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lge Water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6초

IMO 협약 개정에 따른 Bilge Separator 개발에 관한 연구 I - 에멀젼 분리에 관한 연구 - (Study of development of Bilge Separator for new IMO Regulation I - Demulsification -)

  • 임재동;박상호;김인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5-179
    • /
    • 2005
  • 새롭게 적용되는 IMO 규정에 적합한 Bilge Separator를 개발하기 위하여 Bilge 폐수에 함유된 Emulsion의 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에멀젼의 경우 그 안정성으로 인해 육상에서도 처리하기가 매우 까다로운데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Emulsion의 안정성을 파괴하여 처리하고자 하였다. 파괴된 기름 입자는 서로 응집하여 부상처리 되게 되는데, 선박은 특성상 장치의 설치장소가 협소하기 때문에 Bilge 폐수의 처리에 시간이 충분치 않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과 화학적 처리에 가장 기본이 되는 응집제의 선정과 기본적인 환경요인들을 결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국내 제품 중의 응집제를 선정하였고 가장 응집효과가 좋은 pH 영역과 응집제의 투여량을 결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에멀젼 함유 Bilge 폐수를 처리한 결과 IMO에서 정한 기준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신 IMO 협약에 따른 에멀젼 분리형 선박용 유수분리기 영향인자에 관한 연구 (Study of factor of Bilge Separator for oily water emulsion conforming with new IMO regulation)

  • 임재동;박선정;박상호;김인수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03-108
    • /
    • 2006
  • 새롭게 적용되는 IMO 규정에 적합한 선박의 15ppm Bilge Separator를 개발하기 위하여 Bilge 폐수에 함유된 Emulsion 의 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에멀젼의 경우 그 안정성으로 인해 육상에서도 처리하기가 매우 까다로운데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Emulsion의 안정성을 파괴하여 처리하고자 하였다 파괴된 기름 입자는 서로 응집하여 부상처리 되는데, 선박은 특성상 장치의 설치장소가 협소하기 때문에 Bilge 폐수의 처리에 시간이 충분치 않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과 화학적 처리에 가장 기본이 되는 응집제의 선정과 기본적인 환경요인들을 결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국내 제품 중의 응집제를 선정하였고 가장 응집 효과가 좋은 pH 영역과 응집제의 투여량을 결정하였으며 기초 실험을 통해 최적효율을 나타내는 부상방법을 결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Pilot Plant를 제작하여 에멀젼 함유 Bilge 폐수를 처리한 결과 IMO에서 정한 기준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유분검출기 개발을 위한 빌지 배출수의 광특성 분석 (Optical Characteristic Analysis of Bilge Water for Developing an Oil Content Meter)

  • 최상화;황정웅;정병건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311-320
    • /
    • 2001
  • Since 1998 for protection of marine pollution, all ships must have oil filtering equipment and 15ppm bilge alarms which satisfy Requirements of MARPOL 73/78. Oily-water separator used in machinery area of ships usually consists of two parts; one is filtering equipment and the other is oil content meter(OCM). This study presents optical characteristics of bilge were acquired form oil content sensing module. The oil content sensing module consists of IR-LED light source, photo-diode light receivers, and a glass tube for bilge water sample. The experiment with the bilge water demonstrates various valuable optical properties. These optical properties suggest notes and guides to make the low-cost, easy operation and good performance commercial type OCM tha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MARPOL 73/78.

  • PDF

어선의 선저폐수 및 폐윤활유 발생량 추정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oily bilge water and waste lubricating oil produced from fishing vessels)

  • 정해종;권기생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0-37
    • /
    • 2002
  • 최근 연안의 해양오염 증가로 인하여 매년 발생되는 적조현상 등이 연안 생태계에 영향을 많이 끼치는 문제점으로 되고 있다. 해양오염 요인 중에 어선에서 발생되는 선저폐수나 폐윤활유의 무단 배출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효율적인 관리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선저폐수처리장치를 어항별로 설치하여 소형 어선에서 발생되는 선저폐수와 폐윤활유를 육상으로 이송ㆍ처리하여 해양으로의 무단 배출을 막아야 한다. 그에 대한 선결연구과제로 어선에서 발생되는 선저폐수와 폐윤활유 발생량 추정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톤급별 어선에서 발생되는 선저폐수와 폐윤활유 현황 조사 및 고찰과 선저폐수와 폐윤활유 발생량에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 도출을 통한 발생량 모델링과 이를 이용한 샘플어장에 대한 선저폐수와 폐윤활유 발생량 추정을 포함하고 있다.

  • PDF

24,000TEU급 컨테이너선박의 빌지 펌핑 성능에 대한 고찰 (A Study on Bilge Pumping Performance of 24,000TEU class Container Ship)

  • 서장원;윤정인;이경우;이원주;박호용;최수정;최재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00-110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전장이 400m인 24,000TEU급 컨테이너선박을 대상으로 선박 내 빌지펌핑의 성능에 대한 케이스 스터디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24,000TEU급 컨테이너선박의 빌지시스템의 경우 선급의 규칙에 맞게 설계되었지만, 선박 내 설치되어 있는 빌지펌프의 정격유량 및 최대유량 조건에서도 SOLAS Reg.II-1/35-1의 2 m/s 요건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특히 1번 ~ 4번 화물창에 대해, 해수로 가득차 있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해수를 모두 배출하는 동안에 빌지 주관에서의 평균유속을 계산할 결과, 2번 화물창, 3번 화물창 및 4번 화물창은 평균유속이 2 m/s 미만으로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2번, 3번 및 4번 화물창의 150A 빌지 지관을 200A 배관으로 교체하여 계산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화물창 내의 해수를 모두 배출하는 동안의 빌지 주관에서의 해수평균유속이 각각 2.479m/s, 2.476,m/s 및 2.459m/s 로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선박 유수분리기용 유분검출기의 개발 (Development of Oil Content Meter for Oily Water Separator in Ship)

  • 황정웅;정병건;김창화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338-344
    • /
    • 2001
  • According to the MARPOL 73/78 of Convention, all ships should have oil filtering equipment and 15 ppm bilge which satisfy Requirements of MARPOL 73/78.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designing and manufacturing a prototype Oil content Meter(OCM) used in machinery area of ship. The prototype OCM is composed of two parts which are oil content sensing module and data processing unit. The oil content sensing module consists of infra-red light source, photo-diode light receivers, and a glass tube for bilge water sample. The data processing unit has a micro-processor as hard core and peripheral device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prototype OCM and analysis of collected data reveal linear property between transmitted light and scattered light as long as the bilge water has low level content of oil. And this linear property leads to a oil content detecting method which is programmed and loaded into the data processing unit. The performance of the prototype OCM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mmercial OCM in the market.

  • PDF

자외선 형광반응을 이용한 오폐수 검출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 Wastewater Detection System using UV Fluorescence Reaction)

  • 김병창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28-33
    • /
    • 2020
  • Oil-related products have provided many benefits to humanity, but are significant contributors to environmental pollution. As per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requirements, in the future, all ships must be equipped with filtering equipment and 5ppm bilge alarms that can help remove or reduce oil products during wastewater treatment. In this study, a UV fluorescence measurement system that can detect the oil components in wastewater containing both water and oil was developed. When an excitation wavelength of 254nm was used to irradiate the wastewater, the amount of UV at a divergent wavelength of 360nm was measured to measure the contamination. Based on the measurement, it was concluded that this system is suitable for use as the 5ppm bilge alarm proposed by IMO.

유수분리기용 정전용량형 센서의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Enhancement in the Performance of Capacitive Sensor for Oily Water Separator)

  • 제우성;김경우;권휴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835-1841
    • /
    • 2006
  • 해양환경 규제 MEPC의 규제 강화로 인하여 더욱 정밀하고, 신뢰성을 확보한 빌지분리 센서 시스템이 필요하다. 빌지 분류기를 설계 제작하기 위해서는 기름과 물을 구별하는 정밀한 유수분리 레벨센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정전용량형 레벨센서의 특성 파악을 위해 3차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레벨센서의 설계시 주요한 설계인자를 추출하였다. 동작회로를 Digital 회로로 구성함으로써, 정전용량형 센서의 원천적인 기생커패시턴스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실험장치를 구성한 후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보면 노이즈에는 강인해졌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추출한 정전용량형 레벨센서의 설계인자를 이용하여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향후에 진행 될 필요성이 있다.

평수중 자유 횡동요 시험에 의한 소형어선의 횡동요 감쇠모멘트에 관한 연구 (Roll Damping Moment of a Small Fishing Vessel by Free Rolling Test in Calm Water)

  • 전호환;천승현;김시영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1-9
    • /
    • 2000
  • 3톤급 소형어선의 나선, 빌지킬 및 중앙날개(central wing)가 부착된 상태의 3가지 모델에 대해 평수중에서 속도 변화, 초기각의 변화 및 OG(무게중심과 횡동요 중심간의 거리)의 변화에 따른 횡동요 감쇠시험에 의해 감쇠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에너지법에 의해 선형 및 비선형속도항에 의존하는 횡동요 감쇠모멘트를 수식화하여 시험값과 비교하였으며 3가지 모델에 대한 에너지 발산 형태도 비교하였다.

  • PDF

CFD에 의한 선박용 유수분리기의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w Characteristics of Oil-Water Separator for Marine Ship CFD)

  • 김병준;김성윤;노춘수;이영호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8-53
    • /
    • 2016
  • The centrifugal separator which uses gravity separation method for oil-water separation, rotating at high-speed,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device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the oil in waste water collected in bilge. The 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has set regulations, also known as MARPOL 73/78, for the prevention of marine pollution. In addition, DET NORSKE VERITAS (DNV) has set standards regarding the assignment of Environmental Class Notation, CLEAN or CLEAN DESIGN, of ships. One of the requirements for classification is that in addition to conforming to MARPOL 73/78, more stringent measures must be taken as well. One of these measures is to limit the oil concentration in bilge water to less than 5ppm. So in this study, an Oil-Water Separator (OWS) is used together with multiple separating plates as a filtration system to be used as an oil-water separation device. The OWS operates using centrifugal separation in which the mixture is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OWS separ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mass-flow rate, the angle and the number of stacked layers of the laminated plate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Improvements to the device will be investigated from thes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