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rthing capacity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3초

부두 설계기준을 고려한 접안가능 최대선형의 결정에 관한 연구 - 울산항을 중심으로 - (A Systematic Approach to Decide Maximum Berthing Ship Size Coupled with Berth Design Criteria - A Case of Port of Ulsan -)

  • 전상엽;김영모;우병구;정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5-54
    • /
    • 2008
  • 현행 $\ulcorner$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lrcorner$ 상 부두의 접안능력은 하기재화중량톤수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있으나 접안가능 최대 선박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재화중량톤수보다는 선박의 질량이나 길이 및 폭 등이다. 따라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만 운영을 위해 현재의 기준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이 연구는 합리적인 접안능력 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부두의 적정 접안능력을 검토 하기 위하여 울산항의 3개 부두를 선정하고, 통항 및 접안 안전성과 선체동요 및 구조 안정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배수톤수가 일정한 경우 선박의 크기가 다소 증가하더라도 선박조종이나 계류 및 구조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으며, 검토 대상 선박에서는 선박의 크기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평가 결과 배수톤수에 차이가 없다면 20,000 DWT급 선박은 부두접안가능능력의 50%, 40,000 DWT급 선박은 25%, 그리고 150,000 DWT급 선박은 13% 정도 선박의 크기를 증가시키더라도 부두 축조시의 설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따라서 항로폭, 선회장, 선석 길이 및 계류라인의 배치 등에 문제가 없다면 재화중량톤수 대신에 배수톤수를 적용하여 부두 접안가능 최대 선박을 조정할 수 있다.

  • PDF

선박접안속도 분석과 안전도선에의 활용 (Analysis of Berthing Velocity of Ship and Application to Safe Pilotage)

  • 조익순;강은지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9-150
    • /
    • 2022
  • 항만 계류시설에 작용하는 접안력은 접안에너지에 근거하여 계산하게 된다. 접안력을 결정하는 절대적인 요소로서 현장에서 안전한 도선을 위해 주의해야 할 것이 바로 '선박접안속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접안속도 관련 국내외 동향을 살펴보고, 안전하고 효율적인 부두설계 및 도선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국내부두에서 접안속도 실측데이터를 통계적 수단 및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였다.

  • PDF

Estimation of Optimum Tug Capacity for VLCC and Its Application to VLCC Terminal in Gwang-Yang Harbor

  • In-Yong GONG;Lee, Chang-Min;Chan-Su-YANG;Lee, Han-Jin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Asia Navigation Conference
    • /
    • pp.3-13
    • /
    • 2004
  • The total tug capacity needed for berthing/de-berthing operations of a ship may vary depending on the ship type, size, load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circumstances. Traditionally, total tug capacity is determined based on the local guidelines of port authorities or on the rule of thumb. However, the social demands for the enhancement of ship safety at harbor and the economical demands for the cost-effectiveness of tug usage makes it necessary for port authorities to develop more reasonable and detailed guidelines on tug usage which takes various conditions into account. In this paper, the method to estimate the optimum tug capacity of VLCC is suggested by considering various ship conditions such as its size, load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circumstances such as wind, wave, tidal currents,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 terminal. This method is applied to a VLCC terminal located in Gwang-Yang Harbor of Korea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local guidelines of the harbor, which shows that there may be a room for the amendment of local guidelines on tug usage.

  • PDF

울산항 위험물 부두의 안전계류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Safe Mooring Guide for Dangerous Goods Berths in Ul-San Port)

  • 강원식;박영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7-73
    • /
    • 2016
  • 항만물동량이 증가하고 선박의 대형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부두의 설계 접안능력보다 큰 선박이 부두를 이용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위험물 취급항만인 울산항을 대상으로 접안능력을 초과하여 위험물 부두를 이용한 선박 실태를 조사하였고 기존 부두 접안능력의 최대 3배가 넘는 선박이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그에 따라, 50,000 DWT급 부두를 모델링하여 50,000 DWT급, 70,000 DWT급, 100,000 DWT급 선박을 대상으로 계류 프로그램을 통해 선박 규모의 변화에 따른 계류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는 OCIMF에서 제시하고 있는 표준환경기준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50,000 DWT급 선박은 대체로 허용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70,000 DWT급 선박의 경우 풍속 60 kts, 파고 1.5 m 이상의 기상조건에서 100,000 DWT급 선박은 풍속 60 kts 조건 등에서 허용한계를 초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대상부두에 대한 안전 계류 가이드라인 사례를 제시하였고 향후 다양한 사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해당항만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도록 제언하였다.

Estimation of Optimum Tug Capacity for VLCC and Its Application to VLCC Terminal in Gwang-Yang Harbor

  • Gong, In-Young;Lee, Chang-Min;Yang, Chan-Su;Lee, Han-Ji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609-617
    • /
    • 2004
  • The total tug capacity needed for berthing/unberthing operations of a ship may vary depending on the ship's type, size, load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circumstances. Traditionally, total tug capacity is determined based on the local guidelines of port authorities or on the rule of thumb. However, the social demands for the enhancement of ship safety at harbor and the economical demands for the cost-effectiveness of tug usage makes it necessary for port authorities to develop more reasonable and detailed guidelines on tug usage which takes various conditions into account. In this paper, the method to estimate the optimum tug capacity of VLCC is suggested by considering various ship conditions such as its size, load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circumstances including wind, wave, tidal currents,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 terminal. This method is applied to the VLCC terminal located in Gwang-Yang harbor of Korea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local guidelines of the harbor, which shows that there may be a room for the amendment of local guidelines on tug usage.

부산 컨테이너 부두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관하여 (On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Busan Container Terminal)

  • 이병국;이철영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9-65
    • /
    • 1987
  • Since the middle of 1950's, containerization has been rapidly spread over the world in virtue of great merits providing to interensts, and the fundamental changes in port management and prot operations are resulted. As the container terminal is a complex system which is consisted of various subsystems, the treatment for improving the productivity is required in a comprehensive fashion, both in each of its parts and as an integrated system. This paper aims to make an intensive analysis of the Busan Container Terminal system, especially focusing on its subsystems such as ship operation system, storage system and transfer system. First of all, the intrinsic capacity of various subsystems is calculated and it is checked whether the current operation is being performed effectively through the formal analysis. Secondly, the suggestion is presented to improve the operation by considering the throughput that the port of Busan will have to accept in the near fu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s the inefficiency is due to the imbalance between various subsystems at Busan terminal, transfer equipment level must be up to 31% for straddle carrier and 67% transfer crane above all. 2) The yard capacity must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free dwell time of containers in order to accept the traffic volume smoothly in the near future. 3) The better way to reduce the port congestion is to change berthing rule from the FIFP to the Pre-allocated system by considering the ship arrival pattern.

  • PDF

인천-영종 간 해상수송시스템 구축을 위한 경제적 타당성 분석 (A Feasibility Study on the Economic Aspect of Sea Transportation System between Inchon and Youngjong Island)

  • 전재우;이승희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3권3B호
    • /
    • pp.116-12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conomic aspect of sea transportation system between Inchon and Youngjong island in which Inchon international airport is being constructed. Total demand of sea transportation arising from in the airport and Yongyu Muwi leisure complex was estimated. To select optimum transportation rout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nd around Inchon harbour and Youngjong island including the change of water depth by tide current, fog, rain, wind adn typhoon, ets., were investigated. The preliminary consideration on ships (size, velocity, transport capacity, price), routes, operational modes, terminals and berthing facilities were carried out. The transportation cost per passenger by sea transportation system was estimated to compare with that of land transportation system. It was found that sea transportation system proposed is competitive to the transportation system.

  • PDF

독도물양장 선박접안율 개선을 위한 부방파제 설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of Floating Breakwater for Improving Berthing Capacity of Wharf at Dokdo)

  • 우봉출;이승오;박승현;조용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09-2112
    • /
    • 2007
  • 독도는 울릉도에서도 동남쪽으로 약 87.4km 떨어져 외해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지역이지만 방파제 등 외곽시설이 전무하여 평상파랑에도 접안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독도 관광자원 활용도 및 편의시설 제공면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도 접안시설의 전면에 최근 국내에 본격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부방파제(floating breakwater)를 설치할 경우 고정식 방파제 설치에 따른 문제점을 충분히 개선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부방파제 설치에 따른 기술적인 타당성과 부두 이용률 개선효과 등을 연구 하였다. 독도의 접안시설은 해역이 동도와 서도에 의해 북쪽은 일부 차폐되고 남쪽은 직접 노출되어 있는 지리적 특성이 있어 주 파향인 남쪽계열의 8개 파향(SE, SSE, S, SW, SSW, WSW, W, WNW)의 평상파 제어가 가능하도록 방파제를 배치하였고, 이에 따른 부두 이용률 검토결과 부방파제를 설치할 경우 남쪽계열 파랑에 대하여 현상태에 비하여 부두 이용률이 대략 2배정도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방파제 계류시스템의 안정에 대해서도 부체에 영향을 주는 외력에 대하여 계류체인의 길이와 Anchor Block 자중의 규모를 적당히 조정하면 충분히 안정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한 울산항의 적정 예선 척수 분석 (Analysing Optimum Tugboat Capacity in Ulsan Port by Simulation Technique)

  • 박준모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45-453
    • /
    • 2020
  • 선박의 안전한 접·이안을 담당하는 예선은 항만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여러 요소들 중 무엇보다 중요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항만의 특징에 따라 보유해야 하는 적정 예선 척수 및 규모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고, 이로 인하여 관계자 간 분쟁이 자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울산항을 중심으로 시뮬레이션 기법을 사용하여 예선의 적정 척수 및 예선 마력 비율을 제시하였다. 먼저, 시뮬레이션 구축을 위한 첫 번째 과정으로 항만 입·출항 및 예선 운영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다음으로, 모델링 시 정의한 입력 변수는 울산항의 2019년 선박 입·출항 데이터를 조사하여 도출하였으며, ARENA 소프트웨어에 입력 가능한 형태로 표준화하였다. 그리고 선박의 입·출항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이를 ARENA 모델로 구현하였다. 마지막으로 6가지의 시나리오에 대한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울산항의 예선 척수를 42척으로 조정할 경우 효과적인 예선 운영이 가능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항만효율성 측정 자료의 정규성과 변환 불변성 검증 소고 : DEA접근 (A Brief Verification Study on the Normalization and Translation Invariant of Measurement Data for Seaport Efficiency : DEA Approach)

  • 박노경;박길영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9-12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항만효율성 측정 시 문제가 되었던 두 가지 문제점(첫째, 각기 상이한 기본단위를 갖는 투입변수와 산출변수의 정규화문제, 둘째, DEA분석의 기본가정인 비음수조건에 벗어난 자료, 즉, 음수를 갖는 투입-산출자료의 변환불변성)를 해결하기 위해서 국내 26개항만의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한 후에 검증을 함으로써 항만효율성 측정방법을 부분적으로 확장시켰다. 본 논문의 실증분석의 핵심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만효율성 측정 시 사용되는 자료의 정규성과 변환불변성은 실증분석 결과 분명하게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항만효율성 측정 시 사용되는 자료가 마이너스(-)인 경우에 가장 큰 음수보다 더 큰 양수를 더해 주는 이른바 자료의 변환을 검증하는 변환불변성은 투입지향-산출지향 BCC 모형에서 확인되었다. 위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인 함의를 갖고 있다. 즉, 효율성 측정시 사용되는 자료의 정규성과 변환불변성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으므로, 국내 항만의 정책입안가들은 항만효율성 측정 시 이용되는 자료의 정규성과 변환불변성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보다 세부적인 항만통계자료를 수집 정리 공표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예를 들면 항만사고와 같은 통계도 해역별이 아닌 항만별로 세부적으로 통계를 발행하도록 관련된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