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ign tumor

검색결과 1,464건 처리시간 0.024초

타액선 질환에 대한 세침흡인세포검사의 유용성 (Efficacy of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Salivary Gland Diseases)

  • 박민현;이승신;최병윤;김인상;최승호;고태용;김광현;성명훈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2-45
    • /
    • 2000
  • Background and Objectives: To review efficacy of the fine-needle aspiration cytology(FNAC) in patients with salivary glands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4 through June 1999, FNACs and surgical biopsies were carried out on 109 patients with salivary gland diseases. The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Benign tumor was found in 81 patients, and malignant tumor was in 19 patients. Nine patients had inflammatory lesion. Results: In 6 of 109 cases the aspiration was inadequate. Of the remaining 103 patients, FNAC correctly diagnosed 87 lesions(84.5%). For benign tumor lesions, the accuracy was 91%(71/78), and for malignant lesions 55.6%(10/18). The accuracy for inflammatory lesions was 85.7%(6/7). Regarding the capacity to discriminate between neoplastic and nonneoplastic lesions, sensitivity, specificity and total diagnostic accuracy were 99%, 85.7% and 84.5% respectively. Regarding the capacity to discriminate between malignant and benign tumors,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55.6% and 97.4% respectively. FNACs misdiagnosed malignant tumors as benign lesions in eight patients, in which three were with adenoid cystic carcinomas. Carcinoma ex pleomorphic adenoma, malignant lymphoma and mucoepidermoid carcinoma 'were others. Conclusion: FNAC showed high accuracy to diagnose benign lesions in salivary gland diseases. But the accuracy was rather low for malignant lesions. If a salivary gland lesion was suspected for malignant tumor, other diagnostic methods such as tissue biopsy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 PDF

Warthin's tumor of the parotid gland: a case report

  • Kim, Chul-Hwan;Han, Sung-Il;Kim, Moo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8권6호
    • /
    • pp.366-370
    • /
    • 2012
  • Initially described in 1929, Warthin's tumor is a benign neoplasm predominantly found in the parotid gland of the salivary glands. Warthin's tumor is synonymous for cystadenoma lymphomatosum, adenolymphoma, and cystadenolymphoma. This tumor usually causes minimal pain, but the patient may complain of tinnitus, pain in the ear, or deafness. The tumor is treated with surgical excision, which is easily performed due to the superficial location of the tumor. In our case, a 69-year-old man visited our clinic primarily complaining of swelling in the left parotid gland area.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well-defined margins of the tumor in the superficial lobe of the left parotid gland and heterogeneous contrast enhancement. We performed superficial parotidectomy, with the pathological examination confirming Warthin's tumor. We report a typical case of Warthin's tumor and a literature review.

갑상선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오진에 대한 세포병리학적 분석 (Cytopathologic Analysis on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ic Misdiagnoses of the Thyroid)

  • 박찬필;금주섭;이원미;박문향;이중달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9-180
    • /
    • 1998
  •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FNAC) has been used effectively as the initial modality in evaluating various thyroid lesions. We correlated cytologic and histopathologic features to investigate the diagnostic pitfalls of FNAC of the thyroid. A total of 1,593 FNACs of the thyroid were diagnosed at the Department of Pathology,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3 to December 1997 There were 963 cytologically benign cases(60.5%), 97 suspicious cases(6.1%), and 75 malignant cases(4.71%). The remaining 458 cases(28.8%) were unsatisfactory. Subsequent surgical resection was done in 192 cases. Seventy-two cases(37.5%) were cytologically diagnosed as benign, 45 cases(23.4%) suspicious, 56 cases(29.2%) malignant, and 19 cases(9.9%) unsatisfactory. Histopathologically, 101 cases were benign(11 thyroidites, 52 adenomatous hyperplasias, 34 follicular adenomas, and four Hurthle cell adenomas), and 91 cases malignant(72 papillary carcinomas, 16 follicular carcinomas, one medullary carcinoma, one anaplastic carcinoma, and one granular cell tumor). After excluding 19 unsatisfactory cases, 63 were misdiagnosed. They included 17 benign(three thyroidites and 14 adenomatous hyperplasias), 27 suspicious(10 follicular adenomas, four Hurthle cell adenomas, and seven follicular carcinomas), and 19 malignant(16 papillary carcinoma, one medullary carcinoma, one anaplastic carcinoma. and one granular cell tumor) lesions. The accuracy rates in the benign, suspicious, and malignant categories were 54.9%, 49.8%, & 92.8%, respectively. The cytological pitfalls were as follows: (1) background, (2) crowded follicular cell clusters indistinguishable between follicular neoplasia and adenomatous hyperplasia, (3) papillary structure, irregular nuclear membrane and pleomorphism mimicking those of papillary carcinoma, (4) indistinct eosinophilia in follicular epithelial cells, (5) unusual cellular components not commonly seen in FNACS of the thyroid.

  • PDF

자궁체부의 양성 및 악성 종양의 자기공명영상 소견과 감별 진단 (MRI Findings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Benign and Malignant Tumors of the Uterine Corpus)

  • 김지현;허숙희;신상수;정용연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5호
    • /
    • pp.1103-1123
    • /
    • 2021
  • 자궁은 크게 자궁체부와 자궁경부로 나뉜다. 이 중 자궁내막과 자궁근층으로 이루어진 자궁체부에는 양성에서 악성 종양까지 다양한 질환이 발생한다. 비침습적인 일차적 평가로 초음파와 컴퓨터단층촬영이 있으나 비특이적인 영상 소견으로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반면 높은 해상도와 병리학적 특성 파악이 가능한 자기공명영상은 병변의 위치 확인뿐만 아니라 조직학적 특징, 그리고 악성 종양의 병기 설정에도 도움을 준다. 이 종설에서는 영상의학과 의사들이 알아야 할 자궁체부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양성과 악성 종양들의 특징적인 자기공명영상 소견들과 이들의 감별점에 대해 정리했다.

흉선 지방종[1례 보고] (Thymolipoma - One Case Report -)

  • 이상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3호
    • /
    • pp.325-329
    • /
    • 1992
  • The thymolipoma is rather rare benign tumor of the thymus. One case of huge thymolipoma, seen in a 11-year-old boy, is presented. It is about 2.16kg. He had some chest discomfort. The chest film showed homogeneous haziness fills the left hemithorax, On chest CT scan, multiple small amorphous soft tissue densities were recognized as islands within a large fatty mass. Tumor resection was performed through left anterolateral thoracotomy. The mass was yellowish soft, measured 29x19Xllcm, 12X7.5x3.5cm, 7.0X3.0X1.0cm. Microscopically, the tumor was comprised of abundant mature adipose tissue and normal thymic tissue.

  • PDF

신생아에서 발생한 심장 섬유종;1례 보고 (Cardiac Fibroma in Neonate - A Case Report -)

  • 정성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11호
    • /
    • pp.1261-1263
    • /
    • 1992
  • Primary cardiac fibroma of the left ventricular myocardium is a rare tumor of the heart which is usually located within the anterior wall and /or septum of the left ventricle and is the second most common cardiac tumor in infant and children. Although the tumor is benign histologically, it may cause severe cardiac dysfunction and sudden death. A 30-day-old neonate with a huge intramural fibroma involving the posterolateral wall of the left ventricle underwent it`s partial resection under extracorporeal circulation on April 1992.

  • PDF

늑막중피세포종 2례 보고 (Pleural Mesothelioma [Report of 2 cases])

  • 김종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840-843
    • /
    • 1985
  • Pleural mesothelioma which arise from pleura is relatively uncommon tumor. We are reporting 2 cases of pleural mesothelioma which were treated with surgical resection. First case, benign epithelial mesothelioma was confirmed incidentally after decortication due to localized pleural thickening. The second case, malignant mesothelial mesothelioma was diagnosed by examination of chest radiology, diagnostic pneumogram and pleural biopsy as malignancy which was treated with the resection of the tumor mass. In the first case, postoperative recurrence of tumor growth was found within 1.5 months after resection. In the section malignant case, no evidence of recurrence was noted even after 3 months of resection.

  • PDF

양성 뇌종양에 대한 분할 정위 방사선치료의 예비 결과 (Preliminary Results of Fractionated Stereotactic Radiotherapy for Benign Brain Tumors)

  • 최병옥;강기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10-18
    • /
    • 2003
  • 목적 : 양성 뇌종양에 대하여 분할 정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후의 임상 경과 및 방사선 반응 등을 추적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3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양성 뇌종양으로 진단 받고 분할 정위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36례를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대상 환자의 종양은 뇌하수체 선종 12례, 두개인두종 5례, 수막종 10례, 청신경초종 9례 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종양의 위치, 종류, 크기에 따라 5~10회 분할 치료로 85~90%의 등선량 곡선에 25~35 Gy까지 조사하였다. 임상 추적관찰 기간은 2~74개월(중앙값 31개월)이었고, 방사선 추적 관찰 기간은 4~56개월(중앙값 21개 월)이었다. 결과 : 임상 증상이 있었던 35례 중 분할 정위 방사선치료 후 임상 증상의 호전은 13례(37.1%)에서 보였으며, 16례 (45.7%)에서 증상의 변화가 없었고 증상의 악화는 6례(17.2%)에서 관찰되었다. 뇌신경장애를 동반한 28례 중 7례(25%)에서 증상 개선을 보였다. 추적 방사선 검사를 시행한 33례 중 17례(51.5%)에서 종양 크기의 감소를 보였으며, 그 중 7례(21.2%, 뇌하수체 선종-2, 두개인두종-3, 수막종-1, 청신경초종-1)는 종양의 완전 소실을 보였다. 13례(39.4%)에서 종양 크기의 변화가 없었고, 3례(9.1%)는 종양 크기의 진행을 나타내었다. 급성 부작용은 11례(30.6%)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 양성 뇌종양의 분할 정위 방사선치료는 심각한 부작용 없이 시행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이었다. 그러나, 정확한 역할에 대해서는 좀 더 많은 환자와 장기간의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양성 골종양의 절제 및 소파술 후 사용한 골이식 대체물의 결과 및 분석 (The Analysis and Treatment of Benign Bone Tumor by Curettage and Debridement with Bone Graft Substitutes)

  • 정성택;서형연;선종근;이재준;김성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9-147
    • /
    • 2003
  • 목적: 양성 골종양을 치료하기 위해 골이식 대체물을 이식하였을 때 골 유합을 얻을 수 있는지 여부와 골 이식 대체물 중 황산칼슘(calcium sulfate)과 수산화인회석 (hydroxyapatite)을 이용하여, 골 이식술 후 유합 정도를 비교하여 골 치유 과정에 대한 두가지 골 이식 대체물의 차이점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양성 골종양 환자 중 병소의 소파술 시행 후 골 이식 대체물을 이식한 20례를 대상으로 술전후 단순 방사선 소견상 병소 크기, 신생골의 형성, 병소의 재발 여부와 이식 후 조직학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결과: 총 20례 중 남자가 13례, 여자가 7례였으며 평균 연령은 15.8세(2~5), 술 후 평균 추시 기간은 3년이었다. 방사선 사진상 병소의 면적은 평균 30.7 $cm^3$였으며, 최종 추시상 전체 20례 중 19례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1례에서 병소의 재발을 보였다. 나이, 병소 크기와 병변 종류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황산칼슘은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고, 골 전도 작용이 있으며 새로운 골형성에 비례하여 생체내로 흡수되는 특성을 보였고, 이에 반해 수산화인회석은 골 전도 작용이 있지만, 병변의 크기나 주위 환경에 따라 자가골, 자가 골수 이식, 이종골과 병행 사용시 양호한 골치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황산칼슘에 비해 더 느리게 생체내로 흡수되는 결과를 보였다.

  • PDF

거골 체부에 발생한 양성 종양 (Benign Tumors of the Talar Body)

  • 서성욱;이상훈;김한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76-82
    • /
    • 2002
  • 목적: 거골 체부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은 매우 드물어 치료 방법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기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거골 체부에 발생한 양성 종양 8예를 후방 도달법과 후 돌기를 통한 소파술로 치료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2월부터 2001년 8월 사이에 저자들이 경험한 거골 체부에 발생한 양성 골종양 환자 8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종양의 발견 당시 평균 연령은 22.1세(10세~41세)이었고, 남자 4명, 여자 4명이었다. 종양의 종류는 거대세포종 2례, 유골 골종 2례, 연골모세포종 1례, 골내 모세혈관종 1례, 단순 골 낭종 1례, 골연골종 1례이었다. 모두 후방도달 법으로 접근하였고, 2례의 유골 골종과 1례의 골연골종 환자는 절제술을, 나머지 5례는 후 돌기를 통한 소파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7.5년(1년~16년)이었다. 결과: 추시 기간 중에 재발한 환자는 없었고, 1례에서 감염증이 발생했다. 이 경우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서 체중 부하시 통증은 없었고, 관절 운동 범위의 제한이 발생한 경우도 없었다. 결론: 거골 체부에 발생한 양성 종양은 후방 도달법으로 주위 조직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거골의 후 돌기를 통한 피질골 창으로 만족할 만한 소파술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