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medical data

검색결과 2,225건 처리시간 0.029초

근권 환경부 측정장치를 이용한 지역별 관수제어 모델링 연구 (A Study on Modeling of Watering Control status by Regions Using the Measurement Device of the Ministry of Root Environment)

  • 정진형;조재현;김승훈;최안렬;이상식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68-174
    • /
    • 2021
  • 세계 농업 생산성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농업의 연평균 성장률은 1.63% 수준으로 2050년까지 증가하는 세계 인구 약 100억 명을 지원하기 위한 성장률 1.73% 보다 낮은 수준이며 이는 세계 농업의 생산성은 2050년까지 세계 인구의 식량, 사료, 바이오에너지 수요를 지속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을 만큼 증가하지 않고 있으며 미래의 식량난을 예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작물의 생산비용 감소, 생산량 증대, 품질 향상 등을 목적으로 국내 농가의 근권 환경 데이터 수집 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역별 관수 제어 모델을 만들고 해당 지역에서 농사를 시작하는 농부들에게 조언을 줄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관수제어 모델링은 시간의 흐름 및 기후에 따른 근권 환경 변화로 인한 배지무게·급액량·배액량의 변화를 그래프 모형으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관수제어 모델링을 위해 근권 환경부 측정 장치를 통해 충정남도 논산, 부여, 예산 지역의 3~6월 근권환경 데이터 및 배지무게·급액량·배액량의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관수제어 모델도출을 위한 매개변수 설정하고 매개변수를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무게·급액량·배액량의 변화를 확인 할 수 있는 관수제어 모델을 도출했다.

Initial Experience of Transperineal Biopsy After Multiparametr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Korea; Comparison With Transrectal Biopsy

  • Yoon, Sung Goo;Jin, Hyun Jung;Tae, Jong Hyun;No, Tae Il;Kim, Jae Yoon;Pyun, Jong Hyun;Shim, Ji Sung;Kang, Sung Gu;Cheon, Jun;Lee, Jeong Gu;Kim, Je Jong;Sung, Deuk Jae;Lee, Kwan Hyi;Kang, Seok Ho
    • 대한비뇨기종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0-118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etection rate of transperineal biopsy after multiparametr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mpMRI) and compared it to that of transrectal biopsy. We also examined the role of mpMRI and the rate of complications for each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In a retrospective study, we analyzed 147 patients who underwent mpMRI before prostate biopsy because of elevated serum prostate-specific antigen and/or abnormal digital rectal examination findings at Korea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from March 2017 to April 2018. Regions on the mpMRI that were suggestive of prostate cancer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Prostate Imaging-Reporting and Data System (PI-RADS v2). For transperineal biopsy, a 20-core saturation biopsy was performed by MRI-TRUS cognitive or fusion techniques and a 12-core biopsy was performed in transrectal biopsy. Results: Sixty-three and 84 patients were enrolled in transperineal group and transrectal group, respectively. The overall detection rate of prostate cancer in transperineal group was 27% higher than that in transrectal group. Classification according to PI-RADS score revealed a significant increase in detection rate in all patients, as the PI-RADS score increased. Frequency of complications using the Clavien-Dindo classification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complications rate, but two patients in transrectal group received intensive care unit care due to urosepsis. Conclusions: Our results confirmed that transperineal biopsy is superior to transrectal biopsy for the detection of prostate cancer. From the complication point of view,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were fewer severe complications in transperineal biopsy.

소아에서 분리된 피부진균증의 발생경향 (Incidence Trends of Dermatophytoses Isolated in Children)

  • 김수정;방용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44-448
    • /
    • 2018
  • 2017년 1월 2일부터 12월 30일까지 내원한 검사환자 13,093명 중 소아청소년환자는 691명이며 백선균 분리환자는 179명으로 25.9%가 분리되었다. 분석 결과 전체 소아환자 691명 중 남성은 423명으로 61%이며 여성은 268명으로 39%로 분포하였다. 연령군별 조사에서는 신체변화가 가장 많은 시기인 사춘기(317, 46%)에서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학령기(203, 29%)와 영유아기(171, 25%)의 순서로 나타났다. 계절별 조사에서는 여름(195, 28%)과 겨울(191, 28%)이 높게 분리되었고 봄(165, 24%)과 가을(140, 20%)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부위별로는 족부백선(353, 51%)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 순으로는 몸백선(91, 13%), 조갑백선(77명, 11%), 사타구니백선(55, 8%), 두부백선(39, 6%), 수부백선(29, 4%), 그리고 얼굴백선(22, 3%)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연령별에 따른 부위별 질환은 소아연령 모두에서 족부백선이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다음 순으로는 유아기와 학령기에서는 몸백선, 조갑백선, 수부백선, 그리고 두부백선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사춘기에서는 몸백선, 조갑백선, 그리고 사타구니백선으로 분리되었다. 원인균종은 Trichophyton rubrum이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본 자료분석을 통해 소아의 발달단계에 따른 백선의 분포와 분리균종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인 자료수집을 통해 소아피부진균증의 분포 추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승마운동이 뇌졸중환자의 하지 근 두께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ness of Horse-Riding Exercise for the Stroke Patients' Muscle Thickness of Lower Extremity)

  • 김선칠;조운수;조성현
    • 재활복지
    • /
    • 제21권3호
    • /
    • pp.147-16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승마기구운동이 뇌졸중환자의 하지 골격근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 광역시에 위치한 A병원에 입원중인 뇌졸중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두 그룹으로 승마기구운동군 15명, 대조군 15명으로 무작위 배치되었다. 승마기구운동군은 실험 기간 총 6주 동안 주 3회, 회당 20분 운동을 실시하였다. 넙다리곧은근, 앞정강근, 안쪽 장딴지근, 중간볼기근의 두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초음파 영상촬영 장치를 사용하였다. 30명의 연구대상자들에 대한 측정은 운동 전, 운동 6주 후에 수행되었다. 데이터의 분석은 통계적 유의수준을 결정하기 위해서 독립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였다. 각 그룹 간 중재 전 후 차이값에 대한 근 두께의 비교에서는 네 근육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승마 운동군은 근육 두께에 대한 운동 전과 후의 비교에서 네 근육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대조군은 운동 전과 후의 비교에서 RF, GM, TA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승마기구운동은 무릎의 안정화와 하지 폄근의 활성으로 인해 하지 근두께의 향상이 나타났다.

Diffusion Tensor-Derived Properties of Benign Oligemia, True "at Risk" Penumbra, and Infarct Core during the First Three Hours of Stroke Onset: A Rat Model

  • Chiu, Fang-Ying;Kuo, Duen-Pang;Chen, Yung-Chieh;Kao, Yu-Chieh;Chung, Hsiao-Wen;Chen, Cheng-Yu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19권6호
    • /
    • pp.1161-1171
    • /
    • 2018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usion tensor (DT) imaging-derived properties of benign oligemia, true "at risk" penumbra (TP), and the infarct core (IC) during the first 3 hours of stroke onset.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approved by the loc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DT imaging data were obtained from 14 rats after perman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pMCAO) using a 7T magnetic resonance scanner (Bruker) in room air. Relative cerebral blood flow and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maps were generated to define oligemia, TP, IC, and normal tissue (NT) every 30 minutes up to 3 hours. Relative fractional anisotropy (rFA), pure anisotropy (rq), diffusion magnitude (rL), ADC (rADC), axial diffusivity (rAD), and radial diffusivity (rRD) values were derived by comparison with the contralateral normal brain. Results: The mean volume of oligemia was $24.7{\pm}14.1mm^3$, that of TP was $81.3{\pm}62.6mm^3$, and that of IC was $123.0{\pm}85.2mm^3$ at 30 minutes after pMCAO. rFA showed an initial paradoxical 10% increase in IC and TP, and declined afterward. The rq, rL, rADC, rAD, and rRD showed an initial discrepant decrease in IC (from -24% to -36%) as compared with TP (from -7% to -13%).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in metrics, except rFA, were found between tissue subtypes in the first 2.5 hours. The rq demonstrated the best overall performance in discriminating TP from IC (accuracy = 92.6%, area under curve = 0.93) and the optimal cutoff value was -33.90%. The metric values for oligemia and NT remained similar at all time points. Conclusion: Benign oligemia is small and remains microstructurally normal under pMCAO. TP and IC show a distinct evolution of DT-derived properties within the first 3 hours of stroke onset, and are thus potentially useful in predicting the fate of ischemic brain.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오분자기(Sulculus diversicolor supertexta)내 미생물 군집 조사 및 인체유해 질병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모니터링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mmunities in Sulculus diversicolor supertexta Through 16S rRNA Sequencing and Antibacterial Monitoring of Harmful Strains)

  • 김민선;이승종;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477-1488
    • /
    • 2018
  • 본 연구는 제주 연안에서 채집한 오분자기(Sulculus diversicolor supertexta)를 구성하는 미생물 군집의 다양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근육, 장, 생식소 각 부위별로 조사하였다. 배지로 1차 순수 분리한 결과 근육은 MA, 장 1% BHIA, 생식소 1% TSA에서 각각 최대 군락 계수가 나타났다. 16S rRNA sequence로 표준 균주와 비교 유사도 분석 결과 총 190개의 순수 colony가 분리되었다. NBLAST program 분석 결과 크게 5문 25과 39속 71종으로 나타났다. 표준 균주와 상동성은 91-100%를 나타냈다. 오분자기 내 미생물 군집은 크게 Pr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Alpha-proteobacteria) 48%, Actinobacteria 32.5%, Firmicutes 16.9%, Bacteroide 1.3%, Deinococcus-thermus 1.3%로 나타났다. 근육, 장, 생식소 모든 부위에서 Moraxellaceae과 Psychrobacter cibarius가 우점하였다. 근육, 장, 생식소 모든 부위에서 Alteromonadaceae, Enterobacteriaceae, Pasturellaceae, Moraxellaceae, Rhodobacteraceae, Geminicoccaceae, Dietziaceae, Intrasporangiaceae, Microbacteriaceae, Micrococcaceae, Micromonosporaceae, Streptomycetaceae, Aerococcaceae, Bacillaceae, Paenibacillaceae, Planococcaceae, Staphylcoccaceae가 공통적으로 분리되었으며, 장에서 Flavobacteriaceae, Corynebacteriaceae, Yesiniaceae, Vibrionaceae, Hahellaceae, Pseudomonadaceae가 추가 분리되었다. 분리 균주로부터 인체 유해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모니터링 결과 Sterptomyces albus (96%)가 4균주 모두 항균활성을 보였고 Agrococcus baldri (99%), Psychrobacter nivimaris (99%)가 E. coli, E. aerogen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그 외 상동성이 낮은 일부 균주가 분리되어 신균주 실험을 비롯한 항균활성물질 정제 등 추가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은 오분자기 미생물 군집의 다양성과 유전학적 자원을 확보하는데 의의를 두며, 응용 미생물의 개발 가능성에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전계해석과 기체방전 이론을 기반으로 한 Polyvinyl-Chloride-Sheathed Flat Cord 표면의 트래킹 진전 메커니즘 (Tracking Propagation Mechanism on the Surface of Polyvinyl-Chloride-Sheathed Flat Cord based on Electric Field Analysis and Gas Discharge Physics)

  • 임동영;박혜리;지승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2호
    • /
    • pp.30-38
    • /
    • 2019
  • 전기 화재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트래킹은 전기적 방전에 의한 물리적 현상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트래킹은 전계해석, 전자생성에 의한 도전성 경로, 기체방전이론을 기반으로 설명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사항을 반영한 연구논문은 드물다. 본 논문은 트래킹 진전에서 그들의 영향을 포함한 트래킹 진전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그 메커니즘의 제안을 위해, 트래킹 실험, 탄화진전 모델에 대한 전계해석, 연면방전 이론을 적용한 트래킹 진전과정에 대한 설명이 수행되었다. 트래킹 모의실험으로부터, 코로나 방전에서 트래킹 파괴까지 트래킹 진전의 각 단계에서 전류파형이 측정되었다. 전계해석은 탄화의 발생과 진전과정동안 건조대 표면의 전계와 전자생성을 위한 고전계 영역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트래킹 메커니즘은 코로나 방전에 의한 전자사태, 양이온의 축적, 전자사태의 확장, 2차 전자사태, 스트리머, 도전성 경로에 의한 트래킹 파괴의 6단계로 구성된다. 트래킹 모의실험에서 측정된 펄스성 전류파형은 제안된 트래킹 메커니즘에 의해 설명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화재의 원인인 트래킹을 검출하고, 내트래킹성을 높이는 데 필요한 기술 자료가 될 것이다.

비파괴 검사 분야의 방사성 동위원소 위치추적을 위한 반도체 화합물의 적용 가능성 연구 (The Study on Applicability of Semi-conductive Compound for Radioactive Source Tracing Dosimeter in NDT Field)

  • 신요한;한무재;정재훈;김교태;허예지;이득희;조흥래;박성광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9-44
    • /
    • 2019
  • Co-60 및 Ir-192 등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비파괴 검사(Non-Destructive Test; NDT) 등의 분야에서 널리 쓰임에 따라 방사선 안전관리가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요오드화수은(Mercury(II) Iodide; $HgI_2$)의 선원추적 시스템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HgI_2$로 제작된 Unit cell 센서의 신뢰도 검증을 위한 전기적 특성평가를 수행한 후, 방사선에 대한 센서의 위치의존성을 분석하고, Planning system의 선량 분포와 비교하였다. 평가결과, R-sq>0.99 이상의 선형성과 CV<0.015 이하의 재현성을 보이며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치의존성 평가에서는 센서의 isocenter에서 최댓값이 측정되었으며, 거리에 따라 점진적 감소를 나타냈다. 그러나 Planning system 상의 선량 분포 데이터와는 최대 30%의 차이를 보였는데, 센서는 단일지점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Planning system과 달리 면적으로부터 수집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Novel method of histopathological analysis after testicular sperm extraction in patients with nonobstructive and obstructive azoospermia

  • Cito, Gianmartin;Coccia, Maria Elisabetta;Picone, Rita;Nesi, Gabriella;Cocci, Andrea;Dabizzi, Sara;Garaffa, Giulio;Fucci, Rossella;Falcone, Patrizia;Bertocci, Francesco;Santi, Raffaella;Criscuoli, Luciana;Serni, Sergio;Carini, Marco;Natali, Alessandr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5권4호
    • /
    • pp.170-176
    • /
    • 2018
  • Objective: To assess whether the "testicular pool" could be used for histological analysis and whether it gave more accurate information than the standard testicular biopsy. Methods: Between January 2017 and March 2018, this single-center prospective study included 60 azoospermic men undergoing conventional bilateral testicular sperm extraction. Six samples were excised from each testicle and transferred to an embryologist. One additional biopsy was randomly taken from each testis for a histological analysis. After processing, the testicular pool was also sent for a histological analysis, which showed normal spermatogenesis (NS), hypospermatogenesis (HYPO), maturation arrest (MA), Sertoli cell-only syndrome (SCOS), and tubular atrophy (TA). Results: Twenty of the 60 patients (33.3%) had obstructive azoospermia (OA), while the remaining 40 (66.6%) had nonobstructive azoospermia. Their mean age was 40.5 years. All patients with OA had previously undergone unsuccessful testicular fine-needle aspiration. Successful sperm retrieval (SSR) occurred in 93.3% of patients. Histological analysis of the testicular biopsy revealed NS in 12 patients (20%), HYPO and TA in 28 patients (46.6%), MA in eight patients (13.3%), and SCOS in 12 patients (20%). The testicular pool analysis showed NS in 12 patients (20%), HYPO and TA in 44 patients (73.3%), MA in four patients (6.6%), and SCOS in no patients. In four patients with MA (6.6% of the total sample) and 12 patients with SCOS (20% of the total sample) according to the standard testicular biopsy, the embryologist found SSR with cryopreservation. Overall, in 44 patients (73.3%), the testicular pool analysis confirmed the histological findings of the standard testicular biopsy. In the 16 cases (26.6%) with a discrepancy between the single-biopsy histological findings and SSR, the testicular pool analysis confirmed the embryological data on SSR. Conclusion: The testicular pool proved to be easily analyzable, practical, manageable, and more accurate for predicting sperm retrieval than standard testicular biopsy.

Association of waist circumference with muscle and fat mass in adults with a normal body mass index

  • Lee, Gyeongsil;Choi, Seulggie;Park, Sang M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5호
    • /
    • pp.604-612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waist circumference (WC) with body composition among individuals with a normal body mass index (BMI) to distinguish muscle and fat mass, as both affect health differently. SUBJECTS/METHODS: We analyzed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ata (derived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hich includes information on fat and lean mass) of 7,493 adults with a normal BMI.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of increasing WC. The fourth group was defined as being centrally obese. Each number of subjects are as follows: 1,870, 695, 231, and 39 among men and 3,054, 1,100, 406, and 98 among women. We conducted a sex-stratified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body composition according to WC group after adjustments for covariates. RESULTS: We observed a positive association of body fat with increasing WC in both men and women (all P for trend: < 0.001). The adjusted mean values for percent body fat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CIs) according to the four WC groups in ascending order were 17.8 (17.5-18.3), 21.0 (20.6-21.5), 22.1 (21.5-22.8), and 25.1 (24.2-26.1) in men and 29.7 (29.4-30.0), 32.0 (31.6-32.3), 32.9 (32.4-33.4), and 34.7 (33.2-36.1) in women. However, there was an inverted J-shaped association between muscle mass and WC. The fourth group had a higher percent body fat and lower muscle mass than other groups. The adjusted mean values for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index (kg/m2) with 95% CIs according to the four WC groups in ascending order were 7.55 (7.51-7.59), 7.62 (7.56-7.68), 7.65 (7.56-7.74), and 7.22 (7.04-7.41) in men and 5.83 (5.80-5.85), 5.96 (5.92-6.00), 6.03 (5.96-6.10), and 5.88 (5.73-6.03). CONCLUSIONS: There wa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body fat and WC among individuals with normal BMI; conversely there was an inverted J-shaped association between lean body mass and WC. Our findings support the WC measurement should be included in obesity evaluations for adults with a normal B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