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d

검색결과 729건 처리시간 0.032초

가락시장현대화사업 1단계 물량내역수정입찰 적용 사례 (Application of Modifiable Bid of BOQ in Garak Market Modernization Project Phase 1)

  • 조경제;김형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11-112
    • /
    • 2015
  • Garak Market Modernization Project Phase 1, which is the public projects worth 1,75 billion won, was delivered by adopting modifiable bid of BOQ on the lowest price award system. The modifiable bid of BOQ system allows bidders to modify quantities based on their own drawings and construction specifications and requirements. It was initiated by the government for minimizing design error and for inducing technical competition between tenders by checking errors. At that time the bidding, it allowed modifying the BOQ all the works. In the construction phase, the responsibility for the design changes, due to mistakes and omissions on design documents and BOQ were disputed between the owner and the contractors.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 of the system and addressed a need of improvement.

  • PDF

공공 건설공사 담합이 낙찰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A Study on Collusion Effects for Bid Award in Public Construction Works)

  • 김명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12-2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로짓모형, 즉 선택변수 모형을 사용하여 가격, 기술점수는 물론 담합여부, 경쟁정도, 제도적 요인, 공사의 특성 등이 공공공사 낙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담합여부가 낙찰에 미치는 부분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실증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담합은 낙찰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미하지만, 담합 및 비담합의 경우에 따라 입찰행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낙찰에 영향을 주는 변수 중 설계가 계수 상으로는 가장 중요하고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입찰참가자수로 측정된 경쟁의 정도도 낙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제도적 요인과 공사 특성에 따라 가격, 설계점수, 담합, 경쟁정도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 이들도 입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공공사 기술형 입찰에서의 낙찰가격에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Bid Price in Public Construction Technical Bidding)

  • 이정웅;이성욱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1호
    • /
    • pp.213-230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y potential factors for explanatory variables when calculating the virtual successful bid rate in case of no collus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in this study with a regression analysis that included 725 bid samples under the public construction technical type bidding. Findings - The result of the basic analysis showed that there are several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ful bid rate. First, collusion variable; second, government variable; third, successful bidder design score variable and the number of bidder variable among bidding features; fourth, turnkey variable based on the alternative method; fifth, civil works variable and plant works variable based on building work; sixth, asset variable and the fourth-quarter performance difference variable. However, the technical proposal method variable among bidding feature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column(4).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new variable such as the government variable and the fourth-quarter performance difference variable were added in the regression model,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earch results.

기댓값 분석에 따른 공공공사 입찰담합의 가상경쟁가격 산정방법 (Estimation Method of the Competitive Bid-price in Bid-rigging of Public Construction)

  • 정기창;김우람;김남준;이재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52-60
    • /
    • 2018
  • 우리나라의 공공건설공사는 입찰을 통해 공사를 발주하고 있으나 하지만 입찰의 특성상 참여자들간의 담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입찰담합은 발주자에게 손해를 가하는바, 이를 배상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가상경쟁가격을 산정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계량경제학적 방법이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건설공사, 특히 설계 시공일괄입찰의 특성상 여러 한계와 쟁점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계 시공일괄입찰에서 합리적인 가상경쟁가격을 추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는 입찰 참가자가 제출한 설계도서로부터 한계비용을 도출하고, 입찰 참가자의 기술 수준과 경쟁업체의 기술 수준 및 입찰 형태에 따라 입찰율에 따른 요인을 검토하여 가상경쟁가격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토대로 설계 시공일괄입찰 낙찰자 결정 방식의 특성이 반영된 합리적인 가격이 도출될 수 있으며, 답함에 따른 손해액 산정뿐만 아니라 실제 입찰 과정에서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건설공사 입찰담합으로 인한 손해액 산정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n Calculating the Damages Caused by the Bid Rigging in the Construction Work)

  • 민병욱;박형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6호
    • /
    • pp.1053-1061
    • /
    • 2017
  • 본 연구는 건설공사 입찰담합으로 인해 발생한 손해액에 대하여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입찰담합 손해액에 대한 선행 연구 및 판결 사례 등을 검토한 결과 손해액 산정방법에 대한 분류체계가 미비하고 손해액을 결정하는 과정에 필요한 단계의 누락 등이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첫째, 입찰담합 손해액의 산정방법에 대하여 개선된 분류체계를 제시하였으며, 가격 및 비용 등의 손해액 산정 기준요소 이외에 비율(ratio)요소를 추가하여 건설공사 입찰담합의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둘째, 입찰담합 손해배상이 청구된 경우 그 손해액의 결정에 필요한 과정을 여섯 단계로 구성한 표준절차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 분류체계 및 표준절차를 통하여 당사자 일방에게 부당한 부담이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분쟁을 조기에 해결하도록 하여 기회손실 등을 방지하는데 기초가 되고자 한다.

초기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신체상 불만족의 매개역할에 대한 성별차이: 다중집단 경로분석 (Body Image Dissatisfaction as a Mediator of the Association between BMI,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in Early Adolescents: A Multiple-group Path Analysis across Gender)

  • 장미희;이경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65-175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not only the relationships between body mass index (BMI), self-esteem, body image dissatisfaction (BID)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gender, but the mediating role of BID on mental health in relation to BMI and self-esteem among early adolescents. Methods: Data from 576 (296 boys and 280 girls)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5 to 6 were collected. A multiple-group path analysis was utiliz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BMI, self-esteem, BID and mental health by gender. Results: In the path analysis for all students, poor mental health was related directly to BID, while it was indirectly related to BMI and self-esteem. In the multiple-group path analysis of both genders, BID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mental health for girls alone.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ed that BID should be examined early to prevent poor mental health in early adolescent girls. This study helps to elucidate the role of early adolescent BID on mental health and provides insight for furthe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in school and community mental health settings.

가상상황 가치평가연구에서 출발점 편의의 검토 (Starting Point Bias in Contingent Valuation Studies)

  • 박용치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3권2호
    • /
    • pp.47-76
    • /
    • 2002
  • 출발점 편의는 최초입찰이 응답자의 최종입찰에 영향을 미치는 반복입찰 프레임 위에서 발생한다. 입찰게임은 가상상황 가치평가 연구에서 비시장재의 가치평가를 할 때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며 개별면접이나 전화면접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입찰은 응답자에게 최초 입찰을 제시함으로써 시작되는데 응답자가 최초입찰을 기꺼이 지불할 용의가 있으면 부정적 응답이 나올 때까지 입찰값을 올리고 최초입찰에 부정적이었을 때는 수용할 수 있는 금액이 나올 때까지 입찰값을 낮추어 가게 된다. 최종 입찰은 응답자의 힉스적 보상 또는 가치평가 하려는 항목의 동등 잉여를 측정하는 척도로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입찰게임에 있어서의 출발점 편의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즉, 최종입찰이 최초 입찰의 크기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서울과 그 근처에서 수돗물의 수질개선을 위한 지불 의사액을 추정하는 과정에서 입찰게임을 적용함으로써 실증적으로 검정하였다. 검정결과는 출발점 편의가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 크기는 ${\delta}$=-0.265237.

  • PDF

온비드 공매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승용차 공매를 중심으로 (Structural Analysis of the OnBid Car Auction)

  • 송은지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6권3호
    • /
    • pp.61-93
    • /
    • 2014
  • 본 연구는 구조추정을 포함한 다양한 분석방법으로 온비드에서 진행된 승용차 공매자료를 분석하여 낙찰가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과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온비드에서 판매자수입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매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온비드는 공공기관에서 자산을 처분할 때 이용되고 있는 인터넷 입찰시스템이므로 온비드 입찰시스템의 최적 설계는 국내 자산처분시장의 효율성 제고에 중요하다.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ⅰ) 온비드 승용차 공매에서 입찰자들의 정보구조는 독립적인 사적가치모형과 가장 부합한다; (ⅱ) 캠코 공매에서는 이용기관 공매보다 입찰자 수가 적고 감정평가금액 대비 낙찰가율이 낮았다; (ⅲ) 이용기관 공매 중 2인 이상 유효한 입찰자가 있을 경우에만 유효한 입찰로 인정하는 공매에서는 입찰자 수가 적고 입찰자들의 사적가치가 낮았다; (ⅳ) 이용기관 공매에서 최저입찰가를 실제보다 5%, 10% 혹은 20% 올려 설정한 모의실험에서 판매자수입은 감소하였다.

  • PDF

수도권 아파트와 공장 경매낙찰가율 결정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Bid Price Ratio Apartments and Factor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신창국;전해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255-266
    • /
    • 2021
  • 주택가격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로 인해 공장시설에 대한 투자수요가 증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 경매낙찰가율과 공장 경매낙찰가율에 부동산시장과 거시 경제적 요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부동산 경매에 관한 이론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패널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하여 거시경제적 변수가 아파트와 공장 낙찰가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아파트 낙찰가율의 증가는 아파트 경매 참여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장낙찰률이 증가할수록 공장낙찰가율이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연구와는 달리 낙찰률과 낙찰가율 간 정(+)의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를 통하여 관련 경매 제도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부동산시장 및 거시 경제적 요인에 관한 고려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에 한정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 향후 전국과 지방으로 연구범위를 확장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AHP 기법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제안평가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 발주자와 수주자 비교를 중심으로 (A Priority Analysis on Influential Factors for Software Bid Evaluation in Public Sectors based on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 김홍진;조동혁;안태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1-53
    • /
    • 2017
  • Recently, due to the economic recession and increase of ITO (IT Outsourcing), bidding in software industry has been recognized as more competitive and the importance of software bid evaluation for corporate selection is being increas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prioritize influential factors in the software bid evaluation criteria which is adopted as the main evaluation model of national software businesses by Ministry of Science. The priority was developed by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rough pair-wise comparison. For the analysis, this study developed analysis model for AHP and conducted survey of experts who have work experience for more than 10 years in the IT industry. As the result of analysis, weighted factors in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deduced and differences of priority factors between purchaser and bidder were investigated. The analysis showed differences of view point in the bidding process.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how to write a proposal strategically and effectively in perspective of the purchaser. It is expected that priority factors will be adopted in strategic proposals in both bidder and purchaser. For purchaser, the priority will be adopted to select reliable bidder. So, we expect that the priority factors will be used to get more values for both bidder and purchaser in their business atmosp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