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nge drinking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4초

AUDIT척도에 의한 한국대학생의 알코올사용장애 실태 및 원인 분석 (Correlates of Problem Drinking by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on Korean College Campus)

  • 손애리;천성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8권3호
    • /
    • pp.307-314
    • /
    • 2005
  • Objectives : To survey college students with an Alcohol Use Disorder, and analyze the reasons for their disorder. Methods : The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at 60 four-year colleges within Seoul and 9 other provinces. The schools and students selected for the study provide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May 15th and June 14th 2003. 2,385 cases were analyzed using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a series of questions about students' alcohol use and associated problems, as well as an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Results : 42.3% of students were found to have an Alcohol Use Disorder. The probability of a student having an Alcohol Use Disorder was 1.30 times higher among male compared to female students. Those students not living with their parents or relatives were 1.40 times more likely to have an Alcohol Use Disorder. Those students where the father had a drinking problem and those who admitted that their parents drank heavily while they were growing up were 1.38 and 1.54 times more likely, respectively, to have an Alcohol Use Disorder. Those students attending a general university, joining a student club, attaining less than a B average credit score and those unsatisfied with their education were 1.60, 1.36, 1.41 and 1.27 times more likely, respectively, to have an Alcohol Use Disorder. Thos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drugs, smoking, binge drinking when they were in the last year of high school and the forceful consumption of mixed alcohol were 3.67, 1.95, 2.15 and 1.76 times more likely, respectively, to have an Alcohol Use Disorder. Conclusions : College students' with an Alcohol Use Disorder is a very severe and large problem within colleges. An Alcohol Use Disorder is determined by individual and family variables, the college environmental and life variables, as well as behavior variables.

문제음주 여성의 임신초기 경험 (Experience of Pregnant Women with Problem Drinking during First Trimester of Pregnancy)

  • 김일옥;염계정;한정열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76-286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pregnant women's experiences with drinking alcohol during first trimester of pregnancy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7 pregnant women who drank alcohol in the first trimester.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Findings included 6 main themes and 14 themes. The main themes concerning pregnancy and drinking were: 'Open attitude in drinking, History of drinking in family or spouse, Seeking information in how drinking affects pregnancy, Regret not doing planned pregnancy and not quitting drinking before pregnancy, Willing to stop drinking until the child birth, Awareness about importance of preconception car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pregnant women's experiences of drinking alcohol during the first trimester of pregnancy. These results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prevent drinking alcohol during first trimester and to support preconception care and prenatal care.

음주효과에 대한 기대와 한국 고등학생들의 음주행위간 관계 (Alcohol Expectancies in Relation to their Drinking Practices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 윤혜미;김용석;장승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8권
    • /
    • pp.153-179
    • /
    • 1999
  • 청소년기의 음주는 정상적인 발달과업과 안전 및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나아가 기타 약물에 대한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비행과 범죄로 연결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어 건전한 인격체로의 발달을 위해서는 이들의 음주실태를 파악하고 음주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첫째, 전국에 거주하는 고등학교 학생 1,697명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음주행위와 음주문제를 대표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둘째, 청소년의 음주와 이들이 음주효과에 대해 가지고 있는 기대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각 변인들은 성별과 학교계열을 배경변인으로 하여 교차분석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RAPI로 측정한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알코올로 인한 문제는 그리 심각하지는 않았으나 남학생의 87.6%, 여학생의 83,3%가 음주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술을 자주 마시지는 많지만 마실 경우 폭음하는 경향이 있었다. 음주빈도, 취한 빈도, 음주량, 음주로 인한 문제 등에서 남학생 비율이 여학생보다, 그리고 실업고 학생비율이 인문고 학생보다 의미있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알코올의 효과에 대한 기대는 음주빈도, 음주량, 폭음 및 음주문제와 같은 모든 변인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어 음주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기대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은 술을 자주 그리고 많이 마시며 음주로 인한 문제도 더 많이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더 많이 기대하고 있었고 실업고 학생의 음주의 사교적 기능과 공격성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치가 인문고 학생보다 더 높았다. 조사결과는 청소년 음주예방을 위한 개입방법으로 음주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수정하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암시하고 있어 청소년들의 음주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음주효과에 대한 기대에 관한 더욱 정교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복부비만과 위험음주가 성인의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bdominal Obesity and Risk Drinking on the Hypertension Risk in Korean Adults)

  • 이은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49-358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bined effects of abdominal obesity and alcohol drinking on the risk of hypertension in Korean adults (aged ${\geq}30yrs$). Methods: Data of 13,885 subjects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analyzed.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es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including potential covariates of the model. Results: Frequency of drinking, typical drinking quantity, and frequency of binge drinking had a positive relation to hypertension. The odds ratio of hypertension for risk drinkers with abdominal obesity was 4.81 compared to non-risk drinkers with normal waist circumstance, whereas the odds ratios of hypertension for risk drinkers with normal waist circumstance and non-risk drinkers with abdominal obesity were 1.58 and 2.37 respectively. Conclusion: Both abdominal obesity and alcohol drinking patterns were strong risk factors of hypertension in the Korean adults. Risk drinkers with abdominal obesity showed a marked high risk in hypertension compared to those with a single condition alone.

한국 비만여성의 음주, 스트레스, 수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령대별 비교 (The Influence of Drinking, Stress, and Sleep on Depression of Korean Obese Women by Different Age Groups)

  • 전해옥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51-46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rinking, stress, and sleep on depression of Korean obese women. Methods: The data of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conduc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15 b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study subjects were 935 adult women between 20 and 70 years old (Body Mass Index${\geq}25$).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complex sampling design method applying the weights to the IBM SPSS 23.0 program. Results: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binge drinking, stress perception, sleeping time and depression of Korean obese wo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group. In the 20-30's, the stress and sleeping time, the 40-50's were drinking at once, the frequency of drinking and stress, and the drinking and stress at 60-70'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depression in obese women. Conclusion: The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management of depression in Korean obese women should include the strategies for managing stress and drinking, taking into accou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직장인의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무직 직장인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Drinking of Employees: Focus on the White Collar Employees)

  • 권구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2호
    • /
    • pp.93-118
    • /
    • 2005
  • 본 연구는 직장인의 음주 및 음주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해, 사무직 직장인들을 중심으로 그간 여러 연구들의 주요 이론적 근거가 되었던 긴장감소가설과 사회학습이론의 대표적인 요인인 직무스트레스와 음주하위문화가 음주 및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직장인들의 음주율 및 음주빈도, 음주량, 폭음빈도 및 음주 문제자의 비율 등이 일반 국민에 비해 매우 높아 직장인들의 음주문제가 위험 수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및 음주하위문화가 음주 및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및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음주 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음주하위문화의 경우 음주 및 음주문제의 각 하위차원 모두에서 유의한 관계 및 영향력이 발견되어 직장인의 음주 및 음주문제에 대한 설명은 사회학습이론이 보다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개인 뿐 아니라 환경을 통합한 포괄적 관심의 촉구와 함께 직장인원조프로그램(EAPs)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 PDF

음주측정 스마트키 (A Study on Tools for Agent System Development)

  • 최강현;유종원;유강현;주동철;박현주;박대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72-175
    • /
    • 2019
  • South Korea's per capita alcohol consumption ranking is 14th in the world, but it ranks first in the world for binge drinking. In society, dining and dining culture is developed, which leads to drinking. He often puts his hands on the wheel in a relaxed way after drinking. To prevent this situation from happening in advance, a Bluetooth module is installed in the aduino circuit to transmit the measured alcohol level to the smartphone and measure the blood alcohol level.

대학생의 문제성음주의 실태와 관련 심리사회적 요인 (The Actural Condition and the Impact of Psychosocial Factors on Problem Drinking among the College Students)

  • 정원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1호
    • /
    • pp.347-372
    • /
    • 2006
  • 대학생의 음주문제는 일반성인에 비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선진국에 비해 미약한 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문제성음주의 실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샘플의 크기는 414명이며, 문제성음주의 측정은 AUDIT(알코올사용장애검사)이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카이검증, t-검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음주문제는 일반성인들에 비해 매우 심각하다는 것이 실증되었으며, 성인들에 비해 폭음의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요인과, 개인특성요인, 가족환경요인 학교환경요인으로 회귀식을 구성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신앙생활, 최초음주연령, 감각추구경향, 음주동기, 부모음주문제, 가족지지, 학업성적, 친구의 영향은 대학생의 문제성음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영향력이 있는 변인들을 중심으로 음주문제 해결에 대안 대응방안을 제언하고 추후의 과제를 부언하였다.

  • PDF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활용한 PTSD 증상과 외상 후 성장 수준의 양상: 폭식, 비자살적 자해, 문제성 음주행동에서의 차이 (Latent Profile Analysis of PTSD symptoms and PTG among Adults in South Korea: the Differences in Binge Eating, Non-Suicidal Self-Injury, and Problem Drinking Behaviors)

  • 이덕희;이동훈;정하영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5권4호
    • /
    • pp.325-351
    • /
    • 2019
  • 본 연구는 외상 사건을 경험한 국내 성인의 외상 후 스트레스(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증상과 외상 후 성장(Post Traumatic Growth) 양상을 토대로 잠재계층(latent class)을 도출하고, 각 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탐색하며, 집단에 따른 자기파괴적 행동의 차이를 탐색함으로써, 외상 사건을 경험한 개인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DSM-5 진단기준에 해당하는 외상 사건을 경험한 국내성인 860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과 R-3STEP 방식을 이용하였다. 집단 예측 변인으로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연령, 최종 학력, 종교유무, 종교활동 정도, 월 평균 소득)과 사회적 고립, 외상 경험 빈도가 포함되었으며, 종속변인으로 자기파괴적 행동(폭식 정도, 비자살적 자해 유무, 음주의 양, 음주 형태, 음주로 인한 정신 사회적 문제)을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집단은 '저PTSD/중 PTG집단', '저 PTSD/고 PTG집단', '고 PTSD/고 PTG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성별, 최종학력, 사회적 고립, 외상 노출 빈도가 집단 예측 변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폭식 정도, 비자살적 자해 유무, 음주 형태, 음주로 인한 정신사회적인 문제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일부 대학생들의 음주와 흡연행위와의 관련성 (Drinking and Its Relationship with Smok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 황태윤;이경수;강복수;김상규;이중정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2권2호
    • /
    • pp.97-105
    • /
    • 2007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drinking behavi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and smoking behaviors among some Korea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May, 2006. A total of 1,163 students(715 male and 448 female) completed questionnaires, who were randomly selected in a university in Gyeongsangbuk-Do, Korea. Results: The overall drinking and smoking rates for male subjects were 88.7% and 37.2%, and those for females were 83.5% and 2.2%, respectively. Among the male drinkers 39.9% smoked, while 16.0% of the male non-drinkers were smokers. As male drinkers drink more often, heavier amount per drinking episode, even on a binge, their smoking rate was high. The subjects reported there was positive reinforcement between drinking and smoking behaviors. Conclusions: The drinking rate of students was relatively high, especially for male students drinking behavior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smoking behavior. Health promotion programs should be targeted at university students considering drinking and smoking behaviors simultaneous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