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fidobacterium bifidu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7초

유산균(Bifidobacterium bifidus)에 의해 발효된 발효유가 고지방식을 섭취한 흰쥐의 혈청과 간의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ilk fermented by Bifidobacterium bifidus on lowering effect of Serum and Liver cholesterol in High Fat Diet Fed Rats)

  • 원향례;최석호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22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fermented milk on lowering of serum and liver cholesterol in high diet. Sprague-Dawley male rats of 200g initial average weight were assigned to four experimental group : (1) high fat diet + milk (2) high fat diet + bifidobacteria (3) high fat diet + microcapsulated bifidobacteria (4) high fat diet + fermented milk by bifidobacteria. Milk, bifidobacteria, microcapsulated bifidobacteria and fermented milk by bifidobacteria were given 2ml per day. According to the result, there was lowering effect of serum and liver total cholesterol in fermented milk feeding group, Serum LDL-cholesterol was also low tendency in fermented milk by bifidobacteria feeding group.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material that caused hypocholesteremic effect was not the bifidobacteria itself in fermented milk but the metabolic material produced in the fermentation, and it inhibited cholesterol synthesis in liver.

산소와 염농도가 한국전통 발효식품에서 생장하는 혐기성 세균과 Bifidus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xygen and Salt on the Growth of Bifidus and Anaerobic 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 정은영;이진성;배재근;이완규;김병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2-87
    • /
    • 1993
  • 한국 전통 발효식품의 숙성에 절대 혐기성 세균이 관여하는지를 보기 위해 김치류와 장류 14종의 시료를 복합 BL 배지 혹은 bifidus 세균 선택 배지인 BS agar에 접종하여 절대 혐기적으로 배양한 결과 복합 BL 배지에서 $10^7$ ~ $10^8$/g 시료의 세균이 생장하였으며, BS agar에서는 $10^3$ ~ $10^6$/g 시료의 colony가 형성되었다. 이들은 모두 호기성 조건에서도 생장 할 수 잇었으며, BS 배지에서 생장하는 세균은 fructose-6-phosphate phosphoketolase를 합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준 Bifidobacterium속 세균은 3% NaCl을 함유하는 배지에서는 생장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김치류와 장류 등 염 농도가 높은 발표식품에는 bifidus균은 생장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

  • PDF

장내세균 Bifidobacterium longum에 의한 병원성 Escherichia coli $A_2$의 생육저해 (Effect of Bifidobacterium longum on Growth Inhibition of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A_2$)

  • 성문희;신현정;강국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03-207
    • /
    • 1985
  • 장내세균 Bifidobacterium longum에 의한 대장균성 설사증의 주 원인균인 E. coli $A_2$의 생육저해를 혐기적 조건에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 성인으로부터 분리ㆍ동정한 Bif. longum SKD-2001은 E. coli $A_2$의 생육을 저해시키는 생육저해 작용을 가지고 있었다. Bifidus 균제제에서 분리ㆍ동정한 Bif. longum SKD-2004도 역시 E. coli $A_2$의 생육을 저해하였다. pH가 저하됨에 따라서 생육저해가 있는 것으로 보아 E. coli $A_2$의 생육저해는 Bif., longum이 생산한 lactic acid와 acetic acid에 의해 배양액의 pH가 저하됨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감미료 소재로서 Di-D-Fructofuranose DianhydrideIII의 물리 및 생리적 특성

  • 박정복;김소자;최용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19-623
    • /
    • 1996
  • Some physic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di-D-fructofuranose dianhydrideIII (DFAIII), as a new sweetener, were investigated via in vitro experiments. The disaccharide was prepared by decomposing inulin with inulin fructotransferase (depolymerizing) from Arthrobacter sp. A-6. DFAIII had more excellent heat and acid stability than sucrose. This was one of the most desirable properties especially for the oligomer types of sweetener. DFAIII showed the least pH drop in the Streptococcus mutans culture, compared with the other saccharides examined. This indicates that the sugar will be fairly effective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The saccharide also had a selective Bifidus growth-promoting effect in PYF medium. Whereas, E. coli did not show growth promotion in the DFAIII-containing medium. In the co-culture of Bifidus longum and E. coli in the BL medium, Bifidus longum had a selective growth while the growth of E. coli appeared rather to be inhibited.

  • PDF

Optimization of Screw Pumping System (SPS) for Mass Production of Entrapped Bifidus

  • Ryu, Ji-Sung;Lee, Yoon-Jong;Choi, Soo-Im;Lee, Jae-Won;Heo, Tae-Rye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5호
    • /
    • pp.566-571
    • /
    • 2005
  • Process of screw-pumping system (SPS) was optimized for mass production of encapsulated bifidus. SPS entrapment device was composed of feeding component, with optimized nozzle size and length of 18G (0.91 cm) and 4 mm, respectively, screw pump, and 37-multi-nozzle. Screw component had five wing turns [radius (r)=26 to 15 mm] from top to bottom of axis at 78-degree angle from middle of the screw, and two wings were positioned at screw edge to push materials toward nozzle. For nozzle component, 37 nozzles were attached to 20-mm round plate. Air compressor was attached to SPS to increase productivity of encapsulated bifidus. This system could be operated with highly viscous (more than 300 cp) materials, and productivity was higher than $1128\;{\pm}\;30\;beads/min$. Viability of encapsulated bifidus was $5.45\;{\times}\;10^8\;cfu$/bead, which is superior to that of encapsulated bifidus produced by other methods ($2.51{\times}10^8\;cfu$/bead). Average diameter of produced beads was $2.048\;{\pm}\;0.003\;mm$. Survival rate of SPS-produced encapsulated bifidus was 90% for Simulator of the Human Intestinal Microbial Ecosystem test and 88% in fermented milk (for 14 days). These results show SPS is effective for use in development of economical system for mass production of viable encapsulated bifidus.

모유수유와 분유수유에 따른 영아 장내 미생물 군집의 특징 (Comparison of gut microbial diversity of breast-fed and formula-fed infants)

  • 김경순;신정;심지수;연수지;이평안;정문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68-273
    • /
    • 2019
  • 장 내에 존재하는 microbiome은 생활환경, 나이와 섭취하는 음식물에 따라 변하게 된다. 본논문에서는 모유를 섭취한 영아와 분유를 섭취한 영아들에 대한 장내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미생물의 군집변화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총 80개의 영아 분변을 통해 미생물 군집변화를 확인하였다. 모유그룹(BIG)과 분유그룹(FIG-A, FIG-B, FIG-C)간의 장내세균의 군집을 비교한 결과 BIG에서는 Actinobacteria 문이 전체 군집의 $74.22{\pm}3.48%$로 우점을 차지하였다. 분유그룹의 Actinobacteria 문을 비교하였을 때 FIG-A는 $73.46{\pm}4.12%$였지만 FIG-B와 FIG-C는 $66.52{\pm}5.80%$$68.88{\pm}4.33%$로 BIG와 FIG-A에 비해 낮은 비율을 보였다. 속(genus) 수준에서 살펴보면 Bifidobacterium이 전체 미생물군집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BIG가 $73.09{\pm}2.31%$로 가장 높았고 FIG-A, FIG-B 및 FIG-C는 각각 $72.25{\pm}4.93%$, $63.81{\pm}6.05%$$67.42{\pm}5.36%$를 차지하였다. Bifidobacterium 종의 경우 모든 그룹에서 Bifidobacterium longum이 우점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BIG와 FIG-A가 전체 군집의 $68.77{\pm}6.07%$$66.85{\pm}5.80%$를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FIG-B와 FIG-C는 각각 $58.94{\pm}6.20%$$61.86{\pm}5.31%$로 BIG와 FIG-A보다 낮은 비율로 분포하는 것을 분석하였다. FIG-A가 섭취한 분유는 Bifidobacterium의 선택적 증식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갈락토올리고당, 갈락토실락토스, 시너지올리고당, 비피도올리고 및 장내균총개선소재를 혼합한 5-Bifidus factor 복합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5-Bifidus factor라는 유산균에 대한 증식능이 우수한 프리바이오틱스를 혼합하였기 때문에 모유를 섭취한 영아의 장내에 존재하는 Bifidobacterium 속의 군집과 유사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인유래의 Amylolytic Bifidobacterium 에 의한 쌀발효 (Rice Fermentation by Korean Amylolytic Bifidobacterium spp.)

  • 박종현;송혜경;안준배;지근억;목철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81-587
    • /
    • 1997
  • 쌀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개발을 위하여 쌀전분에서 직접 발효가능한 amylolytic Bifidobacterium을 한국인에서 분리하여 쌀발효를 통한 bifidus발효식품을 개발 하고자 하였다. 한국인 38명으로부터 한천배지에서 amylolytic Bifidobcterium 18균주를 선발하였고 이중 amylase 활성이 높은 4균주를 최종선발하였다. Bif. sp. FBD-12는 세포외 amylase역가가 0.17 U/mg였고 세포내 역가는 1.8 U/mg로 가장 우수한 균이었다. 그리고 이중 Bif. sp. FBD-12, Bif. sp. FBD-16, Bif. sp. FBD-17은 산에 대한 내성이 강했으나 Bif. sp. FBD-6는 내산성이 비교적 약해 pH 5.0배지에서의 생육이 대조구의 $10^2$로 감소하고 있었다. 이들을 이용하여 쌀을 발효한 결과 초기균수 $10^6\;CFU/mL$에서 $10^9\;CFU/mL$까지 생육이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았다. 발효물의 기호와 기능을 제고하기 위하여 배지환원제인 cysteine대신 ascorbic acid를 0.1%첨가했을 때 같은 생육효과를 보여 주었으며 분리대두단백첨가 쌀배지에서 발효시켰을 때 3%첨가시가 가장 좋았다. 쌀배지에 0.1%의 ascorbic acid와 3% 분리대두단백을 첨가하여 발효시켰을 때 발효가 빨리 일어나 초기 $10^7\;CFU/mL$에서 12시간만에 $10^9\;CFU/mL$까지 증가하였고, pH는 초기 6.5에서 3.8로 저하되었다. 산도도 $0.8{\sim}1.0%$로 증가하였으며 환원당도 증가하였는데 Bif. sp. FBD-6은 2mg/mL에서 15.5 mg/mL이 생성되어 cysteine만을 첨가했을 때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발효특성을 보여주었다. 발효물에 대한 관능검사결과 Bif. sp. FBD-12에 의한 발효물은 기호도가 양호하게 나타나 Bifidobacterium에 의한 쌀식품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 PDF

Bifidobacterium sp. Int-57이 생산하는 ${\beta}-xylosidase$의 생산특성 (Production of ${\beta}-xylosidase$ from Bifidobacterium sp. Int-57)

  • 강동현;이계호;지근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9-93
    • /
    • 1993
  • 한국인의 분변으로부터 분리된 Bifidobacterium sp. Int-57은 다른 장내세균에 비해 ${\beta}-xylosidase$의 높은 역가를 보였으며, xylooligomer의 bifidogenic factor의 유용성을 고려하였을 때 효소생산에 초점을 둔 결과 최적 탄소원으로는 xylose였는데, 일반적으로 최종생산물은 feedback inhibition, feedback repression 등으로 효소 생산을 억제하는 일반 이론과는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xylose는 1.1%일 때 가장 높은 효소역가를 보였다. 질소원으로서는 yeast extract였고, 그 농도가 0.04%일 때, 무기염류 면에서는 $CoCl_2$였고, 농도가 0.0003%일 때 ${\beta}-xylosidase$의 최대 생산을 보였다.

  • PDF

비피더스균(Bifidobacterium bifidum )에 의해 발효된 우유가 고지방식을 섭취한 흰주와 혈청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Fermented Milk by Bifidobacterium bifidum on Serum Lipid Metabolism in Rats Treated High Fat Diet)

  • 원향례;박영주;최석호;고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33-936
    • /
    • 2001
  • 본 연구는 건강한 20대 한국 성인의 장에서 내산성과 내담즙성이 강한 비피더스균을 분리하여 비피더스균의 형철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체중 200g 정도 되는 Sprague-Dawley 종 희준 숫컷을 대상으로 우유, 비피더스균을 첨가항 우유, 캡슐화된 비피더스균을 첨가한 우유와 비피더스균에 의해 발혀된 발효유를 투여한 결과 우유, 비피더스 균을 첨가한 우유와 캡슐화된 비피더스균을 첨가항 우유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피더스 발효유를 먹인 실험군에서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었으므로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발효유에 있는 젖산균 그 자체가 아니라 발효유라는 결과를 얻었다.

  • PDF

Bifidobacterium sp. Int-57 ${\alpha}-galactosidase$의 효소 특성 (Characterization of ${\alpha}-galactosidase$ from Bifidobacterium sp. Int-57)

  • 여나임;이세경;지근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89-693
    • /
    • 1993
  • ${\alpha}-galactosidase$는 raffinose와 stachyose 등의 ${\alpha}-galactoside$ 결합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Raffinose와 stachyose는 특히 두류에 다량 존재하는데 이들 당은 섭취후 복부팽만감의 원인 물질로 발표되었는가 하면 한편으로는 비피더스균 증식인자로 최근에 보고된 바 있기 때문에 이들 당의 인체 건강에 대한 재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한국인으로부터 분리된 Bifidobacterium sp. Int-57이 생산하는 ${\alpha}-galactosidase$의 효소 특성을 조사하였다. Bifidobacterium sp. Int-57은 여러 종류의 다른 장내 세균에 비하여 높은 ${\alpha}-galactosidase$ 활성을-보유하고 있고 raffinose에 의하여 효소 생산이 증진되었다. 세포의 음파 파쇄후 DEAE-celluose와 Sepharose 6B gell filtration을 거쳐 부분정제한 효소를 사용하여 PNP-${\alpha}-galactosidase$에 대한 작용을 분석한 결과 최적 pH는 7.0, 최적온도는 $40^{\circ}C$ 였고 금속이온을 5mM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효소활성을 $CoCl_{2}$는 33%, $CuCl_{2}$는 21% 저해하였다. 또한 얻어진 효소는 실제 기질로써 raffinose와 stachyose를 잘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