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te plane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3초

광범위한 치아부식 및 마모가 있는 환자에서 교정치료와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이용하여 완전 구강 회복술을 시행한 증례 (A case of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orthodontic treatment in patient with extensive tooth erosion and wear using monolithic zirconia prostheses)

  • 윤병수;김종은;심준성;김지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60-367
    • /
    • 2018
  • 광범위한 치아의 부식 및 마모는 구강에서 심각한 기능 및 심미의 상실을 야기한다. 이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교합관계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수직 고경과 중심위의 재현가능성, 전방유도 및 교합평면의 적절성 등을 고려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또한, 마모가 심한 환자의 경우 보철재료의 선택 또한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본 증례에서는 치아의 전반적인 마모와 부식이 있고 있는 환자에서 교정치료를 통하여 전방유도를 부여하고 수직고경의 변화없이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완전 구강 회복술로 안정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과도한 치아마모를 보이는 환자에서 수직교합고경의 증가를 동반한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보철물 전악수복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vertical increase in patient with severe tooth wear using monolithic zirconia prosthetic restoration)

  • 방지원;김성아;임선영;이용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69-377
    • /
    • 2020
  •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치아의 생리적인 마모는 정상적 현상이지만, 과도한 병적 마모는 기능장애와 교합평면의 부조화 및 심미성의 상실을 야기한다. 과도한 치아마모로 인해 구치부 지지의 상실 및 보철수복의 공간이 부족한 경우 수직교합고경 증가를 동반한 전악 수복이 고려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잔존치의 과도한 치아마모와 기울어진 치은정점, 전치부 과개교합을 보이는 환자에서 교합거상을 통해 교합고경을 회복하였으며 부족한 구치부 보철 수복공간을 확보하고, 전치부 심미성과 교합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수직교합거상을 동반한 전악수복을 시행하였다. 체계적인 분석과 진단을 통해 임시보철물을 제작하여 충분한 적응기간을 거쳤으며, 이중 스캔방식을 통하여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블럭을 사용해 최종보철물로 이행하여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구강회복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Comparison of two computerized occlusal analysis systems for indicating occlusal contacts

  • Jeong, Min-Young;Lim, Young-Jun;Kim, Myung-Joo;Kwon, Ho-Beom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2권2호
    • /
    • pp.49-54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Accura to that of the T-scan for indicating occlusal contact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four subjects were selected. Their maxillary dental casts were scanned with a model scanner. The Stereolithography files of the casts were positioned to align with the occlusal plane. Occlusal surfaces of every tooth were divided into three to six anatomic regions. T-scan and Accura recordings were made during two masticatory cycles. The T-scan and Accura images were captured at the maximum bite force and overlapped to the cast. Photographs of interocclusal records were used as the reference during overlap. The occlusal contacts were counted to compare the T-scan and Accura. McNemar's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 corresponding P-values were calculated from a chi-square distribution with one degree of freedom. The accuracy,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of Accura were calculated relative to the T-scan values as a control. RESULTS. No statistical differences (P>.05) were found between the T-scan and Accura methods. The accuracy of Accura was 75.8%, sensitivity was 82.1%, specificity was 60.1%, PPV was 82.9%, and NPV was 60.1%. CONCLUSION. Accura could be another possible option as a computerized occlusal analysis system for indicating occlusal contacts at maximum intercuspation.

Horseshoe Expander의 확장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s of Horseshoe Expander)

  • 정규림;박영국;이영준;김홍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53-563
    • /
    • 2000
  • 이 연구는 Horseshoe Expander를 이용하여 확장 전과 후의 악구강계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상악궁 확장이 필요한 것으로 진단된 33명을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완만 상악골 확장술(SME)을 적용한 19명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자의 정모 및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과 모형을 확장 전과 후로 채득하였다. 또한, 급속 상악골 확장장치(RME)를 적용한 13명을 대상으로 확장 후의 치축각의 변화를Horseshoe Expander군과 비교하였다. 이 자료를 계측, 통계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모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 분석에서 양측 상악 중절치의 치근 및 절단연의 중앙점 사이의 거리, 상악 폭경, 비강 폭경이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고, 상하악 폭경은 감소를 보여 결국 삼각형 모양의 확장 양상을 나타냈다. 2.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 분석에서 McNamara line에 대한 상악 중절치의 거리, 상악깊이, 상악 높이 항목이 증가를 나타냈다. 또한, FH평면에 대한 상악 중절치, 구개평면, 교합평면, 하악 평면의 각도가 증가를 나타냈으나, McNamara line에 대한 하악 중절치의 거리항목은 유의성이 없었다. 3. 모형 분석에서, 구개용적, 상악 견치와 제1대구치의 폭경 및 상악궁 길이 항목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교합 접촉점의 감소가 유의성을 나타냈다. 4. 상악 제1대구치간 폭경변화(치성 변화)대 상악폭경변화(골격성 변화)가 약 2.2:1의 비율을 보였다. 5. Horseshoe Expander군과 급속 상악골 확장장치군(RME군)의 확장 전,후 치축각 비교에서는, Horseshoe Expander군이 급속 상악골 확장장치군(RME군)보다 상악 제2소구치, 제1대구치에서 더 큰 상관계수를 가짐으로써 협측 경사이동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Horseshoe Expander는 치성 변화가 적고, 급속 상악골 확장장치 (RME)에 비하여 협측 경사이동이 적으므로 상악궁 확장에 효과적인 장치로 사료된다.

  • PDF

교합조건 및 이악물기 힘의 변화가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cclusal Condition and Clenching Force on the Mandibular Torque Rotational Movement)

  • 오민정;한경수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4호
    • /
    • pp.411-426
    • /
    • 2005
  • 이갈이나 이악물기 시 근활성, 하악의 이동, 악관절에 가해지는 부하, 그리고 교합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는 많았으나 하악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가 적었다. 따라서 측두하악장애의 주요한 기여요인으로 간주되는 이악물기나 강한 씹기에 의해 나타나는 하악의 미세한 운동양태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을 중심으로 이악물기 및 강한 씹기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작계 이상이 없는 건강한 남자 14명을 선정하여 교합고경 및 형태의 변화와 수의적 이악물기 수준의 차이가 이악물기 및 씹기 운동 시 나타나는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torque rotational movement)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 교합조건과 이악물기 힘에서의 씹기 운동은 먼저 나무젓가락(분리기)이 없는 한 번의 이악물기와 나무젓가락을 구치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두 번에 걸친 씹는 운동 등 세 번의 하악운동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좌측으로 씹을 때와 우측으로 씹을 때 간에 전두면 및 시상면상 운동거리는 두 가지 이악물기 힘 모두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하악의 운동속도는 다른 양상을 보여 강한 이악물기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약한 이악물기에서는 좌측으로 씹을 때 우측에 비해 속도가 다소 빠른 경향을 보였다. 이때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각은 두 가지 이악물기 모두에서 전두면상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수평면상 각도에서는 씹는 측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경향을 보였다. 2. 이악물기 힘의 차이는 전두면 및 시상면상 운동거리와 속도에 영향을 미쳐 강한 씹기에서 약한 씹기에 비해 측정치가 크게 나타났으며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각 역시 강한 씹기에서 수평면상 운동각이 다소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 3. 전두면 및 시상면상 개구거리는 교합조건에 따른 차이를 보였는데, 즉 웨이퍼나 레진블록 등 교합고경이 높은 교합형태일수록 운동거리가 감소하였으며, 이때 강한 씹기에서는 운동속도 역시 유사한 양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각은 전두면 및 수평면 모두에서 교합조건에 따른 차이를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4. 세 번의 씹는 운동에서 분리기가 없는 경우에 비해 있는 경우에서 대체로 전두면상 회전운동각을 제외한 나머지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량은 모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이때 각 교합형태 간 동일항목의 비교에서는 전두면상 회전운동거리가 이악물기 힘에 따른 차이를 보여 약한 이악물기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하악 비틀림 회전운동의 전체적인 양상은 관찰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이악물기 힘에 따른 차이는 전두면에 비해 수평면상 측정치가 더 많이 변화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교합조건에 따른 양상은 관찰면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이악물기 및 씹는 운동 각각에서의 하악 비틀림 회전운동량은 교합조건이나 이악물기 힘에 관계없이 대체로 분리기 씹기에 의해 수평면상 회전운동량의 변화가 전두면상 측정치에 비해 더 유의하게 나타났다.

CAD/CAM Denture를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 수복 증례 (The treatment of an edentulous patient with DENTCA$^{TM}$ CAD/CAM Denture)

  • 박준호;조인호;신수연;최유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9-25
    • /
    • 2015
  • 오늘날 치과 분야에서 CAD/CAM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은 인레이나 크라운, 임플란트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총의치로도 그 영역을 넓히고 있다. CAD/CAM을 이용하여 총의치 제작 시 환자의 chair time과 방문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총 제작기간의 단축과 비용절감을 노릴 수 있으며 기공과정의 오차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최근 CAD/CAM을 이용한 여러 시스템 중 DENTCA$^{TM}$ CAD/CAM denture (DENTCA Inc. Los Angeles, USA)는 무치악 인상체를 스캔한 후 디지털 상에서 의치를 디자인한 뒤 3D 프린팅을 사용하여 시적의치를 제작해 이를 최종의치로 변환하는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최적의 경우 2~3번의 내원으로 의치 장착이 가능하며 정확한 의치적합도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71세 남자로, 기존 의치를 장기간 착용하여 재제작 상담을 위해 내원하였으며 예후가 불량한 잔존 치아와 치근을 발거하고 기존 하악의치를 수정하여 2달 간 사용한 뒤, 치료를 시작하였다. DENTCA에서 제공하는 알맞은 크기의 기성 트레이를 선택하여 one-step border molding을 시행한 후, wash impression을 채득하였다. 기존의치의 수직고경을 바탕으로 고딕 아치 트레이싱을 시행한 후 결정된 중심위로 상하악 트레이를 고정하고 교합인기를 시행하였다. DENTCA에서 이를 스캔하여 인공치 배열 및 festooning을 시행하고 3D 프린팅을 이용해 시적의치를 제작하였다. 환자 구강 내에 시적하고 교합평면 및 교합관계를 평가한 뒤 다시 교합인기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최종의치로 변환하였다. 양측성 균형교합을 형성하기 위해 안궁 이전을 이용하여 임상적 재부착 후 교합조정을 시행하였으며 이로 인해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가토에서 신장된 하악골에 대한 혈소판농축혈장의 효과 (EFFECTS OF ADMINISTRATION PLATELET RICH PLASMA ON THE DISTRACTED MANDIBLE IN RABBITS)

  • 배금휴;국민석;박홍주;오희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4호
    • /
    • pp.315-323
    • /
    • 2005
  • For reconstruction of the bony defect, distraction osteogenesis has many advantages in comparison with bone graft. However, it needs long consolidation period for sufficient bone maturity. This study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RP injection into the distracted mandible on bone formation in rabbits. Twelve house rabbits, weighing 2 kg, were used. All animals underwent bilateral mandibular osteotomy under general anesthesia. A internal distractor divice was positioned along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osteotomy. After 5 days of latency period, distraction osteogenesis was started at a rate of 1 mm/day for 9 days which was distracted 9 mm totally. After completion of distraction, 0.5 ml of PRP which collected in rabbit blood was injected into the distracted mandible on experimental group, whereas no injection was done in control group. Macroscopical, radiographical, and histological, and histomorphometric examinations were performed 2, 4 and 8 weeks after distraction. All animals showed distracted mandible and severe anterior cross-bite. In radiographical findings 2 weeks after distraction, more radiopacity in the distracted gap was found in experimental group than that of control group. At 4 weeks after distraction, distracted bone was similar to normal bone in experimental group. In histological findings, 1) At 2 weeks after distraction, number of osteoblasts and angiogenesis in the distracted gap was found in experimental group than that of control group. 2) At 4 weeks after distraction, more active and distinct bone in the distracted gap was found in experimental group than that of control groups. 3) At 8 weeks after distraction, more dense and matured lamellated bone in the distracted gap was found in experimental group than that of control group. In histomorphometrical findings 8 weeks after distraction, more bone formation was observed in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p<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dministration of PRP into the distracted mandible can promote bone formation.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의 효과와 안정성에 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Clinical Effects and Stability of the Maxillary Protraction Using the Lateral Cephalogram in Korean)

  • 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09-529
    • /
    • 1992
  •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type to treat and stabilize. For a child with developing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the treatment objective would be to stimulate maxillary growth, particulary one who has markedly deficient maxilla, and to restrain excessive mandibular growth. In order to stimulate the maxillary growth, maxillary protraction appliance is the one of the effective orthopedic appliances in skeletal Class III.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evaluation of the skeletal and dental changes of the maxillary protraction in children with Class III Maxillary deficiency , comparison of the clinical effects between the group with RPE and labiolingual intraoral appliances , comparison of the clinical effects and stability related to the ages of the patients : stability of the maxillary protraction about 1 year after retention. The subjects consisted of 60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8 and 13.4 who were diagnosed as Class III with maxillary deficiency and were treated with Face Mask (Delaire Type) from the Dept. of Orthodontics Yong Dong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48 children wore the RPE and 12 children wore Labiolingual Appliance. Lateral Cephalograms were taken for each patient at before and after correction of anterior cross-bite in 60 children, and after an observation period of 10 to 14 months in 19 children. X and Y coordinate of 10 landmarks were analyzed using a horizontal line through sella and rotated $6^{\circ}$ down anteriorly as the horizontal reference axis, and a perpendicular verticual line through sella as the vertical reference axis. Each of the 31 measurents (10 verticals, 10 horizontals, 2 angles and 9 others)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PC stat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fter maxillary protraction the maxilla and maxillary teeth moved downward and forward, while the mandible and mandibular incisor rotated downward and backward. 2. Maxillary protraction with rapid palatal expansion appliance was more effective than with labiolingual appliance. 3. More downward movement of the posterior palatal plane obserbed with maxillary protraction doing the midpalatal suture opening than with protraction after finishing the palatal expansion 4. The clinical effects of protraction and changes of the retention period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age groups. 5. During the retention period, maxilla and maxillary teeth, and mandible and mandibular teeth moved downward and forward, however the mandibular changes were larger than the maxillary changes.

  • PDF

이악물기 치아접촉시 편측 구치 상실을 지닌 두개골의 부하분석 (Analysis of functional load on the dentated skull with unilateral molar loss during simulated bilateral clenching clenching)

  • 정석조;정승미;강동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7권4호
    • /
    • pp.245-25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chanical stress and displacement on the jaws during the simulated bilateral clenching task on the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of the dentated skull with unilateral molar loss. For this study, the computed tomography(G.E.8800 Quick, USA) was used to scan the total length of human skull in the frontal plane at 2.0mm intervals. The fully assembled finite element model consists of the articular disc, maxilla, mandible, teeth, periodontal ligament and cranium. The FE model was used to simulate the bilateral clenching in intercuspal position. The loading condition was the force of the masseter muscle exerted on the mandible as reported by Korioth et al. degrees of freedom of the zygomatic region where the masseter muscle is attached were fixed as restraints. In order to reflect the actual action of the muscles force, the displacement of the region was attached where the muscle is connected to the temporal bone and restraint conditions were given values identical to values at the attachment region of the masticatory muscle but with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reaction from when the muscle force is acted on the mandible. Although the mandible generally has higher displacement and von Mises stress than the maxilla, its mandibular corpus on the molar-loss side has a higher stress and displacement than the molar-presence side. Because the displacement and von Mises Stress was the highest on the lateral surface of mandibular corpus with molar loss, the stress level of the condyle on the molar-loss side is greater than that of the molar-presence side, which in turn caused the symphysis of the mandible to bend. In conclusion, the unilateral posterior bite collapse with molar loss under para-functional activities such as bruxism and clenching can affect the stress concentration on the condyle and mandibular corpu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consider the biomechanical function of dento-skeleton under masticatory force while designing the occlusal scheme of restoration on alveolar bone with the posterior collapse.

  • PDF

CAD-CAM으로 제작된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이용한 무치악 환자의 보철 수복 증례 (Rehabilitation of the edentulous patient with implant overdenture using CAD-CAM denture system: A case report)

  • 이한나;심지석;이정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74-381
    • /
    • 2022
  • 본 증례는 74세 남환으로 20년 전 제작한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잦은 탈락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기존 의치 사용 시 수직고경이 감소되었으며, 상악 총의치는 입술 지지 및 유지력이 부족하였으며, 하악 피개의치는 bar attachment 손상으로 clip의 유지력 부족이 관찰되었다. 손상된 bar attachment를 제거 후 ball attachment로 교체하였으며, DENTCATM Tray를 이용하여 인상 채득, 수직고경을 측정하고, 고딕 아치 기록방법으로 중심위를 결정하여 교합기록을 시행하였다. 채득한 인상체를 스캔하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최종 의치의 형태를 디자인하였고, 3D 프린터로 시적의치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적의치를 장착하여 교합평면 및 교합관계, 안모 형태, 발음 등을 평가한 후 교합기록을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최종 의치를 제작하였다. 최종 의치의 내면 조정 및 양측성 균형교합을 형성하였으며, 하악 의치에서는 직접법으로 attachment를 연결하였다. 새로 제작된 상하악 의치 사용 시, 수직고경의 증가 및 입술지지를 회복하여 개선된 안모가 관찰되었으며, ball attachment 교체로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유지력이 증가하여 기능적으로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