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fidobacterium ssp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형 유산균 Bifidobacterium 속 균주의 항생물질에 대한 감수성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Bifidobacterium spp. Strains Isolated from Healthy Korean)

  • 장현아;최금화;오태권;권애란;김동현;최응칠
    • 약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39-641
    • /
    • 1998
  •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of Bifidobacterium spp. strains (Bifidobacterium breve K-110, B. breve K-111 and B. infantis K-525) isolated from healthy Korean against antituberculosis agents and fluoroquinolones were determined. From the MICs it was found that Bifidobacterium breve K-110, B. breve K-111 and B. infantis K-525 were susceptible to rifampicin and fluoroquinolenes and resistant to other antituberculosis agents.

  • PDF

Lactobacillus spp., Bifidobacterium spp. 및 Bacillus coagulans의 과산화수소 저항성과 과산화수소 생성 능력 (Resistant Activity to Hydrogen Peroxide of Lactobacillus spp., Bifidobacterium spp., Bacillus coagulans and Hydrogen Peroxide Generation Capability of Lactobacillus spp.)

  • 이종혁;윤영호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2호
    • /
    • pp.107-112
    • /
    • 2004
  • 과산화수소 형태의 반응성 산소에 대한 Lactobacillus Spp., Bifidobacterium spp. 및 Bacillus coagulans의 저항성과 세포 내에서 생성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Lactobacillus spp. 중에서 높은 과산화수소 저항성을 나타낸 균주는 L. acidophilus CU4111와 L. casei Cu4114인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낮은 저항성을 보인 균주는 L. brevis Cu4206이었다. Bifidobacterium longum CU4131은 높은 수준의 저항성을 나타내며 Bacillus coagulans를 포함하는 포자형성유산균주들은 전반적으로 과산화수소에 대한 저항성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질 추출액 중의 과산화수소 함유 농도는 Bifidobacterium bifidum CU 4134가 가장 높고 Lactobacilli spp.의 세포질 추출액 중의 과산화수소 함유 농도는 L. casei CU 4114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구기자(Lycium chinence Miller) 첨가에 따른 요구르트의 발효 특성과 기능성 (Fermentation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of Yogurt added with Lycium chinence Miller)

  • 배형철;조임식;남명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687-700
    • /
    • 2004
  • 요구르트의 제조 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첨가제로서 구기자, 구기엽 및 지골피를 기질로 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젖산균주에 따른 발효특성을 시험하였고, 각 부위를 첨가한 요구르트의 cholestol 저하 효과 및 병원성 균주의 성장 억제 효과를 시험하였다. 상업용 starter를 사용한 모든 처리구에서 발효 후 pH가 4.06 이하로 나타나 발효 촉진 효과가 있었고, 산 생성은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와 L. delbrueckii ssp. bulgaricus에서 높아 발효촉진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젖산균수는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와 L. delbrueckii ssp. bulgaricus를 이용한 구기자 extract 첨가구에서 9시간째 2.62${\times}$$10^9$ cfu/$m\ell$로서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다. 유당분해율은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와 L. dilbrueckii ssp. bulgaricus를 이용한 구기자, 구기엽, 지골피 extract 처리구에서 36.11%, 37.76% 및 32.70%를 나타내어 높았고, 유기산 생성은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와 L. delbrueckii ssp. bulgaricus 균주를 stsrter로 사용한 요구르트의 경우에만 isobutylic acid가 34.39${\sim}$37.72 mM로 높은 유기산을 생성하였다. 점도는 L. acidophilus, B. longum과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를 starter로 사용하였을 때 1,615${\sim}$2,030 cP로서 모든 첨가구에서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고, 관능검사 결과 대조구가 3.27${\sim}$3.44인데 비하여 구기자와 구기엽 extractffm 첨가한 요구르트의 관능검사 결과는 1.77${\sim}$2.58로서 상당히 낮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지골피 extract 첨가구에서 L. casei와 L. acidophilus. B. longum 및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를 starter로 사용한 요구르트 기호도의 경우는 3.34${\sim}$3.77로 나타나 기호성이 좋았다. 구기자, 구기엽 및 지골피 extract 첨가에 의한 cholesterol 저하 효과는 인체 유래의 각 젖산균과 상업용 starter 균주를 이용한 모든 처리구에서 17.38${\sim}$32.08%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 중 L. acidophilus KCTC315.와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BU27 젖산균은 25.75${\sim}$32.08%의 높은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보였다. 구기자, 구기엽 및 지골피 extract 첨가 요구르트의 식중독 유발 살모넬라 균주에 대한 성장 억제 효과는 S. typhimurium M-15 균주에서 약간의 억제 효과를 보였고, 설사와 식중독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장균 중 E. coli KCTC1021와 리스테리아증을 유발하는 L.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높은 성장 억제 효과를 보여 구기자, 구기엽, 지골피를 기질로 한 요구르트가 살모렐라, 대장균 및 리스테리아 유발 병원성 균주에 대한 탁월한 억제 효과가 있었다.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dairy probiotic strains Bifidobacterium animalis ssp. lactis HY8002 and Lactobacillus plantarum HY7717

  • Ju-Yeon, Kim;Joo Yun, Kim;Hyeonji, Kim;Eun Chae, Moon;Keon, Heo;Jae-Jung, Shim;Jung-Lyoul, Le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6호
    • /
    • pp.1117-1131
    • /
    • 2022
  •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Bifidobacterium animalis ssp. lactis HY8002 (HY8002) improved intestinal integrity and had immunomodulatory effects. Lactobacillus plantarum HY7717 (HY7717) was screened in vitro from among 21 other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demonstrat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ndividual and combined ex vivo and in vivo effects of LAB strains HY8002 and HY7717 at immunostimulating mice that have been challenged with an immunosuppressant drug. The combination of HY8002 and HY7717 increased the secretion of cytokines such as interferon (IFN)-γ, interleukin (IL)-12,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 splenocytes. In a cyclophosphamide (CTX)-induced immunosuppression model, administration of the foregoing LAB combination improved the splenic and hematological indices, activated natural killer (NK) cells, and up-regulated plasma immunoglobulins and cytokines. Moreover, this combination treatment increased Toll-like receptor 2 (TLR2) expression. The ability of the combination treatment to upregulate IFN-γ and TNF-α in the splenocytes was inhibited by anti-TLR2 antibody. Hence, the immune responses stimulated by the combination of HY8002 and HY7717 are associated with TLR2 activation. The preceding findings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the HY8002 and HY7717 LAB strains could prove to be a beneficial and efficacious immunostimulant probiotic supplement. The combination of the two probiotic strains will be applied on the dairy foods including yogurt and cheese.

Probiotics로서의 젖산균주의 특성 및 면역활성 (Characteristics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for the Potential Probiotics)

  • 서재훈;이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81-687
    • /
    • 2007
  • Probiotics로서의 사용을 위한 우수 젖산균주 선발을 위해 김치 및 발효유 제품으로부터 분리한 젖산균과 공시 젖산균주를 대상으로 내산성, 내담즙성, 장내 점착능, 병원성균 억제능 등의 probiotics 특성과 장관면역활성, mitogenic activity 및 대식세포 활성화 등의 면역활성을 검토하였다. 내산성 실험의 결과, Lactobacillus acidophilus DDS-1, Lb. acidophilus B-3208, Lb. plantarum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ssp. mesenteroides ATCC 8293의 경우 생존률이 5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Lb. acidophilus DDS-1과 Lb. acidophilus B-3208의 경우에는 70% 정도의 높은 생존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젖산균주의 담즙산 내성에서는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 ATCC 7962를 제외한 모든 균주가 3% oxgall이 함유된 MRS배지에서도 성장이 가능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젖산균주의 장내 점착능 면에서 볼 때, Lb. acidophilus DDS-1, Lb. acidophilus B-3208과 Bifidobacterium bifidum KCTC 3357의 장내 점착능이 실험에 사용된 다른 젖산균주와 비교하여 우수하다고 관찰되었으며, 특히 Lb. acidophilus DDS-1과 B-3208의 장내점착능이 높게 나타났다. 젖산균주의 병원성균 억제능 실험의 결과, Lb. acidophilus DDS-1, Lb. acidophilus B-3208 및 B. bifidum KCTC 3357은 Staphylococcus aureus를 제외한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43895, Listeria monocytogenes ATCC 59414, 그리고 Salmonella enteritidis ATCC 49313에 대해 높은 증식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젖산균의 세포질 획분과 세포벽 획분을 대상으로 면역활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장관면역 활성은 젖산균의 세포질 획분에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LPS와 같은 수준의 면역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Lb. acidophilus속 균주들의 세포벽 획분의 장관 면역활성이 다른 균주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젖산균주의 세포질과 세포벽 성분에 대한 비장 림프구의 증식능은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낮게 관찰되었으나, 이들의 대식 세포증식능은 세포벽 및 세포질 모두의 획분에서 대조군보다 높았으며 특히 세포벽 획분의 경우에는 양성대조군인 LPS 보다 높거나 유사한 정도의 높은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험 균주 중에서 Lb. acidophilus 균주인 DDS-1과 B-3208이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요구되는 조건을 충족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 균주의 상업적 이용 가능성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우유와 두유를 혼합한 요구르트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Properties of the Mixed Yogurt Prepared with Bovine Milk and Soybean Milk)

  • 배형철;남명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83-493
    • /
    • 2005
  • 우유와 두유를 혼합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하고자 스타터에 따른 발효물의 성상을 시험하였다. 4종류의 서로 다른 스타터를 접종한 모든 처리구에서 배양 15시간 후 pH는 lactic culture 2(B. longum, L. acidophilus, S. thermophilus)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에서 $4.16\~3.75$ 사이로 나타나 발효 촉진효과가 있었고, 산 생성은 우유와 두유의 홉합비가 2:1이고 lactic culture 1 [Lactobacillus delbrueckii ssp. bulgaricus(LB12), Streptococcus salivarius ssp. thermophilus(ST36)]을 스타터로 사용한 요구르트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균수는 1:3 비율에서 15시간째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NU27을 스타터로 사용한 균에서 $2.17\times10^9 cfu/mL$로서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다. 두유 혼합요구르트에서 생산된 유기산의 함량을 측정한 바, 유기산 생산 중 lactic acid인 경우 lactic culture 1 [Lacto-bacillus delbrueckii ssp. bulgaricus(LB12), Streptococcus salivarius ssp. thermophihus(ST36)]을 스타터로 사용했을 때 1:1에서 412.52 mM로 가장 높았다. Acetic acid인 경우는 혼합비 3:1에서 lactic culture 2(B. longum, L. acidophilus, S. thermophilus)가 394.01mM로 가장 높게 생산되었다. 당 분해율은 혼합비 1:3에서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NU27를 스타터로 사용한 요구르트에서 대조구와 비교해 stachyose가 $53.92\%$로 가장 많이 분해되었다. 점도는 두유 혼합비가 가장 높은 1:3 처리구에서 $1,300\~1,660 cP$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는 2:1 혼합비에서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150를 스타터로 사용한 요구르트가 $4.17\pm0.69,$ 3: 1 혼합비에서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NU27를 스타터로 사용한 요구르트가 $4.00\pm0..58$으로 기호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메밀과 쓴메밀의 새싹 추출물의 장내 유익균 증식 및 염증조절 효능 평가 (Growth of Intestinal Bacteria and Intestinal Inflammation of Sprout Extract from Common Buckwheat and Tartary Buckwheat)

  • 김수정;손황배;김종원;임상현;이종남;박수형;남정환;김도연;이예진;장동칠;김율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55-46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메밀 새싹 추출물의 비피더스균과 락토바실러스균 증식에 미치는 영향, 항염증 효과 및 관련 생리활성 물질의 분석을 통해 프리바이오틱스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메밀 새싹 추출물을 10종의 프로바이오틱스에 첨가하여 각각 배양하였을 때, 대조군보다 pH 값이 낮아지고, 생균수는 증가하였다. 쓴메밀 새싹 추출물을 Bifidobacterium longum ssp. infantis BT1에 첨가하여 배양한 실험군의 생균수는 8.61×108 CFU/mL로 증식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메밀 새싹 추출물을 10종의 프로바이오틱스에 첨가한 다음 LPS로 유도하였을 때,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와 NO, PGE2 발현에서도 유의적인 억제 효과를 보여 우수하였다. 특히, 비피더스균 중 BT1에서 NO 생성량이 29.5 mM로 가장 낮았으며, 락토바실러스균 중에서는 Lacticaseibacillus paracasei LPC5에서 30.6 mM로 NO 생성량이 매우 낮아 항염증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루틴, 퀘세틴 및 콜린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가진 메밀 새싹 추출물이 특정 배양액에서 염증 관련 지표인 NO 생성 및 PGE2 생성량 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메밀이 장내 유익균 증식과 염증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