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iminary Study on the Paleoenvironment Reconstruction using a Bivalve from Sangmori Shell Mound

상모리패총에서 산출되는 이매패류 패각을 이용한 고환경 복원 예비연구

  • Kim, Jeong-Suk (Department of Ge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Woo, Kyung-Sik (Department of Ge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Hong, Wan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Kang, Chang-Hwa (Archaeological Institute of Jeju)
  • 김정숙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
  • 우경식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
  • 홍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강창화 (제주고고학연구소)
  • Received : 2010.10.21
  • Accepted : 2010.12.02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aleo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shallow sea around Jeju Island during the Late Holocene using geochemical contents of the bivalve (Glycymeris albolineata) collected from the Sangmori Shell Mound. The bivalve shell used shows the archaeological age of 2,300 yr BP. Stable carbon and oxygen isotope compositions show that growth rates decreased with aging. Coeval trends of both isotope compositions can be observed: heavier values during winters and lighter values summers except for their young and old growth stages. The seasonality of bivalve shell appear to reflect seasonal variations of paleotemperature as well as paleosalinity. Especially China Coastal Water with low salinity was transported into the southern Jeju Strait from Changjiang River during summer periods. Heavier carbon isotope values during winter indicate higher productivity, and this is supported by high density of phytoplanktons and higher chlorophyll contents during winter time. For accurate interpretation, monitoring of present-day conditions of shallow marine water as well as additional geochemical analysis of the same Recent bivalve may be necessary.

이 연구는 제주도 남쪽에 위치한 상모리패총에서 채취한 조개패각(밤색무늬조개과 투박조개, Glycymeris albolineata) 시료(JSM-B01)의 산소와 탄소 동위원소 조성을 이용하여 이 조개가 살던 시대의 해양환경을 복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패각의 지화학적 조성은 서식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연구 패각인 투박조개의 산소와 탄소 동위원소 조성은, 성장기에는 주변 환경에 관한 정보를 잘 반영하였지만 성장이 거의 멈추는 노년기에는 주변 환경 변화를 거의 반영하지 못 하였다. 투박조개의 성장기(장년기)에 기록된 산소와 탄소 동위원소 조성은 계절적 주기를 잘 반영하고 있는데, 이러한 계절변화는 여름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중국대륙연안수인 저염분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탄소 동위원소 조성 역시 여름시기에는 저염분수의 영향을 반영하여 낮은 값을 보이고, 겨울시기에는 해수 표층의 식물성 플랑크톤 생산성에 의한 영향을 받아 여름보다 겨울에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따라서 투박조개의 산소와 탄소 동위원소 조성의 계절적인 변화패턴을 이용한 고환경 복원 연구는 과거 해수환경을 해석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과거 해수환경 변화를 보다 명확하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시료를 채취한 지역의 주변 해수환경에 대한 모니터링과 밤색무늬과조개의 생태학적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