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valve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3초

Bivalve collection of C.E. Lischke in the Zoological Institute, St. Petersburg: Mytilidae, Ungulinidae and Tellinidae

  • Lutaenko, Konstantin A.;Chaban, Elena M.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1-147
    • /
    • 2016
  • In addition to the Arcidae (Lutaenko, 2015), a collection of Mytilidae, Ungulinidae and Tellinidae from Japan, identified by the German malacologist C.E. Lischke, was found and studied at the Zoological Institut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St. Petersburg. This collection is very important for regional malacological studies in Japan, Korea and China as it contains type material and vouchers. Syntypes of Mytilus atratus Lischke, 1871 (= Xenostrobus atrata (Lischke, 1871)) and vouchers of Tellina diaphana Deshayes, 1855 (= Serratina diaphana (Deshayes, 1855)), Tellina nitidula Dunker, 1860 (= Nitidotellina hokkaidoensis (Habe, 1961)), and "Diplodonta orbella Gould, 1851" (= Diplodonta gouldi Yokoyama, 1920)) are figured with taxonomic and nomenclatural comments. No other voucher or type specimens used in the compilation of the Japanische Meeres-Conchylien were located in the entire bivalve collection.

Observations on seaweed attachment to bivalve shells in Peter the Great Bay (East Sea) and their taphonomic implications

  • Lutaenko, Konstantin A.;Levenets, Irina R.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21-232
    • /
    • 2015
  • Observations in beach, intertidal and upper subtidal environments in Peter the Great Bay (north-western East Sea) have shown that attached algae were found on empty shells of 13 species of epifaunal and infaunal bivalve mollusks. Thirteen algae species were identified on empty dislodged shells but more than 50 species are known to be epibiotic on living bivalves. The dislodgement of shells with attached algae takes place in semi-enclosed, low-energy areas, as well as those which are open and affected by strong wave action, indicating the large scale of this phenomenon. The significance of seaweed transportation of living mollusks and their empty shells in the coastal zone, involving both taphonomic and ecological processes, is stressed. Algae appear to be a taphonomic agent and play a similar role as compared to birds or hermit crabs, but they act passively and contribute to environmental mixing in death assemblages in coastal environments.

한국산 이매패류에 기생하는 요각류 1신종, Herrmannella hoonsooi (Herrmannella hoonsooi, a New Species of Copepoda (Poecilostomatoida, Sabelliphilidae) Associated with a Bivalve from Korea)

  • 김일회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3호
    • /
    • pp.77-84
    • /
    • 1992
  • 이매패류 Saxidemus purpuratus에 공생하는 Herrmannella속에 속하는 요각류 1신종을 H. hoonsooi라고 명명하여 기재한다. 이 종은 두흉부가 주걱 모양이고 몸통의 전반부 및 일부 부속지에 투명질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극동에서 발견된 동일 속의 6종에 대한 검색표도 기록했다.

  • PDF

득량만에서 조개류 유생의 분포 (Distribution of Bivalve Larvae in Deukryang Bay)

  • 김철원;권승배;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88-298
    • /
    • 2006
  • 득량만의 조개류 유생의 분포를 연구하기 위하여 1995년 5월부터 11월까지 만 전체에 29개의 정점에서 유생을 채집 조사하였다. 조개류 유생의 출현량(개체/$m^3$)은 5월(3,736 개체/$m^3$)부터 증가하여 8월(174,616 개체/$m^3$)에 최고에 이른 후 11월 (2,171 개체/$m^3$)까지 계속 감소하였다. 5월부터 11월까지 출현한 $1\;m^3$ 당 평균 총 유생 가운데 D상은 76%, 각정기 유생은 18%, 성숙 각정기 유생은 6%를 차지하였다. 5월부터 11월까지 득량만에서 동정된 9종의 조개류 유생 중 새고막은 14,030 개체/$m^3$로 전체 동정된 유생의 33.5%를 차지하였으며, 피조개(16.2%), 참굴(12.5%), 종밋(11.0%), 진주담치(10.2%)의 순이었다. 득량만 조개류의 유생 분포의 결과로 추정해 볼 때 진주담치와 종밋을 제외한 대부분 조개류의 주 산란시기는 7월 일 것으로 판단된다. 득량만 조개류 유생의 공간적인 분포는 종에 따라 차이를 보이나, 전체적으로 보면 만 입구에서는 출현량이 적고, 수심이 얕고 수온이 높은 만 안쪽과 서쪽 해역에서는 출현량이 많았다.

생물정화기작과 총허용오염부하량을 연계한 마산만의 효율적 해양환경 개선방안 (Effective Costal Environmental Management by Conjugation of Modeling of Bio-Purification and Total Allowable Pollutant Loads in Masan Bay)

  • 엄기혁;김귀영;이원찬;이대인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8-46
    • /
    • 2012
  • 마산만은 폐쇄성이 강하여 해수유통이 원활하지 못해 소량의 오염물질이 유입되어도 외해로 확산되지 못하고 만내에 계속 머물게 되어 해역의 오염이 가중되고 있고, 만내에서 증식한 식물플랑크톤과 하천을 통하여 유입된 오염물질은 해저에 침강되어 분해·무기화를 거쳐 영양염이 다시 수중으로 공급되어 부영양화, 적조, 빈산소 등을 유발하여 생태계 건강도를 악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마산만의 해양환경개선을 위해 해수유동모델(COSMOS)과 생태계모델(EUTRP2)을 이용하여 환경용량을 산정하고 이매패의 개체군 성장모델을 연계하여 이매패를 포함한 생태계내 물질 순환 구조를 해석하여 이매패의 수질정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비용효과적이고 친환경적인 내만수질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육상오염원의 효과적인 관리 방안으로 환경용량 산정을 통해 시나리오별 유입부하 삭감에 의한 수질관리 방안은 유입부하의 50~90%에 해당하는 비현실적인 삭감량이 제시된다. 마산만의 자생 COD를 평가한 결과 총 COD의 30.7%가 외부유입에 의한 COD이고 69.3%가 자생 COD에 의한 것으로 계산되었다. 이는 마산만의 수질관리에 있어 유기물의 공급원에 대한 제어뿐만 아니라, 자생 COD를 증가시키는 영양염의 유입원에 대한 제어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마산만의 자생 COD를 유발하는 영양염류를 제거하기 위해 현재 상황에서 적용가능한 고도처리 증설의 비용을 산정하여 이매패류에 의한 생물정화 효과와의 경제성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 20년 동안의 총 비용에 있어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질산화탈질법 906억원, 인을 제거하기 위한 화학침전법은 559억, 이매패류 양식은 461억원으로 산정되어 이매패류 양식은 질소와 인을 같이 제거하는 고도처리 도입에 비해서는 약 1/3의 비용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모리패총에서 산출되는 이매패류 패각을 이용한 고환경 복원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on the Paleoenvironment Reconstruction using a Bivalve from Sangmori Shell Mound)

  • 김정숙;우경식;홍완;강창화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5-48
    • /
    • 2010
  • 이 연구는 제주도 남쪽에 위치한 상모리패총에서 채취한 조개패각(밤색무늬조개과 투박조개, Glycymeris albolineata) 시료(JSM-B01)의 산소와 탄소 동위원소 조성을 이용하여 이 조개가 살던 시대의 해양환경을 복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패각의 지화학적 조성은 서식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연구 패각인 투박조개의 산소와 탄소 동위원소 조성은, 성장기에는 주변 환경에 관한 정보를 잘 반영하였지만 성장이 거의 멈추는 노년기에는 주변 환경 변화를 거의 반영하지 못 하였다. 투박조개의 성장기(장년기)에 기록된 산소와 탄소 동위원소 조성은 계절적 주기를 잘 반영하고 있는데, 이러한 계절변화는 여름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중국대륙연안수인 저염분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탄소 동위원소 조성 역시 여름시기에는 저염분수의 영향을 반영하여 낮은 값을 보이고, 겨울시기에는 해수 표층의 식물성 플랑크톤 생산성에 의한 영향을 받아 여름보다 겨울에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따라서 투박조개의 산소와 탄소 동위원소 조성의 계절적인 변화패턴을 이용한 고환경 복원 연구는 과거 해수환경을 해석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과거 해수환경 변화를 보다 명확하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시료를 채취한 지역의 주변 해수환경에 대한 모니터링과 밤색무늬과조개의 생태학적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서로 다른 영양조건의 농업용 저수지에서 말조개의 수질개선능 비교 (Comparison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of Indigenous Freshwater Bivalve Unio douglasiae in Two Different Trophic Agricultural Reservoirs)

  • 유영훈;이송희;황순진;김백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14-621
    • /
    • 2010
  • A indigenous freshwater bivalve Unio douglasiae was introduc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efficacy of algal bloom control and the appearances of mussel-mediated adverse effects between two different reservoirs such as mesotrophic (Shingu r.) and hypertrophic (Seokmun r.). We constructed the study mesocosm in the shore of each reservoir, stocked the mussel at density of $30indiv./m^3$ for 7 days, and measured daily the phytoplankton density and water quality. In mesotrophic reservoir, even though approximately 38% of suspended solids and chlorophyll-a was reduced by stocked bivalves for the first 3 days, algal density, ammonia and soluble reactive phosphorus gradu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mussel death. In hypertrophic reservoir, mussels strongly inhibited suspended solids and chlorophyll-a by the termination of study with no increase of mussel death and nutrient, especially ammonia concentration. In both reservoirs, a strong selectivity showed mussels preferred to diatom rather than cyanobacteria and green algae without algal density and nutrient level. Our results indicate that an introduction of freshwater bivalve U. douglasiae is more strategic to improve water quality of hypertrophic than mesotrophic reservoir, but many preliminary studies on the treatment method and the selection of target water system are required.

Filtration of Red Tide Dinoflagellates by an Intertidal Bivalve, Glauconome chinensis Gray: An Implication for the Potentials of Bivalves in Tidal Flats

  • Lee Chang-Hoon;Song Jae Yoon;Chung Ee-Yu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6권2호
    • /
    • pp.66-73
    • /
    • 2003
  • To understand the physiology of a suspension-feeding bivalve and its potential impacts on the dynamics of red tides on tidal flats, rates of clearance and ingestion of Glauconome chinensis were measured as a function of algal concentration, when the bivalve was fed on a nontoxic strain of red tide dinoflagellate Prorocentrum minimum, Cochlodinium polykrikoides or Scrippsiella trochoidea. With increasing algal concentration, weight-specific clearance rate increased rapidly at lower concentrations and after reaching the maximum at ca. 0.2 to 1.0 mgC/L, it decreased at higher concentrations. Maximum clearance rate was nearly equal for different algal species and ranged between 2.1 and 2.6 L/g/hr. Weight-specific ingestion rate also increased at lower algal concentrations but saturated at higher concentrations. Maximum ingestion rate was 2 to 10 fold different with different algal species: S. trochoidea (10.1 mgC/g/hr), P. minimum (3.9 mgC/g/hr), and C. polykrikoides (0.99 mgC/g/hr). Nitrogen and protein content showed that S. trochoidea is the best among the tested three red tide dinoflagellates. The maximum filtration capacity, calculated by combining the data on ingestion rate from laboratory experiments and those from the field for the density of the bivalve and the red tide dinoflagellates was 4.7, 1.4, and 25.3 tons/m2/day for P. minimum, C. polykrikoides, and S. trochoidea, respectively. It is hypothesized that the abundant suspension-feeding bivalves in tidal flats can effectively mitigate the outbreak of red tides.

은편모류 Teleaulax amphioxeia의 윤충류 Brachionus plicatilus 및 이매패류 유생 2종에 대한 먹이 기능성 평가 (Growth Performance of the Rotifer Brachionus plicatilus and the Larvae of Two Bivalves Fed on the Cryptophyte Teleaulax amphioxeia)

  • 박희원;김형섭;조수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51-358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eleaulax amphioxeia as prey for Brachionus plicatilis and for the larvae of the bivalves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and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to select the best of five T. amphioxeia strains. The five strains of T. amphioxeia were collected from the coasts of Korea, purecultured and then fed to the rotifer and bivalve larvae. The density and fecundity rate of the rotifer fed on strain 01 were the highest. The instantaneous growth rate of the rotifer fed strain 08-2 was the highest. The maximum density and fecundity rate of the rotifer fed strain 08-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ed Chlorella ellipsoidea, while instantaneous growth rate showed the opposite pattern. Survival rates of the Manila clam larvae fed each strain of Teleaulax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rains. Survival rates of the Pacific oyster fed Teleaulax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ed Chaetoceros sp., but lower than those fed I. galbana. This study indicates that strain 08-2 showed better growth for B. plicatilis and better survival for the bivalve larvae than did the other strains, and that T. amphioxeia can also be used as a prey organism for rotifers or bivalve larvae.

민들조개(Gomphina melanaegis)에서 방사성 동위원소의 조직내 분포와 결합단백질에 관한 연구 (Tissue Distribution and Binding Proteins of Radionuclides in Bivalve, Gomphina melanaegis)

  • 유병선;정해원;이정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0권2호
    • /
    • pp.109-112
    • /
    • 1985
  • 민들조개에 의해 흡수된 방사성 동위원소의 조직내 분포와 생화학적 거동을 알아 보기 위해 민들조개를 $^{65}Zn,\;^{54}Mn,\;^{137}Cs$ 용액에 7일간 노출시킨 후 조직을 잘라내서 방사능을 측정하고 간과 콩팥을 균질화시켜서 Sephadex G-75 유리판을 통한 젤투석 실험을 하였다. 방사성 동위원소의 조직내 분포는 방사성 동위원소에 따라 서로 다른 조직내 축적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다른 조직에 비해 간과 콩팥에 아주 높게 농축되었다. 방사능이 농축된 간과 콩팥에서 방사성 동위원소와 결합하고 있는 단백질을 조사하기 위해서 간과 콩팥을 균질화시킨 상등액을 Sephadex G-75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 한 결과 $^{65}Zn,\;^{54}Mn,\;^{137}Cs$가 서로 다른 유출 패턴을 나타냈고 또한 $^{65}Zn$$^{54}Mn$은 간과 콩팥에서 서로 다르게 유출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 방사성 동위원소의 종류와 조직에 따라서 결합하고 있는 단백질의 종류가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