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reavement Care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1초

암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비교 연구 (A Comparison on Stress and Coping of Bereavement Care between Nurses in the Cancer Unit and Nurses in the General Unit)

  • 이향련;이연옥;최은영;박영미
    • 종양간호연구
    • /
    • 제7권1호
    • /
    • pp.26-35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the strategy that clinical nurses can efficiently cope with the stress from bereavement care, by examining and analyzing stress factors and coping methods of nurses' bereavement care. Methods: A total of 628 nurses were recruited from four university hospitals, two cancer specialized hospitals, and three public hospitals.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bereavement care stress measurement tool, and coping was done using the cope with stress scale. Results: The stress level about bereavement care of the nurses working in the cancer un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uni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of coping level between nurses working in cancer unit and general unit. Conclusions: It is important to ensure the methods that contrive to perform bereavement care efficiently by generating hospice nurses and by activating the system for nurses specialist who perform bereavement care.

  • PDF

신생아 집중치료실 기반 사별 간호의 문헌고찰 (Bereavement Care for Pare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 Literature Review)

  • 서원진;이혜정;오수미;사효은;김효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286-295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ect of bereavement care provided for pare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Methods: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f databases (MEDLINE, Embase, Cochrane Library, and CINAHL) for studies published in English and four databases (RISS, KISS, NANET, and KoreaMed) for Korean studies. The selection criteria included original articles that evaluated the parents' perceptions or responses to bereavement care provided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889 articles from the initial screening, 66 articles underwent full-text review and five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for analysis. Results: None of the studies was conducted in Korea. Only one study used a randomized control trial design. The forms of bereavement care reviewed included a provision of a memory package, grief information, and emotional and/or social support from peers or health care providers. The effectiveness of bereavement care was measured by including grief,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Conclusion: Bereavement care can be considered to be beneficial for relieving grief reactions and enhancing the personal growth of bereaved parents. Future research should assess the needs of bereaved parents in Korea. Nurses may play a role in developing the bereavement care for parents.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사별돌봄을 위한 음악 활용 현황 및 프로그램 코디네이터의 인식 (The Current Status Regarding the Use of Music for Bereavement Care and the Program Coordinators' Perception in Hospice and Palliative Settings in South Korea)

  • 김지수;이진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58-266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 내 사별돌봄을 위한 음악 활용 현황 및 음악 활용에 대한 프로그램 코디네이터의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적용될 음악치료 사별돌봄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 중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및 시범사업 중인 요양병원 91곳을 대상으로 온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16년 10월부터 약 한달 간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54부의 자료는 SPSS 기술통계 및 Mann-Whitney U 검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전체 기관 중 92.6%에서 사별돌봄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51.9%는 음악을 활용하고 있었다. 이중 현재 운영 중인 프로그램이 사별돌봄의 필요를 충족하고 있다고 보고한 경우는 단 20.3%에 불과하나 사별돌봄 프로그램 필요성(4.52점)과 사별돌봄 음악치료 프로그램 필요성(4.20점)에 대해서는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어 현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한국형 사별돌봄자신감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a Korean version of the Bereavement Care Confidence Scale (K-BCCS))

  • 권소희;김영주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7-209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Bereavement Care Confidence Scale (K-BCCS). Methods: The Perinatal Bereavement Care Confidence Scale (PBCCS) was translated into Korean according to an algorithm of cultural adaptation process and excluded six items which were specific to perinatal bereavement. A total of 229 clinical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group comparison validity were evaluated, and Cronbach's α was calculated to estimate the reliability of the K-BCCS. Results: The K-BCCS consisted of 31 items in 7 factors, including knowledge and skills for bereavement care (12 items), organizational support (6 items), awareness of the needs (3 items), interpersonal skills (3 items), workload influence (2 items), continuous education (2 items), and understanding the grief process (3 items). The factor loading of 31 items within the 7 factors ranged from .60 to .86. For the convergent validity, the construct reliability (CR) ranged from .74 to .94, and the 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 ranged from .49 to .73, which is considered acceptable. The discriminant validity showed that the AVEs of the subscales were greater than the squar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The nurses who had experience providing bereavement care (t=4.94, p<.001) or had received bereavement education (t=6.64, p<.001) showed higher K-BCCS values those without experience. The Cronbach's α of 31 items was .93 and ranged from .60 to .94 per subscale. Conclusion: The K-BCCS is a valid and reliable tool for evaluating nurses' confidence in bereavement care.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사별 돌봄 (Bereavement Car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김창곤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0권3호
    • /
    • pp.120-127
    • /
    • 2007
  • Bereavement is the state of loss resulting from death. Grief is the emotional response associated with loss, intense and acute sorrow resulting from loss. Complicated grief represent a pathological outcome involving social, physical, emotional, cognitive, spiritual morbidity. The common psychiatric disorders associated complicated grief or abnormal grief responses include clinical depression, anxiety disorders, alcohol abuse or other substance abuse, and dependence, psychotic disorder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Grief tasks involve a series of stage or phases following an important loss that gradually permit adjustment and recovery. Three phases of grief involve phase 1 (walking the edges), phase 2 (entering the depths), and phase 3 (reconnecting the world). For intervention to be effective they need to be individually tailored to abnormal grief reaction or unresolved grief reaction. Clear understandings of complicated grief, abnormal responses, factors increasing risk after bereavement will often enable us to prevent psychiatric disorders in bereaved patients.

  • PDF

암환자 사별 배우자의 복합적 슬픔 영향요인 (Influential Factors of Complicated Grief of Bereaved Spouses from Cancer Patient)

  • 김소명;권소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9-69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ariables and construct paths that affect complicated grief.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ere 164 bereaved spouses of cancer patients at least 12 months before the death.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16 to February 2017 using self-report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1.0 and AMOS 20.0. Results: The variables affecting complicated grief of bereaved spouses of cancer patients were the quality of end-of-life care (${\gamma}=.15$, p<.001), preparedness for death (${\beta}=-.06$, p=.005), and coping with bereavement (${\beta}=-.24$, p<.001), whereas the quality of death and dying did not show any effects. Preparedness for death had multipl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end-of-life care and complicated grief (z=-2.20, p=.028),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end-of-life care and coping with bereavement (z=2.11, p=.035). Coping with bereavement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paredness for death and complicated grief (z=-2.39, p=.017).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preparedness for death and coping with bereavement play a prominent role in complicated grief.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elp in preparing for death and enhancing coping with bereavement of spouses providing end-of-life care to cancer patients. In addition, investigating cultural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end-of-life care and complicated grief is recommended.

국내 호스피스 기관의 사별 관리 실태 (Bereavement Care of Hospice Services in Korea)

  • 노유자;안영란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3권2호
    • /
    • pp.126-135
    • /
    • 2000
  • 목적 : 본 연구는 전국 호스피스 기관의 사별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사별관리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 1차로 1999년 9월부터 10월사이, 2차로 2000년 11월부터 12월사이에 한국 가톨릭 호스피스협회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교육연구소를 통해 확인된 전국 55개 호스피스기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인과 연구원이 직접 전화를 걸어 조사목적을 설명한 후 기관의 책임자와 통화하여 면접조사를 하였다. 결과 : 1) 국내 호스피스 기관의 69.1%에서 사별관리를 시행하고 있었다. 2) 사별관리의 내용으로는 전화방문 28개 기관(74.5%), 사별가족 모임 26개 기관(68.4%), 가정방문 22개 기관(57.9%), 우편물 보내기 16개 기관(42.1%), 개별상담은 7개 기관(18.4%)이었다. 3) 사별가족 모임은 26개 기관(68.4%)에서 시행하고 있었고 그 빈도는 연 1회가 42.3%로 가장 많았으며 연2회가 6개 기관(23.1%), 월 1회가 6개 기관(23.1%), 월 2회가 3개 기관(11.5%)을 차지하였다. 4) 사별관리를 위해 사별사정도구를 사용하고 있는 기관은 4개 기관(10.5%)에 불과하였다. 5) 사별관리 운영상의 문제점으로는 사별가족을 모으기가 어렵다는 점이 가장 많았고 사별관리자의 전문적인 지식의 부족, 사별관리 인력의 부족, 호스피스 기관과의 지역적 거리가 먼 경우, 사별자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 부족, 재정적인 어려움 등이 있었다. 6) 효율적인 사별관리 방안으로는 사별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사별관리 교육의 필요성, 전문가 양성, 인력충원, 재정 지원 등의 요구사항이 있었다. 결론 : 국내 호스피스 기관중에서 69%가 사별관리를 시행하고는 있으나, 사별관리 전문가와 인력이 부족하고 사별관리 프로그램도 다양하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사별자의 개별적인 욕구 측면에서 사별관리 프로그램이 다양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사별관리를 위해 사별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관리운영자의 전문적인 교육과 봉사자 교육 및 훈련이 있어야 하고 사별자의 개별성과 요구에 적합한 접근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앞으로 한국실정에 맞는 토착화된 사별관리를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시도되어야 하며 이를 실무에 적용시켜야 한다.

  • PDF

Bereavement Care

  • 매리암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2년도 하계심포지엄
    • /
    • pp.73-75
    • /
    • 2002
  • PDF

배우자 사별여성들의 경험: Q 방법론 적용 - 2년 미만의 사별여성을 중심으로 - (Experience in Widow's Bereavement: Q Methodology - Widow Below 2 Years Bereavement -)

  • 양수;홍진의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2호
    • /
    • pp.80-87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Q-방법을 적용하여 배우자 사별여성들의 경험에 대한 주관성 유형을 확인하고 그 특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Q-모집단은 문헌고찰과 사별한지 2년 미만의 배우자 사별 여성 5인의 면담을 통하여 209개의 진술문을 추출하여 구성되었다. Q-표본은 Q-모집단 진술문들을 통합, 범주화한 후 자문을 거쳐 46개의 진술문으로 선정되었다. P-표본은 사별한지 2년 미만의 배우자 사별 여성 13인을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2004년 10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연구자가 개인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들 P-표본 대상자들은 Q-표본 진술문을 강제정규분포 방식으로 Q-분류하였다. 자료는 Quanl PC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결과: 배우자를 사별한 여성들의 경험은 2개의 유형 즉, 상실고통형과 수용적응형으로 분류되었다. 상실고통형은 비교적 젊은 나이의 남편과 예측하지 못한 사별을 한 후 얼마 되지 않는 여성들로, 이들은 남편의 빈자리를 정서적, 가정적, 사회경제적 영역에서 크게 느끼면서 불안감, 외로움, 죄책감 등이 높은 특성을 지녔다. 수용적응형은 어느 정도 예측된 고인의 죽음을 수용하는 태도를 보이며, 어려움을 신앙과 성숙으로 극복하여, 긍정적으로 세상을 대하며, 새로운 삶에 재적응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 배우자를 사별한 여성들은 공통적으로는 모두 사별로 인한 슬픔과 고통을 느끼고 있었으나 죽음의 성격, 사별기간, 개인 성격과 영적상태에 따라 상실고통형과 수용적응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별가족관리 전문가들은 배우자를 사별한 여성들의 유형을 파악하여 각 유형에 맞는 사별돌봄 전략을 개발하여 섬세한 돌봄을 제공하여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