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ased Media Percep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Perception of Electronic News Media of Pakistan in the Digital Age

  • Saeed, Muzammil;Farooq, Tayyab;Khan, Muazam Ali;Mahmood, Nasir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9권3호
    • /
    • pp.293-306
    • /
    • 2021
  • The news and views of Pakistani television channels are extensively shared on digital media for information or analysis where the general public discusses overt and covert agendas by mentioning their factual and presentational styl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contemporary studies of media perception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72 randomly selected master's and bachelor's students studying Media and Communication at the School of Media and Communication Studies, University of Management and Technology, Lahore, Pakistan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feelings and observations of future journalists and media literates. In summary, the findings of our research exposed the negative perception of Pakistani electronic media among the participants due to what they perceived as biased, inaccurate, and unethical reporting.

시청자와 방송사의 정치성향의 (불)일치가 방송채널 평가에 미치는 편향적 매체지각 효과 (The Effects of Biased Media Perceptions from (In)congruency between TV Audience's and Broadcasting Company's Partisanship on Evaluations of the Broadcasting Channel)

  • 송인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300-314
    • /
    • 2018
  • 본 연구는 기존의 적대적 매체지각 개념을 확장한 편향적 매체지각을 전제로, 시청자의 정치성향(진보, 중도, 보수)과 시청자가 인식한 방송사의 정치성향(진보, 중도, 보수)이 방송채널 평가(흥미성, 다양성, 창의성, 신뢰성, 유익성, 공정성, 공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전국 성인 시청자 624명의 자료를 통해 조사 당시 가장 정치적으로 중도적인 것으로 평가된 방송사를 선정하여 해당 방송채널에 대한 응답자들의 평가를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하였다. 분석결과, 시청자의 정치성향은 방송채널 평가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시청자들이 인식한 방송사의 정치성향에 따라 방송채널 평가가 달라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시청자의 정치성향과 시청자가 인식한 방송사의 정치성향이 상호작용함으로써 시청자와 방송사의 정치성향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방송채널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우호적 매체지각)인 반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평가가 부정적(적대적 매체지각)인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방송채널에 대한 시청자들의 태도형성과 관련한 이론적 및 실용적 함의들을 논의하였다.

인구 집단의 스케일의 확장이 집단 비율 및 집단 크기 지각에 미치는 영향: 다수편향적 사회적 정보 활용을 중심으로 (On the Effect of Extended Human Group Scale in Perception of Group Ratio and Size at Majority-biased Social Learning)

  • 장재경 ;장대익
    • 인지과학
    • /
    • 제34권1호
    • /
    • pp.39-66
    • /
    • 2023
  • 뉴미디어는 사회적 교류의 장을 인터넷으로 옮겨와 대규모 집단이 시공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한 곳에서 소통할 수 있게 만들었다. 최근 연구는 인간의 사회적 능력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경험하는 확장된 집단 스케일을 따라가지 못하는 사례를 보고하기도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인간의 사회적 정보 지각이 인구 집단 스케일의 확장에 영향을 받는지 다수편향 맥락에서 확인하였다. 인터넷 기반 과제를 통해 구성원의 수로 나타낸 집단 크기와 전체에서 특정 집단이 차지하는 집단 비율이 개인에게 지각되고 다수편향적 사회적 정보 활용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과정을 조사하였으며, 전체 집단 스케일의 확장에 각 과정이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았다. 집단 비율은 다수편향에 정적 영향을 주고 있으며, 그 관계는 비율 지각에 의해 부분매개 되었다. 전체 집단 스케일은 집단 비율과 비율 지각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았다. 반면, 집단 크기와 다수편향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전체 집단 스케일은 집단 크기 지각을 조절하였다. 전체 집단 스케일이 작은 조건에서 집단 크기와 크기 지각은 양적 상관을 나타냈지만, 전체 집단의 스케일이 확장된 조건에서 지각된 집단 크기는 유의미하게 작아졌고, 두 변수는 상관을 잃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집단 크기 지각과 관련된 심리 기제가 전체 집단 스케일의 확장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집단 크기 정보를 처리하는 전문화된 심리 기제가 존재할 가능성과 다수편향이 특이적으로 받아들이는 자극의 형태를 진화심리적 관점에서 논하였다.

세월호 참사 보도에 나타난 언론의 가상성 (The Virtuality Shown in the Media Coverage of the Sewol Ferry Disaster)

  • 이성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766-779
    • /
    • 2016
  • 본 연구는 세월호 참사 보도에 드러난 '가상성'을 중심으로 매개된 현실과 실제 현실의 간극을 조명하고자 기획되었다. 방송기자연합회 저널리즘 특별위원회는 한국 언론의 세월호 보도 양상을 가리켜 저널리즘의 침몰이라고 명명할 만큼 세월호 보도는 현실 반영에 커다란 문제점을 드러냈다. 언론 보도의 가상성이 문제가 되는 것은 실제 현실보다 보도된 현실, 즉 매개 표상들을 더욱 많이 접촉하고 경험할 때, 수용자는 '실제 현실'에 근거하여 행동하기보다는 '매개된 현실'로부터 받아들인 것을 실제 상황이라 여기고 이에 근거해 반응한다는데 있다. 많은 연구에서 매체의 수용자들은 매개현실을 실제 외부세계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관찰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사상사에서 다루어진 '가상' 개념에 대한 중요 담론을 검토하여 매개현실의 문제와 한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매개현실의 가상성은 여론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권력의 사회화, 사회 통제, 사회주도권 개념들과도 쉽게 연결 지을 수 있었다.

초 . 중 . 고등학교 비만관리프로그램 구축에 관한 연구 (The Survey on Construction of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r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 김이순;주현옥;신유선;송미경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97-105
    • /
    • 2002
  •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 program for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for students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and was carried based on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as suggested by Ewles and Simnett.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st to September 30th, 2000. The study method is as follows: 1) Reviewing the present obesity control programs practiced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196 schools total) in metropolitan, medium-sized, and small cities, 2) Surveying obesity students'(682 students total) perception of the obesity management in their school. 3) Reviewing the annual plan for obesity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4) Analyzing the educational data (CD, VIDEO) for obesity The results are as below: I. The media researched related to obesity were mainly CD and video, aimed primarily primary school students and are biased in nature. 2. The results of how to manage obesity in students: the difficulty of obesity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is the arousal of a sense of shame among obese students and the lack of various educational data are the most.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a lack of various educational data, and no time or lack of time were prevailing concerns. Paramount in managing obesity is weight control, as answered by majority of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major problem of obesity management is the non-cooperation of children. 3. Asked whether the weight controlling aspect of health care class was helpful or not, 51.4% of primary school students, and 71.6%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swered not. The most popular educational method used in health care class is the computer, with a 56.4% approval rating. Most 43.5%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anted the content of obesity management program to focus on how to lose weight.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the obesity management program is constructed to the steps of assessment,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ssessment includes administering surveys on health needs among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physique tests. Planning includes the set-up of long term and short term educational goal and the establishment of an operation system. Implementation includes education, exercise, behavior modification, and health service programs. Evaluation includes step-by-step evaluations for obesity reduction. After this study is conducted, the following should be further researched: More practical and systematic obesity managem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evaluation result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 appropriate media for obesity management the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