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Spot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33초

Halo Blight of Kudzu Vine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 phaseolicola in Korea

  • Jeon, Yong-Ho;Chang, Sung-Pae;Kim, Sang-Gyu;Kim, Young-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2호
    • /
    • pp.119-124
    • /
    • 2006
  • Kudzu vine(Pueraria montana var. lobata) is an invasive climbing woody vine that envelops trees and shrubs, pressing physically and shutting out sunlight, which needs to be controlled. Kudzu vine pathogens were surveyed as a way to seek its biocontrol agents in 2002. Occurrence of a bacterial halo blight disease of kudzu vine was observed at several localities in Korea including Euiwang and Suwon in Gyeonggi Province, Daejon, and Gochang and Buan in Jeonbuk Province. Symptoms of brown to black spots with a surrounding yellowish halo appeared from June and lasted till the rainy season without much expansion, but accompanying often leaf blight and defoliation. Isolated bacteria were identified as Pseudomonas syringae pv. phaseolicola based on physi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Biolog, fatty acid and 16S rDNA sequencing analyses. In artificial inoculation test, these bacteria produced the same halo spot symptoms on kudzu vine and bean plants. They also induced hypersensitive responses (HR) on tobacco, tomato, and chili pepper leave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 bacterial disease of kudzu vine in Korea, and the bacterial pathogen can be used as a biocontrol agent against the pest plant.

연조(延朝) 조선족(朝鮮族)의 의생활(衣生活) 실태(實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 연길시(延吉市) 여대생(女大生)과 주부(主婦)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State of Clothing Habits of Yanbian Chinese-Koreans - Focusing on the Girl College Students and the Housewives in the Yangil City -)

  • 조규화;이희승
    • 패션비즈니스
    • /
    • 제5권1호
    • /
    • pp.1-15
    • /
    • 2001
  • The purpose on this study is to grasp the clothing habits and problems of the Chinese-Koreans in Yanbian, China through the fact-finding survey about the clothing habits for the Chinese-Koreans in Yanbian, China who have frequent exchanges with the North Korea and have relatively similar home culture preparing for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lso it is to make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ir qualities of life. As for the method of study, it centered on the investigation by the questionnaire on the spot and it referred to the data like domestic and abroad literature, field observation, interview and internet, etc. as a reference. Also it centered on the girl college students and the housewives in Yangil City as an object of research. Accordingl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Yanbian is the largest Chinese-Koreans group of people in the China. The economic environment in Yanbian is in the middle of the whole China. With the open-economy of China and the contact with the foreign culture, especially with Korea, the 1960s and 1990s coexist in. The Chinese-Koreans in Yangil spend about 1,425 CNY as clothing expenses averages a year, and the estimated value of holding amount of clothing is about 27 suits. They recognize the clothing made in Korea as high-quality and high-price of high-quality articles. They have high interest in the Korean fashion as the younger generation. They prefer to modern, active, refined and mature atmosphere in the clothing atmosphere, but they still do not reach to the level yet in actual. They generally have strong tendency with the preference of black color or dark color because they have small holding amount. The field materials of fiber did not become high-quality articles because they hold in the level of 1960s in Korea. So, the color level of Chinese-Koreans in Yanbian is still low.

  • PDF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에 의한 심비디움 검은잎마름병 (Sooty Leaf Blight of Cymbidium spp. Caused by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

  • 한경숙;박종한;이중섭;정승룡
    • 식물병연구
    • /
    • 제13권2호
    • /
    • pp.126-129
    • /
    • 2007
  • [ $2005{\sim}2006$ ]년 경기도 안성시와 화성시의 심비디움 재배 농가로부터 잎 뒷면에 검은색 구름덩이 모양의 병반을 형성하고, 잎의 앞면에는 원형 내지 타원형의 황색병반을 나타내는 병징이 관찰되었다. 병징이 진전되어 병반이 합쳐지면서 잎 전체가 황색의 원형 병반을 이루고, 잎 뒷면에서도 검은색 구름덩이가 합쳐져 그을음모양(sooty spot)을 나타낸다. 병징이 오래되면 잎 조직은 기능이 저하되어 결국은 암갈색 내지 검은색으로 변하며 잎이 마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심비디움에 발생한 검은잎마름병의 병징을 관찰하고, 병반에서 분리한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로 동정되었으며 병원성 검정 결과 자연상태와 동일한 병징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이 병을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에 의한 심비디움검은잎마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과꽃에서 분리한 Cucumber mosaic virus의 성질 (Characterization of an Isolate of Cucumber mosaic virus Isolated from Chinese aster (Callistephus chinensis))

  • 오선미;김성률;홍진성;류기현;이긍표;최장경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229-232
    • /
    • 2008
  • 모자이크 증상의 과꽃(Callistephus chinensis L.)으로부터 Cucumber mosaic virus (CMV)의 한 계통(Cas-CMV)를 분리하고, Fny-CMV와 As-CMV를 대조로 기주반응, dsRNA, RT-PCR 및 RFLP분석을 통하여 바이러스를 동정하였다. Cas-CMV의 특징적인 기주반응의 차이는 박과 식물에서 발현되는 강한 병정이었으며, 특히 쥬키니호박에 접종하였을 때에는 접종 15-20일 후에 심한 모자이크 증상과 함께 어린 식물이 고사되는 괴저현상을 나타냈다. DsRNA분석과 RT-PCR실험의 결과는 Cas-CMV가 서브그룹 I의 CMV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더욱이 HindIII를 이용한 RFLP 분석은 Cas-CMV가 서브그룹 IA 구분되었다.

자두 검은점무늬병원균의 PCR진단 및 검출 (PCR Primer Developed for Diagnosis of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 in Prune)

  • 류영현;이중환;권태영;김승한;김동근
    • 식물병연구
    • /
    • 제16권2호
    • /
    • pp.125-128
    • /
    • 2010
  • 자두 주산지인 경북 김천을 비롯하여 의성, 경산, 군위지역에 발생하는 자두과실의 검은점무늬병 병원균을 조기 검출하기 위하여 integrons를 이용한 primer를 제작하고 DNA 추출향상을 위해 전배양법을 그리고 검출감도 향상을 위해 nested PCR을 시도하였다. 제작된 integrons primer로 병반 시료를 PCR한 결과 예상되는 크기인 760 bp로 증폭이 되어 검은점무늬병의 원인 병원균은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로 확인되었고 진단용 primer로 사용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DNA 추출 방법별로 PCR 진단효율은 조사한 결과 직접 추출하는 방법보다는 10% LB배지로 전배양한 다음 DNA를 추출하는 방법이 더 효과적이었고 nested PCR을 이용할 경우에는 과원내 강우중의 X. arboricola pv. pruni의 검출도 가능하였다. 이번에 개발된 Integrons primer를 이용, 전배양법과 nested PCR을 실시할 경우 1일 이내에 병징이 나타나지 않은 유묘에서의 X. arboricola pv. pruni 감염여부나 식물검역에서의 X. arboricola pv. pruni 감염식물 진단 등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β-Amino-n-butyric Acid Regulates Seedling Growth and Disease Resistance of Kimchi Cabbage

  • Kim, Yeong Chae;Kim, Yeon Hwa;Lee, Young Hee;Lee, Sang Woo;Chae, Yun-Soek;Kang, Hyun-Kyung;Yun, Byung-Wook;Hong, Jeum Ky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9권3호
    • /
    • pp.305-316
    • /
    • 2013
  • Non-protein amino acid, ${\beta}$-amino-n-butyric acid (BABA), has been involved in diverse phys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seedling growth, stress tolerance and disease resistance of many plant species. In the current study, treatment of kimchi cabbage seedlings with BABA significantly reduced primary root elongation and cotyledon developm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which adverse effects were similar to the plant response to exogenous abscisic acid (ABA) application. BABA was synergistically contributing ABA-induced growth arrest during the early seedling development. Kimchi cabbage leaves were highly damaged and seedling growth was delayed by foliar spraying with high concentrations of BABA (10 to 20 mM). BABA played roles differentially in in vitro fungal conidial germination, mycelial growth and conidation of necrotroph Alternaria brassicicola causing black spot disease and hemibiotroph Colletotrichum higginsianum causing anthracnose. Pretreatment with BABA conferred induced resistance of the kimchi cabbage against challenges by the two different classes of fungal pathogen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BA is involved in plant development, fungal development as well as induced fungal disease resistance of kimchi cabbage plant.

포도에 발생하는 장님노린재(노린재목, 장님노린재과)의 종류, 피해 및 기주식물 (Mirid Bugs (Heteroptera: Miridae) on Grapevine: Their Damages and Host Plants)

  • 이승환;이관석;고현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3-41
    • /
    • 2002
  • 포도의 장님노린재 피해조사 결과 전국 159개 조사포장 가운데 113개의 포장에서 피해가 확인되었으며(발생포장율 71%), 산간지 등 격리된 소규모 재배지보다는 김포, 안성, 나주, 김천. 부여. 대전, 예산 등 포도 집단재배지에서 피해가 심했고. 1999년의 경우 심한 포장의 피해순율이 나주에서 85%, 김포에서 65%에 달했다. 포도나무의 생육초기에 발생하는 장님노린재의 종류로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초록장님노린재, 명아주장님노린재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가 다른 종보다 채집개체수에서 월등히 많았다.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는 거의 전국적으로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기주식물로는 애무늬장님노린재의 경우 포도, 살구나무, 벚나무 등 10종이 확인되었으며, 초록장님노린재는 더위지기, 쑥 등 10종이 확인되었다.

다협 다수성 녹두 신품종 "다현" (A New Mungbean Cultivar, "Dahyeon" with Many Pod and High Yielding)

  • 김동관;최진경;이야성;손동모;문중경;오영진;김경호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6-39
    • /
    • 2009
  • 녹두 신품종 "다현"은 전남11호와 AV-1-3-34-2를 작물과 학원에서 인공교배하고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2006년에 육성되었다. "다현"의 생육습성은 직립, 잎 모양은 심장형, 백축색은 녹색, 성숙기에 꼬투리는 검고 곧으며, 종피는 광택이 없는 녹색이다. 개체당협수는 21.0개로 표준품종인 "어울녹두"보다 4.0개 많고, 경장은 57 cm, 천립중은 48 g, 나물수율은 표준품종보다 5% 많다. "다현"의 바이러스, 갈색무늬병, 흰가루병 및 도복에 대한 포장저항성은 강하고 평균 수량은 1.90 ton/ha으로 표준품종보다 17% 많다.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갯기름나물 균핵병 발생 (Sclerotinia Rot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 정원권;임양숙;김민기;김종수
    • 식물병연구
    • /
    • 제27권3호
    • /
    • pp.115-119
    • /
    • 2021
  • 2020년 경상북도 포항군 연일읍의 갯기름나물 재배 농가포장에서 잎에 작은 갈색 반점이 형성되고 잎끝부터 갈변되며 고사하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균총은 흰색에서 연한 회색을 띠었다. 균핵은 검은색의 구형 또는 타원형이었다. 자낭반은 컵모양이며, 크기는 0.5-0.9 cm이었다. 자낭은 원통형이고 크기는 75-240×5.9-17.3 ㎛이었다. 자낭포자는 무색의 타원형이었으며 크기는 8.4-10.7×4.8-5.8 ㎛이었다.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1과 ITS4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Sclerotinia sclerotiorum과 100% 일치하였으며, 이와 같은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병원성 검정 결과 그리고 염기서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갯기름나물 잎반점과 마름 증상의 원인균은 S. sclerotiorum으로 동정하였으며, 이 병을 갯기름나물 균핵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고수율 나물 녹두 신품종 '주현' (A New Mungbean Cultivar 'Juhyeon' with High Sprout Yield)

  • 김동관;손동모;최진경;김명석;신해룡;이석기;서민정;조상균;오영진;김현태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18-221
    • /
    • 2011
  • 나물용 녹두 신품종 '주현'은 금성녹두와 VC1834-4-B-2-B-3B-B를 인공교배하여 2009년에 육성되었다. '주현'의 생육습성은 직립, 잎 모양은 심장형, 백축색은 녹색, 성숙기에 꼬투리는 검고 곧으며, 종피는 광택이 없는 녹색이다. 개체당 협수는 26개로 표준품종인 '어울녹두'보다 8개 많고, 녹두나물 수율은 표준품종보다 18% 많다. '주현'은 바이러스, 갈색무늬병, 흰가루병 및 도복에 대한 포장저항성은 강하고, 평균수량은 1.84 MT/ha으로 표준품종보다 6%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