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logical impacts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 석조유산의 기후변화 영향: 연구동향과 미래전망 (Climate Change Impact on Korean Stone Heritage: Research Trends and Prospect)

  • 김지영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37-448
    • /
    • 2016
  • 전지구적으로 일어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세기 말부터 선진국을 중심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문화유산 취약성 평가와 대책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관련 연구방법이 정립되고 방대한 기후자료와 손상예측 자료가 축적되었다. 우리나라는 관련된 정책연구가 다수 수행된 반면 여전히 과학적인 근거자료를 확보해야 하는 당면 과제가 남아있다. 한반도 미래 기후자료를 반영한 국내 석조유산의 미래 손상양상은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풍화 측면에서 복합적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문화유산 보존 분야의 산업과 행정관리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석조유산의 영향 연구는 지역과 자료주기의 다운스케일을 통해 정밀화된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손상유형과 지역별로 미래 환경에 취약한 석조유산을 가려내고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유역의 효과적인 침식조절을 위한 유사평가 툴(SATEEC)의 개발 (Development of Sediment Assessment Tool for Effective Erosion Control (SATEEC) in Small Scale Watershed)

  • Kyoung-Jae Lim;Joong-Dae Choi;Ki-Sung Kim;Myung Sagong;Bernard A. Engel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85-96
    • /
    • 2003
  •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has been used in over 100 countries to estimate potential long-term soil erosion from the field. However, the RUSLE estimated soil erosion cannot be used to estimate the sediment delivered to the stream networks. For an effective erosion control, it is necessary to compute sediment delivery ratio (SDR) for watershed and sediment yield at watershed outlet. Thus, the Sediment Assessment Tool for Effective Erosion Control (SATEEC)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o compute the sediment yield at any point in the watershed. To compute spatially distributed sediment yield map, the RUSLE was first integrated with the ArcView GIS and three area based sediment delivery ratio methods were incorporated in the SATEEC. The SATEEC was applied to the Bangdong watershed, Chuncheon, Gangwon Province to demonstrate how it can be used to estimate soil loss and sediment yield for a watershed. The sediment yield using USDA SDR method is 8,544 ton/year and 4,949 ton/year with the method by Boyce. Thus, use of watershed specific SDR is highly recommended when comparing the estimated sediment yield with the measured sediment data. The SATEEC was applied with hypothetical cropping scenario and it was found that the SATEEC can be used to assess the impacts of different management on the sediment delivered to the stream networks and to find the sediment source areas for a reach of interest. The SATEEC is an efficient tool to find the best erosion control practices with its easy-to-use interface.

${\alpha}-Galactosidase$의 활력차이에 의한 Bifidobacteria의 선별 (Detection of Bifidobacteria by ${\alpha}-Galactosidase$ activity)

  • 민해기;이시경;강국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3호
    • /
    • pp.191-196
    • /
    • 1993
  • 본 연구는 합성기질인 $X-{\alpha}-Gal$를 이용하여 발효유 및 유제품내의 Bifidobacteria 생균수를 측정할 목적으로 하였다. 젖산균과 Bifidobacteria의 ${\alpha}-galactosidase$ specific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Bifidobacteria 균주에서는 높은 ${\alpha}-galactosidase$ activity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 중 Bif. longum KCTC 3215의 specific activity는 8.57 unit/mg protein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actobacillus, Streptococcus, Pediococcus와 Leuconostoc 균주에서는 활성이 미약하거나 없었다. 합성기질인 $X-{\alpha}-Gal$을 MRS agar 배지에 $100{\;}{\mu}M$ 첨가한 결과 Bifidobacteria는 blue colony로, Lac. bulgaricus, Lac. casei와 Leu. mescenteroides 균주는 light blue colony로, 그 외 젖산균에서는 white colony로 나타났다.

  • PDF

Larval Development of the Grooved Tanner Crab, Chionoecetes tanneri Rathbun, 1893 (Decapoda: Brachyura: Majidae) Described from the Laboratoryreared Specimens

  • Hong, Sung-Yun;Park, Won-Gyu;Perry, R. Ian;Boutillier, James A.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3권1호
    • /
    • pp.59-69
    • /
    • 2009
  • This paper documents the defin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rval stages of Chionoecetes tanneri Rathbun, 1893, the grooved Tanner crab, from specimens reared in the laboratory. Chionoecetes tanneri larval stages include two zoeae and one megalopa. The first zoea is characterized by: six setae on the posterior margin of the carapace; postero-lateral spines on abdominal somites 3 and 4, extending beyond the posterior margin of adjacent somites and bearing 9-10 spinnules; 12 plumose setae and one stout distal plumose seta present on the margin of the scaphognathite of the maxilla; and one fused lateral spine and one articulated dorso-medial spine on each fork of the telson. The second zoea is characterized by: 9 setae on the postero-lateral margin of the carapace; a serrated mandible molar; a mandibular palp bud; 25-26 plumose setae on the margin of the scaphognathite of the maxilla; pereiopods with well-developed gills and buds; and four pairs of stout setae on the posterior margin of the telson. For the megalopal stage,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include: a rostral spine equal in length to the supraorbital spine; six setae on the exopod of the uropod; and a single spine on the ischium of the second pereiopod. This study allows C. tanneri larvae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larvae of known sympatric congeners. This information provides a basic taxonomic tool for researchers in fisheries management and zooplankton ecology who are addressing issues related to trophic interactions, metapopulation dynamics and ecosystem impacts in the evolving marine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North Pacific, and those related to Chionoecetes species in particular.

생태관광지역 자연자원 관리를 위한 수용력 기반 관리모델 개선방향 : Getz, LAC, VIM, VERP 관리모델을 중심으로 (Direction for Improving Management Model based on Carrying Capacity for Managing natural resources in ecotourism area : Focused on Getz, LAC, VIM and VERP)

  • 박홍철;오충현
    • 환경정책연구
    • /
    • 제13권4호
    • /
    • pp.107-133
    • /
    • 2014
  • 생태관광은 이용과 보전 사이에서 다양한 문제점을 낳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대상지에 대한 수용력 파악과 적절한 탐방객 수 조절 등의 과학적인 관리기법의 도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Getz, LAC, VIM, VERP 관리모델은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국내에서도 도입 및 적용하기 위해 연구되었던 수용력 기반의 관리모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생태관광 특성 및 현황, 목적에 적합한 관리모델로의 수정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관리모델을 비교 검토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크게 3가지 개선항목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수용력과 관리목표의 상호의존적 연계 시스템 개선이며, 둘째는 관광기회분포모형의 개선이다. 셋째는 단계적 관리체계의 개선이다. 이를 통해 최소의 노력과 비용으로 생태관광지역의 탐방객 영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태풍의 이동경로에 따른 해양환경변화관측을 위한 해색 자료 분석 (Analysis of Ocean Color Data for Observation on the Ocean Environment Change Caused by Typhoon Path)

  • 정종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9-66
    • /
    • 2013
  • 태풍이 해양을 이동할 때 해양환경은 물리 생물학적으로 한반도 주변해역에 영향을 미친다. 태풍이동의 결과로써 해양의 수직적 혼합과 용승작용은 해양 표층수 냉각을 유도하고 태풍의 경로에 따라 식물플랑크톤의 증가를 초래하며, 태풍 전과 후의 해양환경은 해양표층의 생물학적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비록 태풍 이동의 원인으로 해양 표층수의 냉각이 확대되지만, 엽록소, K490, SST와 같은 다른 물리-생물리적 반응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 주변해역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 이동경로와 해색센서에 의해 관측된 해양환경변수를 비교하는데 있다. 부유물질, 흡광계수(K490), 엽록소와 같은 해양환경변수는 2002년부터 2005년 MODIS 자료가 적용되었다. 태풍이동 후 동해에서는 평균 엽록소 농도가 1-4배 증가하였고, 태풍 이동경로를 따라 태풍 이후 MODIS 엽록소의 평균 농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제주도 해역은 동해역과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혐기와 호기 상태의 물과 토양에서 pH, PO4-P, 탁도, T-P 농도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 of Phosphorus, Turbidity, and pH in Water and Soil under Aerobic and Anaerobic Conditions)

  • 민영홍;강삼우;이회선;정남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3호
    • /
    • pp.225-229
    • /
    • 2011
  • 본 연구는 호수바닥에 있는 인의 용출 메카니즘을 규명하고자 유기물이 없는 시료(흙)에 호기성과 혐기성 실험하여 인 용출을 연구하였다. T-P의 증가 대부분은 $PO_4-P$ 증가에서 기인됐고, 약 pH 4-7 정도에서 $PO_4-P$는 호기, 혐기 그리고 pH 변화에도 점진적인 증가를 나타낸 원인은 한번 용출된 $PO_4-P$는 탁도에 흡착되지 않고 용존 하면서 계속해 탁도물질에서 $PO_4-P$를 용출하기 때문이다. T-P, 탁도, pH 그리고 DO의 유사한 변화 양상은 시료의 포도당 분해 시 DO 감소로 혐기화되면 유기산이 생성되어 pH가 감소하고, 탁도물질은 pH 감소로 침전이 촉진되며, 침전된 탁도물질은 미생물의 분해작용이 없어도 인이 용출된다. 이 메카니즘은 호수 바닥으로부터 물로 공급되는 인을 이해할 때 대단히 중요하다.

Methyl Jasmonate 및 Salicylic Acid 처리에 의한 더덕(Codonopsis lanceolata) 부정근의 항산화 활성 증가 (Increasement of antioxidative activity in Codonopsis lanceolata adventitious root treated by Methyl jasmonate and salicylic acid)

  • 황현정;송관필;김미향;도선길;배기화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0권3호
    • /
    • pp.178-183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더덕부정근 배양에서 MeJA 및 SA의 처리가 페놀화합물, 플라보노이드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이차대사산물의 증가에 따른 더덕배양근의 항산화활성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다양한 농도의 MeJA 및 SA를 더덕배양근에 처리한 결과, 20 uM MeJA에서 총페놀 화합물의 생산은 74.53 mg/g으로 무처리구보다 2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하지만, MeJA 및 SA의 처리는 부정근의 생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 역시 20 uM MeJA의 처리구에서 38.45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20 uM의 MeJA 처리에 의한 총페놀화합물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증가는 결과적으로 더덕부정근의 항산화활성을 $IC_{50}$ 값 수준에서 MeJA 무처리구에 비해 2배, 3년생 재배더덕에 비해서는 11배 이상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처 적합모형을 적용한 고산지역 분비나무의 기후변화 영향평가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of Abies nephrolepis (Trautv.) Maxim. in Subalpine Ecosystem using Ensemble Habitat Suitability Modeling)

  • 최재용;이상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03-118
    • /
    • 2018
  • Ecosystems in subalpine regions are recognized as areas vulnerable to climatic changes because rainfall and the possibility of flora migration are very low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opography in the regions. In this context, habitat niche was formulated for representative species of arbors in subalpine reg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climatic changes on alpine arbor ecosystems. The current potential habitats were modeled as future change areas according to the climatic change scenarios. Based on the growth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s, th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direct and indirect causes affecting the habitat reduction of Abies nephrolepis. Diverse model algorithms for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ergence of biological species and habitat environments were reviewed to construct the environmental data suitable for the six models(GLM, GAM, RF, MaxEnt, ANN, and SVM). Weights determined through TSS were applied to the six models for ensemble in an attempt to minimize the uncertainty of the models. Based on the current climate determined by averaging the climates over the past 30years(1981~2010) and the HadGEM-RA model was applied to fabricate bioclimatic variables for scenarios RCP 4.5 and 8.5 on the near and far future. The results of models of the alpine region tree species studied were put together and evaluate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total of eight national parks such as Mt. Seorak, Odaesan, and Hallasan would be mainly affected by climatic changes. Changes in the Baekdudaegan reserves were analyzed and in the results, A. nephrolepis was predicted to be affected the most in the RCP8.5. The results of analysis as such are expected to be finally utilizable in the survey of biological species in the Korean peninsula,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strategies considering climatic changes as the analysis identified the degrees of impacts of climatic changes on subalpine region trees in Korean peninsula with very high conservation values.

An overview of applicability of WEQ, RWEQ, and WEPS models for prediction of wind erosion in lands

  • Seo, Il Whan;Lim, Chul Soon;Yang, Jae Eui;Lee, Sang Pil;Lee, Dong Sung;Jung, Hyun Gyu;Lee, Kyo Suk;Chung, Doug You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2호
    • /
    • pp.381-394
    • /
    • 2020
  • Accelerated soil wind erosion still remains to date to cause severe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s. Revised and updated models to quantitatively evaluate wind induced soil erosion have been made for specific factors in the wind erosion equation (WEQ) framework. Because of increasing quantities of accumulated data, the WEQ, the revised wind erosion equation (RWEQ), the wind erosion prediction system (WEPS), and other soil wind erosion models have been established. These soil wind erosion models provide essential knowledge about where and when wind erosion occurs although naturally, they are less accurate than the field-scale. The WEQ was a good empirical model for comparing the effects of various management practices on potential erosion before the RWEQ and the WEPS showed more realistic estimates of erosion using easily measured local soil and climatic variables as inputs.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observed and predicted transport capacity and soil loss makes the RWEQ a suitable tool for a large scale prediction of the wind erosion potential. WEPS developed to replace the empirical WEQ can calculate soil loss on a daily basis, provide capability to handle nonuniform areas, and obtain predictions for specific areas of interest. However, the challenge of precisely estimating wind erosion at a specific regional scale still remains to 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