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ending method

검색결과 392건 처리시간 0.031초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Crosslinkable Waterborne Polyurethanes Containing Aminoplast(I)

  • Kwon Ji-Yun;Kim Han-D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373-382
    • /
    • 2006
  • A series of crosslinkable, waterborne polyurethanes (I-WBPUs) were prepared by in-situ polymerization using isophorone diisocyanate (IPDI)/poly(tetramethylene oxide) glycol (PTMG, $M_n$=2,000)/dimethylol propionic acid (DMPA)/ethylene diamine (EDA)/triethylamine (TEA)/aminoplast[hexakis(methoxymethyl)melamine (HMMM)] as a crosslinking agent. Typical crosslinkable, waterborne polyurethanes (B-WBPUs) blended from WBPU dispersion and aqueous HMMM solution was also prepared to compare with the I-WBPUs. The crosslinking reaction between WBPU and HMMM was verified using FTIR and XPS analysis. The effect of the HMMM contents on the dynamic mechanical thermal, thermal, mechanical, and adhesion properties of the I-WBPU and B-WBPU films were investigated. The storage modulus(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of the soft segment ($T_{gs}$) and the amorphous regions of higher order ($T_{gh}$), melting temperature ($T_m$), integral procedural decomposition temperature (IPDT), residual weight, $T_{10%}$ and $T_{50%}$ (the temperature where 10 and 50% weight loss occurred), tensile strength, initial modulus, hardness, and adhesive strength of both I-WBPU and B-WBPU systems increased with increasing HMMM content. However, these properties of the I-WBPU system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B-WBPU system at the same HMMM content. These results confirmed the in-situ polymerization used in this study to be a more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the WBPU materials compared to the simple blending process.

BR고무/결정성고무 블렌드의 물성에 미치는 온도 및 오존농도 등의 환경인자의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Ozone Concentration on the Properties of BR/Crystalline Rubber Blend)

  • 박찬영;이원기;민성기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5권1호
    • /
    • pp.44-50
    • /
    • 2010
  • 기계적 혼련법으로 butadiene rubber(BR)과 대표적인 결정성고무인 chloroprene rubber(CR) 블렌드 혼련물을 제조하여, 이들의 가교 거동, 기계적 성질, 내오존성 및 동적 기계적 성질 등을 검토하였다. 내오존시험에 있어서 50 wt% CR 고무의 첨가에 의하여 크게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Rheovibron에 의한 동적 계적 특성 측정의 결과로부터 BR/CR 블렌드는 두 개의 전이를 보였으며 $tan{\delta}$ 피이크의 위치는 CR 고무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고온 쪽으로 이동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CR 고무량이 증가할수록 최적 가황시간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추씨 기름 대체 향미유 개발에 관한 연구: 치자, 고량을 이용한 유용성 천연 검정색소의 제조 (Stud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Seasoning Oil as Red Pepper Seed Oil Substituted: Manufacturing of oil soluble natural black pigment from Gardenia and Kaoliang)

  • 구본순;김덕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2-46
    • /
    • 2004
  • 치자로부터 청색 및 황색색소, 고량으로부터 암갈색 색소를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ㆍ농축하여 60$^{\circ}$Brix 농도의 추출물을 회수하였는데, 각각의 수율은 0.68, 1.97, 0.63% (w/w)였다. 이들을 대두유: 물: 유화제: 치자청: 치자황: 고량색소=8: 22: 42: 10: 15: 13 (w/w)의 비율로 혼합하고 균질화하여 유용성 천연 검정색소를 얻었다. 이 색소를 대두유에 용해시킨 결과 대두유의 품온이 30∼4$0^{\circ}C$ 범위에서 가장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대두유에 한 번 용해된 색소물질은 혼합 대두유의 품온을 2$0^{\circ}C$ 이하로 유지하여도 재분리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혼합학습(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 실증사례 연구 -팀 프로젝트와 스마트디바이스 앱 기반 학습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Design Classes using Blended Learning -Focused on Team Project and Smart Device App-based Learning-)

  • 김진희;김혜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71-284
    • /
    • 2021
  • This study presents the educational utility of blended learning by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fter class by blending team project learning and smart device app-based learning methods. Qualitative analysis and survey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m project activities based on task resolution were conducted freely through detailed activities such as sharing roles, planning meetings, and coordinating opinions. Team activities were carried out with respect and consideration, team member bonding,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Second, the smart device app is recognized as a medium for work and communication, and fast feedback has been made, making it highly impactful on classroom activities. Third, in terms of learning satisfaction, most learners showed an interest in the course and were satisfied with the project results. The smart device app was used as a learning and communication medium for personal and team activities and was analyzed as a blended method applicable to classes that conduct practical activities as an efficient tool to further activate project activities.

고분자 블렌딩을 이용하여 제조된 독사조신 다중층 펠렛의 약물방출제어 (Controlled Release of Doxazosin in Multi-layered Pellet Using Polymer Blending)

  • 윤주용;박상욱;이수영;김문석;이봉;강길선;이해방
    • 폴리머
    • /
    • 제32권4호
    • /
    • pp.322-327
    • /
    • 2008
  • 본 연구에서 제조한 다중층 펠렛은 수팽윤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시드층, 모델 약물인 독사조신을 함유한 약물층, 약물의 방출을 제어하는 다공성막 그리고 지질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동층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펠렛을 구성하는 각각의 층에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고분자들의 블렌딩에 따른 독사조신의 약물방출 거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와 에틸셀룰로오스(EC)의 양을 달리하여 약물층을 제조하였고,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와 $Eudragit^{(R)}$ RS의 비율을 달리하여 다공성막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지질층에 의한 방출 거동을 확인하고자 피마자유의 두께를 다르게 하여 펠렛을 제조한 결과, 대략 $1500{\mu}m$의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구형의 펠렛을 얻었다. 수용액에서 용출시험을 통하여 시간에 따른 약물방출량을 확인한 결과, 약물층에 첨가된 고분자 중, EC의 비율과 다공성막에서 CA의 비율이 증가하고, 피마자유층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약물의 방출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약물방출을 제어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하는 다공성막의 다공형성거동 역시 SEM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하체 분리 매개화를 통한 블렌딩 기반의 모션 합성 (Decoupled Parametric Motion Synthesis Based on Blending)

  • 하동욱;한정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439-444
    • /
    • 2008
  • 추상적인 매개공간을 예제모션들로 표본추출(sampling)하고, 그것들을 보간하여 주어진 입력 매개변수(parametrs)와 대응되는 블렌딩 가중치(blend weights)를 계산하는 블렌딩 기반의 매개화된 합성기법은 뛰어난 제어력과 효율성 때문에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보다 세부적인 모션 제어를 위해 매개공간의 차원을 증가시킬수록, 표본추출을 위해 필요한 예제모션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본 논문은 상체모션과 하체모션의 분리된 생성 및 제어를 위해 두 개의 매개공간(parameter spaces)을 사용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즉, 매 애니메이션 프레임마다 각 매개공간으로부터 두 개의 바탕프레임(source frames)이 추출되면, 하나로부터의 상체를 다른 하나의 하체에 접합(splicing)하여 실시간으로 목적모션을 생성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상체제약과 하체제약을 모두 만족하는 모션을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개공간의 차원 복잡도에서 기인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논문을 통해, 우리는 두 개의 매개화된 모션공간으로부터 시간적 상호관계가 고려된 모션을 생성하기 위한 새로운 시간왜곡(time-warping)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체의 공간적 특성을 기반으로 예제모션들을 매개화할 경우, 접합되는 하체에 따라 변경되는 예제모션들의 매개변수를 빠르게 근사하기 위한 기법을 소개한다.

  • PDF

팝콘브레인 현상에 대한 지각예술작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Perception Arts Ac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Focused on Popcorn Brain Phenomenon)

  • 장승영;정향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517-526
    • /
    • 2013
  • 본 논문은 팝콘브레인 현상을 중심으로 지각예술작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이중감각 치료 기법 여부에 역점을 두고 서술하게 되었다. 지각예술작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디지털기기 중독에 의해 발생되는 뇌의 문제를 후각, 촉각, 시각 등 뇌의 이중감각 활성화를 통해 변화에 대한 내적동기를 부여하고 성취감과 소속감을 느낄 수 있는 자발적 관계욕구 해소에 그 근간을 둔 프로그램이다. 이중감각 표현 방식은 인지행동상담 기법과 집단미술치료기법을 절충하여 디지털기기중독의 대안을 찾게 되었다. 인지행동상담 기법과 집단미술치료기법의 융합방식은 팝콘브레인의 주요 원인인 디지털기기에 의한 무감각하고 무기력해진 뇌에 체험을 통한 "생각${\rightarrow}$감정${\rightarrow}$행동"에 초점을 두어 변화를 구조적 표현방식으로 유지시켜 나가는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 제공을 위해 지각예술작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보다 더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치유목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여건을 모색할 수 있다. 또한 지각예술작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치료를 유도하여 관계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근본을 마련하게 된다.

3D 영상 효과를 위한 레이어 채널 이미지의 처리 기법 (Processing Techniques of Layer Channel Image for 3D Image Effects)

  • 최학현;김정희;이명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72-281
    • /
    • 2008
  • 3D 영상에 이펙트를 표현할 수 있는 레이어 채널을 삽입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렌더링에 효과적으로 이용하도록 한다. 현재의 이펙트 렌더링은 영상과 이펙트의 개별 처리 및 혼합의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저장 공간과 영상 처리에 있어서 개별 소스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영상과 레이어 채널을 하나로 묶어 처리함으로써 비용 절약과 영상 처리 면에서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개발은 영상에 레이어 채널을 삽입하기 위해서 영상 포맷의 변경, 레이어 채널이 나타나지 않도록 숨김 기능 추가, 영상 로드시 영상과 레이어 채널을 동시 접근 가능하도록 제어, 영상과 레이어 채널이 쉽게 혼합될 수 있도록 간편한 알파 블렌딩 처리 등의 방법으로 영상 포맷을 변경하여 레이어 채널을 숨기는 기법, 일반 영상 뷰어에서도 변경된 포맷의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개발, 레이어 채널과 영상을 같이 묶음으로써 재사용성을 높이고 모든 프로그램에 이용 가능하도록 만든다. 그러면 영상 로드시에 영상과 레이어 채널을 동시에 불러드림으로써 처리 속도 향상시키고 3D 영상에 레이어 채널을 삽입함으로써 레이어 채널 영상을 위한 소스 저장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3D 영상과 레이어 채널의 영상을 한 번에 다룰 수 있게 되어 효과적인 이펙트 표현 가능하고 실제 애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영상 등에 효과적으로 이용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입술 애니메이션을 위한 한글 발음의 동시조음 모델 (Coarticulation Model of Hangul Visual speedh for Lip Animation)

  • 공광식;김창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6권9호
    • /
    • pp.1031-1041
    • /
    • 1999
  • 기존의 한글에 대한 입술 애니메이션 방법은 음소의 입모양을 몇 개의 입모양으로 정의하고 이들을 보간하여 입술을 애니메이션하였다. 하지만 발음하는 동안의 실제 입술 움직임은 선형함수나 단순한 비선형함수가 아니기 때문에 보간방법에 의해 중간 움직임을 생성하는 방법으로는 음소의 입술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없다. 또 이 방법은 동시조음도 고려하지 않아 음소들간에 변화하는 입술 움직임도 표현할 수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동시조음을 고려하여 한글을 자연스럽게 발음하는 입술 애니메이션 방법을 제안한다. 비디오 카메라로 발음하는 동안의 음소의 움직임들을 측정하고 입술 움직임 제어 파라미터들을 추출한다. 각각의 제어 파라미터들은 L fqvist의 스피치 생성 제스처 이론(speech production gesture theory)을 이용하여 실제 음소의 입술 움직임에 근사한 움직임인 지배함수(dominance function)들로 정의되고 입술 움직임을 애니메이션할 때 사용된다. 또, 각 지배함수들은 혼합함수(blending function)와 반음절에 의한 한글 합성 규칙을 사용하여 결합하고 동시조음이 적용된 한글을 발음하게 된다. 따라서 스피치 생성 제스처 이론을 이용하여 입술 움직임 모델을 구현한 방법은 기존의 보간에 의해 중간 움직임을 생성한 방법보다 실제 움직임에 근사한 움직임을 생성하고 동시조음도 고려한 움직임을 보여준다.Abstract The existing lip animation method of Hangul classifies the shape of lips with a few shapes and implements the lip animation with interpolating them. However it doesn't represent natural lip animation because the function of the real motion of lips, during articulation, isn't linear or simple non-linear function. It doesn't also represent the motion of lips varying among phonemes because it doesn't consider coarticul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coarticulation model for the natural lip animation of Hangul. Using two video cameras, we film the speaker's lips and extract the lip control parameters. Each lip control parameter is defined as dominance function by using L fqvist's speech production gesture theory. This dominance function approximates to the real lip animation of a phoneme during articulation of one and is used when lip animation is implemented. Each dominance function combines into blending function by using Hangul composition rule based on demi-syllable. Then the lip animation of our coarticulation model represents natural motion of lips. Therefore our coarticulation model approximates to real lip motion rather than the existing model and represents the natural lip motion considered coarticulation.

셀룰로오스 블렌드 필름의 특성연구 : 모폴로지, 기계적 성질, 및 가스 투과도 (Characterizations of Cellulose Blend Films: Morphology, Mechanical Property, and Gas Permeability)

  • 장서원;장진해
    • 폴리머
    • /
    • 제32권1호
    • /
    • pp.63-69
    • /
    • 2008
  • 두 가지 서로 다른 첨가제(additive)를 사용한 셀룰로오스 블렌드들의 기계적 성질과 모폴로지를 비교하였다. 용액 블렌딩법을 통해 만든 셀룰로오스 블렌드에는 폴리(비닐 알코올) (poly(vinyl alcohol)), PVA)과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등의 첨가제가 사용되었다. 고분자 매트릭스에 사용된 첨가제의 양에 따라 블렌드 필름의 물성들은 다양하게 변하였다. PVA와 EG가 각각 30 wt%와 10 wt% 포함되었을 때 셀룰로오스 블렌드 필름의 최종인장 강도와 초기 탄성률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용액 블렌딩법을 이용하여 EG를 셀룰로오스 블렌드(셀룰로오스/PVA (70/30=w/w))에 섞은 삼성분계(ternary system) 필름을 얻었으며, 이 필름에서는 EG가 40 wt% 포함되었을 때 기계적 물성이 가장 높은 값을 가졌다. 또한, 이 값은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이성분계 블렌드 필름들보다 더 높은 기계적 성질을 나타내었다. 삼성분계 블렌드 필름에서 산소 투과도($O_2TR$)는 EG 함량이 증가할수록 가스 투과도 역시 일정하게 감소하였다. 전체적으로는 블렌드된 셀룰로오스 필름의 기계적 성질이 순수한 셀룰로오스보다 더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