, Byung Kook;Kim, Myung Duk;Kim, Sungtae;Kim, Tae-Il;Seol, Yang Jo;Lee, Yong Moo;Ku, Young;Rhyu, In-Chul;Lee, Eun Hee;Koo, Ki-Tae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3권1호
    • /
    • pp.30-36
    • /
    • 2013
  • Purpose: Implant stability at the time of surgery is crucial for the long-term success of dental implants. Primary stability is considered of paramount importance to achieve osseointegr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sertion torque and primary stability of dental implants using artificial bone blocks with different bone densities and compositions to mimic different circumstances that are encountered in routine daily clinical settings. Methods: In order to validate the objectives, various sized holes were made in bone blocks with different bone densities (#10, #20, #30, #40, and #50) using a surgical drill and insertion torque together with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 values that were measured using the Osstell Mentor. The experimental groups under evaluation were subdivided into 5 subgroup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Results: In group 1, the mean insertion torque and ISQ values increased as the density of the bone blocks increased. For group 2, the mean insertion torque values decreased as the final drill size expanded, but this was not the case for the ISQ values. The mean insertion torque values in group 3 increased with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and the same was true for the ISQ values. For group 4, the mean insertion torque values increased as the cancellous bone density increased, but the correlation with the ISQ values was weak. Finally, in group 5, the mean insertion torque decreased as the final drill size increased, but the correlation with the ISQ value was weak. Conclusion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primary stability does not simply depend on the insertion torque, but also on the bone quality.

The Nutritive Value of Mulberry Leaves (Morus alba) and Partial Replacement of Cotton Seed in Rations on the Performance of Growing Vietnamese Cattle

  • Vu, Chi Cuong;Verstegen, M.W.A.;Hendriks, W.H.;Pham, K.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9호
    • /
    • pp.1233-1242
    • /
    • 2011
  • The in vivo digestibility of mulberry leaves (Morus alba) and the effects of the partial replacement of cotton seed with fresh mulberry leaf in rations on the performance of growing Vietnamese cattle was investigated. For the in vivo digestibility trial, twenty castrated rams of Phanrang breed (a local prolific breed) with an initial weight of 23-25 kg, were first assigned to four groups according to weight and then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dietary treatments to determine digestibility of nutrients in mulberry leaves (M. alba), natural Bermuda grass (Cynodon dactylon), elephant grass (Pennisetum purpureum) and buffalo grass (Panicum maximum cv. TD 58). All forages were cut and chopped daily before being offered (at 120% maintenance) to the sheep. In the feeding trial, 20 Laisind (Vietnam yellow cows${\times}$Red Sindhy bulls) crossbred bulls averaged 18 month old and 184 kg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al replacement of cottonseed in the diet by mulberry leaves on live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e. The experiment w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four levels of fresh mulberry leaves which varied from 0 to 15% of total dietary dry mater and five animals per treatment over an 84 day period. The in vivo digestion trial showed the superior quality of mulberry leaves compared with the grasses. Chemical analysis indicated that mulberry leaves had the highest CP and the lowest NDF contents (22.3 and 31.1% DM, respectively) among the four forages tested. Digestibility of DM and OM of the mulberry leaf (66.4 and 71.8%, respectively) was also the highest but that of CP (58.2%) and NDF (58.4%) was the lowest of the four forages evaluated (p<0.05). Consequently, the ME value and therefore net energy (NE) and unit feed for lactation (UFL) values of the mulberry leaves, which was estimated from chemical composition and digestibility values, were the highest among the forages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Results of the feeding trial showed no treatment effect on average daily gain (ADG) of the cattle. The values were 554, 583, 565 and 568 g/d for animals in the diets of 0, 5, 10, and 15% mulberry leaves inclusion, respectively. Total DM intake of the animal was not affected by the treatment when expressed as kg/animal/d. However, when adjusted for metabolic weight of the animal the DM intake was reduced (p<0.05) as whole cottonseed was replaced by mulberry leaves in the ration. When the level of mulberry leaves in the ration increased from 5 to 15% of dietary DM at the expense of whole cottonseed, CP and ME intakes of the cattl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nd the feed to gain ratio reduced by 8 to 14%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diet (p<0.05). Mulberry leaf is a good feed ingredient for ruminants because of its high level of crude protein and high digestibility of nutrients and energy. Mulberry leaves can be efficiently used as a source of protein supplement to replace cottonseed, a more expensive animal feeds ingredient, in the diet for Vietnamese cattle.

뽕밭 지하점적관수 및 관비에 의한 생산성 향상에 관한 연구 (Effect of Sub-soil Drip Irrigation and Fertigation on Mulberry Yield)

  • 이원주;최영철;송성범;성문현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6-12
    • /
    • 1992
  • 뽕나무에 대한 관수 및 관비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무관수를 대조로 하여 지하 20cm에 점적호수를 묻고 지하점적관수, 지하점적액비구, 지하점적액비증시구 등 4개 처리를 하고 수량 및 토양화학성, 뿌리의 분포상태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관수점을 구명하기 위하여 강우차단시설을 하고 0.1, 0.2, 0.5, 1.0 bar 및 자연 강우구 등 5개처리를 하여 수량을 조사하였다. 이와 함께 주요장려 뽕품종, 청일뽕, 용천뽕, 수성뽕, 개량뽕 및 신일뽕 등 5품종의 관수에 대한 반응정도를 구명한 포장시험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년 동안의 뽕잎 수량을 조사한 결과, 관수구에서는 무관수 대비 8% 액비구 및 액비증시구에서는 22%의 증수를 보였으나, 관수구는 무관수구와 통계적인 유의가 없었으며, 20% 액비증시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2. 토양의 화학성 중 인산함량은 액비구 및 액비 증시구에서 심토 중에 많이 존재하고 있었다. 3. 지하액비 공급은 심토에 뿌리를 더 많이 분포하도록 하였다. 4. 뽕잎 중의 화학성분은 지하액비 공급에 의해 무관수대비 수분율, 전질소, P$_2$O$_{5}$, $K_2$O, CaO 등의 함량을 높여 액비지하공급이 엽질도 개선시킴을 알 수 있었다. 5. 무관수구에서 잡초발생이 931kg/10a 였음에 비해, 지하액비구에서는 잡초의 발생이 거의 완전히 억제되는 효과를 보였다. 6. 지하점적액비공급시 현행 관행시비량 (1년차 : 25-11-15, 2년차 : 30-13-18k kg/10a)으로 충분하며, 증비는 필요치 않았다. 7. 관수점을 0.5bar로 조정한 관수구에서 뽕잎수량이 가장 높았다. 8. 품종별 관수 효과는 청일뽕과 용천뽕이 가장 높아 22-25%, 수성뽕과 신일뽕 및 개량뽑은 9-l3% 정도 높았다.

  • PDF

개량 SCB 저농도액비가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eveloped SCB Liquid Fertilizer on the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 함선규;김영선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0-105
    • /
    • 2011
  • 본 연구는 SCB 저농도액비애 질소, 인산, 칼리 성분을 첨가한 개량SCB액비(DSCB)의 시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처리구를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에 따라 무처리구(NF), 대조구(CF), 100DSCB(250 $ml{\cdot}m^{-2}$ DSCB), 80DSCB (200 $ml{\cdot}m^{-2}$ DSCB) 및 화학비료+SCB(CF+SCB)로 설정하여 처리한 후 엽색지수, 엽록소지수, 건물중, 잔디밀도 및 잔디의 양분함유량을 조사하여 생육을 평가하였다. 시험 전후 토양 분석결과, 처리구에 따른 토양화학성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DSCB와 SCB의 시비가 골프코스의 토양화학성의 변화에 영향을 마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엽색지수와 엽록소 지수를 조사한 결과, DSCB와 CF+SCB처리구는 NF보다 각각 2~3%와 14~19% 증가하였고, CF와는 비슷하였다. 잔디밀도 조사결과 DSCB처리구는 CF와 비슷하였고, CF+SCB는 CF보다 약 19% 증가하였다. CF와 비교할 때, 잔디생육량은 DSCB와 SCB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잔디에 함유된 양분은 CF+SCB에서는 질소가, 80DSCB에서는 인이 높게 조사되었다. 이들 결과를 볼때 DSCB와 SCB의 처리는 크리핑벤트그래스에서 양분흡수와 잔디밀도가 증가하여 잔디 품질을 향상시키는 가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부위마취 수술 노인환자의 수술 중 간호요구 (Nursing Needs for Elderly Patients with Regional Anesthesia during Operation)

  • 엄혜경;고성희;이영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51-360
    • /
    • 2016
  • 본 연구는 부위마취로 수술을 받는 노인환자의 간호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종합병원과 일개 준 종합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척추마취, 경막외마취, 신경차단하에 수술을 받은 126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2년 10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와 ANOVA, $Scheff{\acute{e}}$ test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환자의 부위마취 수술 중 간호요구의 평균은 $3.08{\pm}0.38$점이었고, 영역별로는 교육적($3.47{\pm}0.50$점), 영적($3.37{\pm}0.78$점), 신체적($3.31{\pm}0.46$점), 정서적($2.72{\pm}0.50$점), 환경적($2.51{\pm}0.47$점) 간호요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간호 요구는 성별, 종교, 배우자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수술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 요구는 수술과, 수술시간, ASA 신체분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부위마취 수술 노인 환자에게 수술과 마취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위마취 수술 노인환자의 간호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교육지침 및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움직임 벡터 정보를 이용한 SPIHT 부호화 기반의 디지털 비디오 워터마킹 (Digital Video Watermarking Based on SPIHT Coding Using Motion Vector Analysis)

  • 권성근;황의창;이미희;정태일;권기룡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427-1438
    • /
    • 2007
  • 비디오 워터마킹은 일반적으로 네 가지의 타입으로 분류되어진다. 첫 번째로는 원 비디오 신호에 워터마크를 삽입한 후 부호화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비디오 워터마킹 기법이 이에 속한다. 두 번째로는 블록 DCT, 양자화 등의 부호화 과정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것이고, 세 번째로는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것으로 이를 라벨링(labeling)이라고도 한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로는 움직임 벡터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것으로, 이는 높은 복잡도가 요구되며 블록화 현상과 같은 화질 열화가 발생된다. 본 논문에서는 움직임 벡터 추정을 이용한 I 프레임 상에서 SPIHT 기반의 비디오 부호화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블록 DCT 기반의 부호화기에 발생되는 블록화 현상을 제거하고, 점진적 전송 특성을 가진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I 프레임 상에서 이전 P 또는 B 예측 프레임으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추정한 후에 이를 기반으로 워터마크 삽입 영역을 선택한다. 그리고 DWT를 수행하여 워터마크 삽입 영역 상에서 움직임 벡터의 방향과 동일한 부대역 상의 웨이브릿 계수를 HVS에 기반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SPIHT 부호화기에 의하여 워터마크가 삽입된 비디오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 방법이 객관적 및 주관적인 화질 측면에서 우수한 비가시성을 확인하였고, 다양한 압축률 및 MPEG 재부호화 등에 대하여 우수한 강인성을 확인하였다.

  • PDF

양자화 복원 레벨 개수 증대로 발생되는 부가정보 감소방법 (Reduction Method of Added Information Generat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Quantizer Reconstruction Levels)

  • ;권순각;권오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154-1162
    • /
    • 2010
  • 스칼라 양자화기는 구현이 간단하기 때문에 각종 영상부호화기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스칼라 양자화기는 큰 양자화 계단크기를 사용하여 데이터양을 많이 줄일 수 있으나, 반대로 복원된 영상화질이 많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양자화 계단크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양자화 복원 레벨 개수를 증대시킴으로 인해 부호화 성능이 개선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동시에 양자화 복원 레벨 개수가 증대됨에 따라 복원 레벨 영역에 해당되는 심볼 정보를 추가적으로 전송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가 심볼 정보를 감소시키는 방법도 제안한다. H.264 동영상 부호화에서 화면내 부호화 화면에는 4${\times}$4(수평방향 4화소, 수직방향 4화소) 블록단위로 복원 영역의 심볼 정보에 허프만 부호화를 적용하고, 화면간 부호화 화면에는 매크로블록내의 8${\times}$8블록과 4${\times}$4블록에 대해 복원 영역의 심볼 정보를 허프만 부호화한다. 이를 통하여 양자화 복원 레벨 개수 증대로 발생되는 부가정보를 줄임으로써 같은 부호화율에서 부호화성능이 개선됨을 보인다.

뇌졸중 후 중추성 통증 환자에 대한 동서협진이 진통과 재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ast-West pain treatment for Central Poststroke Pain on alleviation of pain and Rehabilitation)

  • 이현종;김수영;이상훈;서동민;이두익;김건식;이재동;이윤호;양형인;박재경;최도영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42-49
    • /
    • 2003
  • Purpose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East-West pain treatment on central poststroke pain(CPSP), we evaluated its effect on alleviation of pain and rehabilitation of CPSP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eletroacupuncture and west pain treatment for four weeks. Methods : Twenty four patients diagnosed by their pain characteristics of central pain form stroke were treated with sympathetic nerve block, gabapentin, amitriptyline, and electroacupuncture for four weeks. Pain intensity through the visual analogue scale(VAS), and improvements of mobility and rehabilitation through the modified Barthel index(MBI) and Rankin scale(RS), respectively, before and after pain treatment were also assessed. Results : VAS pain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from $7.7{\pm}1.7$ to $4.4{\pm}2.0$ with pain treatment(p<0.05). In accordance with improvement of ain scores, RS and MBI scores ere also improved from $2.88{\pm}0.95$ to $2.13{\pm}1.01$ and from $83.0{\pm}16.9$ to $94.7{\pm}9.5$(p<0.05), respectively, with pain treatment(p<0.05). Conclusions : It was suggested that the active pain treatment was contributed to the rehabilitation of CPSP patients, resulting in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of CPSP patients. Futhermore, East pain treatment in combination with West pain treatment may be useful modality to alleviate CPS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