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misia tabaci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초

Neem제 처리간격이 가지 담배가루이 방제에 미치는 효과 (Treatment Interval of Neem Product for Control of Bemisia tabaci on Eggplant using Eco-friendly Agriculture)

  • 김주;최인영;김주희;이장호;정성수;김진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809-819
    • /
    • 2016
  • 가지 담배가루이 친환경 방제를 위한 neem제 처리 간격을 구명하고자, 500배 농도로 처리 간격(일)을 3~15까지 5처리를 두어 neem제의 담배가루이에 대한 처리효과, neem제 처리 간격에 따른 생육상황 및 경제성 등을 분석하였다. neem제의 담배가루이에 대한 처리효과는 약충의 경우 3일, 5일, 7일, 10일, 15일 간격에서 방제가가 각각 96.7%, 89.7%, 76.1%, 73.4%, 51.0%로 neem제 처리간격이 길어질수록 담배가루이 약충의 방제가는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성충의 경우는 3, 5, 7, 10, 15일 간격 처리에서 각각 1.2, 1.8, 2.3, 2.8, 5.4마리였고, 방제가는 각각 82.3%, 73.5%, 66.2%, 58.8%, 20.6%를 보였다. neem제 처리간격에 따른 가지의 생육상황은 3일, 5일, 7일 간격으로 처리한 잎에서는 담배가루이의 피해가 크지 않았으나, 10일, 15일 간격 처리와 무처리에서는 담배가루이에 의한 피해가 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하여 neem제를 3일 간격으로 처리하는 것이 방제효과가 높으나 경제성 분석결과, 소득은 neem제 7일 간격 처리가 10 a당 19,505천원으로 가장 많아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한 neem제 처리 간격은 7일이 가장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지에서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담배가루이 방제효과 (Control Effects of Bemisia tabaci on Eggplant using Sticky Trap)

  • 김주;최인영;이장호;김주희;임주락;정성수;김진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59-772
    • /
    • 2017
  • 본 연구는 가지에서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담배가루이 방제방법을 찾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끈끈이트랩의 색상별 담배가루이 유인 효과는 황색트랩에서 유인 효과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연두색, 주황 순이었다. 그러나 백색, 청색, 적색, 흑색과 녹색의 끈끈이트랩에서는 담배가루이 유인 효과가 떨어졌다. 끈끈이트랩 효율성 증진을 위해 글리세린에 첨가한 당 종류별 담배가루이 유인 효과는 포도당과 과당을 첨가한 끈끈이트랩에서 유인 효과가 높았으며, 다음은 올리고당이었다. 그러나 물엿, 설탕, 무처리에서는 담배가루이 유인 효과가 낮았다. 끈끈이트랩의 설치 위치에 따른 담배가루이 유인 효과는 가지 정단부에 설치하는 방법이 담배가루이가 유인되는 채집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지제부 30 cm 위에서 다음으로 많았다. 또한,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가지 담배가루이 방제 시 최적 설치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끈끈이트랩을 1~40개까지 설치하고 담배가루이 발생밀도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끈끈이트랩 설치 개수에 따른 담배가루이 유인효과는 끈끈이트랩 설치 수가 증가할수록 가지 잎의 담배가루이 성충 및 약충 발생밀도는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끈끈이트랩 설치 개수에 따른 가지 생육상황은 끈끈이트랩 설치 수가 증가할수록 가지 초장, 엽장, 절수 등의 생육이 양호한 경향이었다. 가지 수확 시기별로는 생육 초기에 수량 및 과 특성은 끈끈이트랩 수가 증가할수록 과수, 상품률 등이 증가한 경향이었으나 생육 후기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따라서 끈끈이트랩은 생육 초기 담배가루이 발생밀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Emamectin benzoate와 Pyridaben의 잔효성에 따른 담배가루이의 섭식행동 변화 (Changes of Feeding Behavior of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Correlated with the Residual Effect of Emamectin benzoate and Pyridaben)

  • 권윤희;양정오;오정훈;노두진;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97-402
    • /
    • 2008
  • Emamectin benzoate와 pyridaben에 대한 담배가루이의 잔효성과 섭식행동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EPG의 파형은 non-probe time과 phloem phase time과 같은 파형을 신호개시 후 3시간 동안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EPG 파형 중 non-probe time과 phloem phase time의 두 파형과 emamectin benzoate와 Pyridaben의 두 약제 간 잔효성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효성은 두 약제 모두 2일까지는 50%로 비슷하였으나, 그 이후로는 pyridaben보다 emamectin benzoate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EPG를 이용한 두 약제의 잔효성에 따른 구침을 찌른 시간과 체관부 섭식행동은 9일 이후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emamectin benzoate가 pyridaben보다 증가하는 속도가 빨랐다.

Transmission of an Indonesian Isolate of Tobacco leaf curl virus (Geminivirus) by Bemisia tabaci Genn. (Hemiptera: Aleyrodidae)

  • Noor, Aidawati;Sri, Hendrastuti Hidayat;Rusmilah, Suseno;Soemartono, Sosromarson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5호
    • /
    • pp.231-236
    • /
    • 2002
  • Bemisia tabaci Genn. is an important pest worldwide because of its ability to cause damage by direct feeding and its role as a vector of some viruses including geminiviruses. The first report of Tobacco leaf curl virus (TLCV), a Geminiviruses, in Indonesia was in 1932 when the virus was found infecting tobacco plants in Central Java. The characteristic symptoms of TLCV included upward curling of the leaf edge, vein thickening, and sometimes the occurrence of enation on the underside of the leaves. Basic studies were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TLCV transmission by its vector, B. tabaci. A single whitefly was able to transmit the virus and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was increased when the number of adult whiteflies was increased up to 20 per plant. Inoculation access period of 1 h could cause transmission up to 20% and the optimum inoculation access period was 12 h. Acquisition access period of 30 minutes resulted in 70% transmission while 1(10% transmission occurred with a 24-h acqui-sition access period. The virus was proven to be persistently but not transovarially transmitted. Discrete fragments of 1.6 kb were observed when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was applied to detect the virus in viruliferous nymphs and individual adults of B. tabaci, while no bands were obtained from non-viruliferous nymphs and adults.

유기농 가지재배에서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한 천연물질 효과 (The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Selection for Control the Bemisia tabaci (Gennadius) on Organic Eggplant Cultivation)

  • 김주;권영립;김주희;정성수;임주락;이장호;심창기;김민정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63-372
    • /
    • 2013
  • 가지 담배가루이 친환경 방제기술을 개발하고자, 난황유 등 8종의 천연물질을 가지 정식 후 7일 간격으로 살포하면서 생육을 조사한 결과 님제처리에서 가장 양호한 경향이었다. 담배가루이 성충과 약충의 발생은 디노테퓨란약제처리에서 가장 적었고, 친환경자재 중에서는 님제 처리에서 가장 적었다. 수량은 디노테퓨란 약제처리에서 가장 많았고, 친환경 자재에서는 님제, 고추씨유 등이 많았으며, 고삼제 은행과육 등에서 적었다. 님제 처리의 경우 무처리에 비하여 69% 많았고, 디노테퓨란약제에 비해 52% 낮은 수량을 나타내었다.

담배가루이에 대한 폴리머와 전착제의 살충효과 (Insecticidal Activities of Polymers and Surfactants Against Sweet 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 윤창만;조선란;문상래;신윤호;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77-187
    • /
    • 2011
  • 본 연구는 관상용 정원과 온실에서 문제를 야기하는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성충의 잠재적 방제제로서 폴리머와 전착제를 이용하여 생물검정을 수행하였다. 폴리머는 점성의 특성이 있어 날개가 있는 작은 곤충에게 넉다운시키거나 치명적일 가능성이 있다. 5 종의 폴리머를 0.2%의 농도로 처리시, polinol P-24는 원통형챔버 안에서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해 59.4% 이상의 가장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으며 그 뒤를 polinol P-20(57.1%)이 따랐다 0.1%와 0.3%의 농도로 처리시, polinol P-24는 각각 43.4%와 54.5%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8종의 전착제를 실험한 결과 살충활성이 NP10(0.0005%)에서 70.0%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뒤로 NP7(0.001%)이 67.4%로 나타났다. 살충활성을 높이기 위하여, polinol P-24를 전착제와의 다양한 조합으로 상승효과를 평가하였는데, 0.2% polinol P-24와 0.005% NP10을 후보물질로 선발하여 포장에서 담배가루이 방제 실험을 실시하였다. Polinol P-24와 NP10는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하여 실내에서 3일간격으로 3번처리시 가장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다. 야외에서는 처리 후 7일후에 70% 이상의 방제가를 보였다.

전국 담배가루이 약제 저항성 조사 (Insecticide Resistance Monitoring of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in Korea)

  • 김상현;김성진;조수지;이시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67-173
    • /
    • 2021
  •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Gennadius))는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작물을 가해하고 있는 흡즙성 해충이다. 국내에서는 1998년에 최초로 유입이 보고되었고 현재 전국에 널리 퍼져 농가에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주고 있다. 담배가루이의 주 방제방법인 화학적 방제를 위해서는 정확한 약제 저항성 진단을 바탕으로 한 약제 선택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20년 6월부터 10월까지 전국 7개도 12지역의 온실에서 담배가루이를 채집하여 잔류접촉법 기반 생물검정 및 분자마커를 통해 약제 저항성을 진단하였다. 그 결과, 작용기작이 다른 5종 약제(dinotefuran, spinosad, emamectin benzoate, chlorfenapyr 및 bifenthrin)에 대해 전국적으로 높은 저항성을 지니고 있으며 유기인계 및 피레스로이드계 약제에 대한 저항성 점돌연변이가 포화상태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약제 저항성 모니터링에 기반한 담배가루이 약제 저항성 관리가 시급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전자빔 조사가 담배가루이, 복숭아혹진딧물, 배추좀나방과 점박이응애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ctron-beam Irradiation on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Bemisia tabaci, Myzus persicae, Plutella xylostella and Tetranychus urticae)

  • 문상래;손봉기;양정오;우종석;윤창만;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9-137
    • /
    • 2010
  • 전자빔 조사(30, 50, 70, 100 Gy)가 주요 농업해충(담배가루이, 복숭아혹진딧물, 배추좀나방, 점박이응애)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담배가루이, 배추좀나방, 점박이응애 알의 부화는 조사량이 많아질수록 억제되었으며, 특히 담배가루이와 점박이응애 알은 10 0Gy 조사량에서 부화가 100%억제되었다. 그러나 약충/유충, 번데기, 담배가루이, 배추좀나방, 점박이응애의 알에 조사했을 때 부화유충의 우화억제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70 Gy 조사량에서 담배가루이 우화성충은 산란을 하지 않았고, 100 Gy 조사량에서 배추좀나방 우화성충의 산란수가 감소하였다. 담배가루이, 배추좀나방, 복숭아혹진딧물, 점박이응애 약충/유충에 조사했을 때 70과 100 Gy 조사량에서 부화유충에 미치는 영향과 비슷하였다. 배추좀나방 번데기에 조사했을 때 100 Gy에서 산란수가 감소하였고, 산란한 알이 100% 부화하지 못했다. 담배가루이, 배추좀나방, 복숭아혹진딧물, 점박이응애의 성충에 조사했을 때 70, 100 Gy에서 산란수/산자수가 감소하였으며, 산란한 알의 부화억제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담배가루이 알은 부화가 100%억제되었다. 그러나, 4종의 주요 농업해충의 모든 발육태에 조사하였을 때 성충수명에는 영향이 없었다.

참외에서 담배가루이의 경제적 피해수준 설정 (Economic Injury Level of Bemisia tabaci (Gennadius) (Homoptera: Aleyrodidae) on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in Greenhouse)

  • 박석희;이중환;우진하;최성용;박소득;박홍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6-201
    • /
    • 2014
  • 본 연구는 참외 담배가루이의 경제적 피해수준과 요방제 수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참외 접목묘는 비닐하우스 내에서 2010년 6월 8일에 정식하였고, 담배가루이 성충을 7월 14일에 1, 5, 10, 20마리/10엽 밀도로 각각 접종하였다. 접종 60일 후 담배가루이 성충 밀도는 20마리 접종 처리구의 경우 초기 접종밀도보다 24.9배 증가하였다. 담배가루이에 의한 잎과 과실의 피해는 접종 후 20일째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접종 60일째에 피해엽율과 피해과율은 각각 28.5%와 31.5%였다. 담배가루이 접종밀도와 피해과율과의 관계를 회귀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Y = 0.961X + 0.0562($R^2$= 0.976)의 관계식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식에 따라 계산된 참외 담배가루이의 경제적 피해수준은 5.1마리/엽, 요방제 수준은 경제적 피해수준의 80%인 4.1마리/엽이었다.

외래해충인 담배가루이의 약제감수성 (Susceptibility of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Homoptera : Aleyrodidae) to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in Korea)

  • 김길하;이영수;이인환;안기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1-58
    • /
    • 2000
  • 본 연구는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B. biotype)의 방제약제를 선발하는 목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43종의 살충제에 대한 발육단계별 감수성을 조사하고,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모든 시험은 살충제의 추천농도(ppm)로 수행하였다. 알에 대해서는 IGR계인 pyriproxyfen과 kiflubenzuron이 95%이상의 부화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3령약충에 대해서는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이 95%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성충에 대해서는 유기인계의 diazinon, fenitrothion, methidathion, pirimiphos-methyl, neonicotinoid계의 acetamiprid, imidacloprid, 혼합제의 acetamiprid+ethofenprox, cartap hydrochloride+buprofezin, fenpropathrin+fenitrothion 기타 abamectin, endosulfan, pymetrozine, spinosad 등이 높은 살충율을 나타내었다.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은 성충에 대해서 잔효 성뿐만아니라 침투이행성효과도 나타내었다. 방제효과시험에서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acetamiprid+ethofenprox 은 처리후 1일째, pyriproxyfen은 처리후 7일째부터 90%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은 담배가루이의 방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