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and Treatment of Benign Bone Tumor by Curettage and Debridement with Bone Graft Substitutes

양성 골종양의 절제 및 소파술 후 사용한 골이식 대체물의 결과 및 분석

  • Jung, Sung-Taek (Department of Orthoped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Seo, Hyoung-Yeon (Department of Orthoped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Seon, Jong-Keun (Department of Orthoped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Jae-Joon (Department of Orthoped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Seung-Sik (Department of Orthoped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정성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서형연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선종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재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성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3.12.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bony union can be obtained when a bone graft substitute is transplanted in order to treat a benign bone tumor and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alcium sulfate and hydroxyapatite in the healing procedure when the degree of the bony union after the bone graft are compared.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selected 20 cases, in which a curettage on the benign bone tumors was conducted and a bone graft substitute was transplanted. The area of the focus, the new bone formation, the recurrence of the focus in the plain radiographs and histological findings were observed. Results: Twenty cases (13 males, 7 females) were evaluated. Their mean age at surgery was 15.8 years (2~45),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 years. The mean area of focus was 30.7 $cm^3$ in the radiographs, and 19 cases showed successful results in the ultimate visit, while 1 case has a recurrence of the focus. Conclusion: Calcium sulfate has osteoconduction and superior bioavailability, and is absorbed in vivo in proportion to the new bone formation. On the other hand, hydroxyapatite has good osteoconduction. It can result in better bone formation when it is combined with an autologous bone graft, autologous bone marrow, and an allogenic bone graft, but is absorbed in vivo more slowly than the former.

목적: 양성 골종양을 치료하기 위해 골이식 대체물을 이식하였을 때 골 유합을 얻을 수 있는지 여부와 골 이식 대체물 중 황산칼슘(calcium sulfate)과 수산화인회석 (hydroxyapatite)을 이용하여, 골 이식술 후 유합 정도를 비교하여 골 치유 과정에 대한 두가지 골 이식 대체물의 차이점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양성 골종양 환자 중 병소의 소파술 시행 후 골 이식 대체물을 이식한 20례를 대상으로 술전후 단순 방사선 소견상 병소 크기, 신생골의 형성, 병소의 재발 여부와 이식 후 조직학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결과: 총 20례 중 남자가 13례, 여자가 7례였으며 평균 연령은 15.8세(2~5), 술 후 평균 추시 기간은 3년이었다. 방사선 사진상 병소의 면적은 평균 30.7 $cm^3$였으며, 최종 추시상 전체 20례 중 19례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1례에서 병소의 재발을 보였다. 나이, 병소 크기와 병변 종류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황산칼슘은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고, 골 전도 작용이 있으며 새로운 골형성에 비례하여 생체내로 흡수되는 특성을 보였고, 이에 반해 수산화인회석은 골 전도 작용이 있지만, 병변의 크기나 주위 환경에 따라 자가골, 자가 골수 이식, 이종골과 병행 사용시 양호한 골치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황산칼슘에 비해 더 느리게 생체내로 흡수되는 결과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