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havioral symptoms

검색결과 410건 처리시간 0.022초

뇌졸중 환자 보호자의 부양부담감 및 우울감과 정신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 (The Relevance of Caregiver Burden, Depressive symptoms and Mental Related Quality of Life in a Stroke Patient's Caregiver)

  • 김민정;김영란;정재훈;이태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08-218
    • /
    • 2017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청주시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7개의 종합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입원환자의 보호자 226명을 대상으로 부양부담감 및 우울감과 정신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고자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자료 수집은 2015년 8월 5일부터 10월 5일까지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행위 특성 및 간병관련 특성, 부양부담감, 우울감에 따른 정신건강관련 삶의 질의 평균점수 비교는 t-test 및 ANOVA로 검정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단계별 투입에 따른 설명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정신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수로는 환자와의 관계, '보호'에 대한 부담감, '개인적 희생'에 대한 부담감, 우울감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결론: 정신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건강관련행위특성, 간병관련 특성에 대한 제도적 보완과 더불어 부양부담감과 우울감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Lomens-P0 (mixed extracts of Hordeum vulgare and Chrysanthemum zawadskii) regulate the expression of factors affecting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s

  • Lee, Yoon Seo;Jeon, Hyelin;Her, Yang-Mi;Lee, Da Eun;Jeong, Yong Joon;Kim, Eun Jeong;Choe, Tae Hwan;Suh, Hee Ju;Shin, Seung-Yeon;Park, Dae Won;Lee, Yeong-Geun;Kang, Se Cha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6호
    • /
    • pp.715-731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Premenstrual syndrome (PMS) is a disorder characterized by repeated emotional, behavioral, and physical symptoms before menstruation, and the exact cause and mechanism are uncertain. Hyperprolactinemia interferes with the normal production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leading to PMS symptoms. Thus, we judged that the inhibition of prolactin hypersecretion could mitigate PMS symptoms. MATERIALS/METHODS: Hordeum vulgare L. extract (HVE),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extract (CZE), and Lomens-P0 the mixture of these extracts were tested in subsequent experiments. The effect of extracts on prolactin secretion at the in vitro level was measured in GH3 cells. Nitric oxide and pro-inflammatory mediator expression were measured in RAW 264.7 cells to confirm the anti-inflammatory effect. Also, the hyperprolactinemic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ICR) mice model was used to measure extract effects on prolactin and hormone secretion and uterine inflammation. RESULTS: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nd prolactin secretion suppress by HVE and CZE were confirmed through in vitro experiments (P < 0.05). Treatment with Lomens-P0 inhibited prolactin secretion (P < 0.05) and restored normal sex hormone secretion in the hyperprolactinemia mice model. In addition,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biomarkers, including interleukin-1𝛽, and -6, tumor necrosis factor-𝛼,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P < 0.01). We use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es to identify tricin and chlorogenic acid as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HVE and CZE that inhibit prolactin secretion. The Lomens-P0, which includes tricin and chlorogenic acid, i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PMS symptoms in the human body. CONCLUSIONS: The Lomens-P0 suppressed the prolactin secretion in hyperprolactinemia mice, normalized the sex hormone imbalance, and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markers in uterine tissue. This study suggests that Lomens-P0 may have the potential to prevent or remedy materials to PMS symptoms.

뇌전증 소아청소년 환아의 부모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Parental Str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Epilepsy)

  • 정벼리;김가은;이향운;김의정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1호
    • /
    • pp.63-71
    • /
    • 2020
  • 본 연구는 뇌전증 소아청소년 환아의 부모 스트레스에 대한 임상 및 심리적 요인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뇌전증이 있는 소아청소년(n=90, age range 6~17 years)을 대상으로 뇌전증 관련 임상 변수를 조사하였고, 환아에게 우울 및 불안 증상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지능검사를 시행하였다. 환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의 스트레스, 부모 불안 및 환아의 주의력 문제, 행동 문제에 대한 설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뇌전증 환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변수들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경향성 분석,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분석으로 단변량 분석을 시행하였고, 부모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 변수를 찾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 상관 분석에서 발작의 치료 기간(r=0.253, p=0.016), 환아의 지능(r=-0.544, p<0.001), 주의력 문제(r=0.602, p<0.001), 우울 증상(r=0.335, p=0.002), 불안 증상(r=0.306, p=0.004), 행동 문제(r=0.618, p<0.001) 및 부모의 불안(r=0.478, p<0.001)은 부모의 스트레스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부모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환아의 행동 문제(β=0.241, p=0.010) 및 지능(β=-0.472, p<0.001) 그리고 부모의 불안(β=0.426, p<0.001)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스트레스에 대해 61.9%의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결 론 뇌전증을 가진 소아청소년 환아에서 부모의 스트레스는 환아의 행동문제와 인지기능 그리고 부모의 불안과 연관성이 높으며 따라서 임상의는 이에 주의를 기울이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뇌전증 환아 부모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뇌전증 환아의 지능과 행동문제를 조기에 평가하고 부모의 불안감에 대해서도 면밀하게 관찰하여 향후 뇌전증 치료에 반영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추적 관찰을 통한 한국 농촌 노인의 수면 장애 예측 (Prediction of Sleep Disturbances in Korean Rural Elderly through Longitudinal Follow Up)

  • 박경미;김우정;최은채;안석균;남궁기;염유식;김현창;이은
    • 수면정신생리
    • /
    • 제24권1호
    • /
    • pp.38-45
    • /
    • 2017
  • 목 적 : 불면 증상을 나타내는 수면 장애는 고령화 현상과 더불어 매우 급격히 증가중인 질환이다. 3년간 추적 관찰한 우리나라 농촌의 60세 이상 노인 코호트를 대상으로 수면 장애의 유병률과 이를 예측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과 노화에 대한 2012년과 2014년의 조사를 통해 두 번 데이터를 얻었다. 뇌졸중, 심근경색증, 협심증, 관절염, 폐결핵, 천식, 백내장, 녹내장, B형 간염, 요실금, 전립선 비대, 암, 골다공증,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대사증후군에 대한 진단 여부를 물었다. 치매선별용 간이정신상태검사를 이용하여 인지 기능을 평가하였고 역학연구 우울척도를 이용하여 우울 증상을 평가하였다. 2015년에는 이 중 235명에게 DSM-IV의 제1축 장애의 구조화된 임상적 면담을 시행하였고 피츠버그 수면 질 척도로 불면증의 정도, 즉 수면 장애를 평가하였다. 또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와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를 시행하였다. 수면장애를 예측하기 위하여 성별, 나이, 교육, 첫 번째와 세 번째 주기의 우울 점수, 공존 질환의 개수, 그리고 현재의 분노 억제 점수와 지각된 스트레스 정도를 설명 변인으로 삼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조사 대상의 27%가 수면 장애를 가지고 있었다. 회귀 분석 결과, 3년 전의 공존 질환 수, 1년 전의 우울 점수 및 현재 지각된 스트레스 정도가 수면 장애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결 론 : 3년 전 측정한 공존 질환과 1년 전 평가한 우울증상이 현재의 수면 장애를 예측할 수 있었다. 공존 질환 및 우울 증상의 치료가 수면 장애를 호전시킬 수 있는지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단가아민 산화제 A CA 반복 유전자 다형성이 한국 알코올의존 남자환자의 행동특성과 임상양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noamine Oxidase A CA Repeat Polymorphism on Behavioral Trait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Korean Male Alcoholics)

  • 이정식;양병환;이경미;김홍관;김용인;채영규
    • 생물정신의학
    • /
    • 제7권1호
    • /
    • pp.64-73
    • /
    • 2000
  • 이 연구는 MAOA CA 반복 유전자다형성에 따라 알코올의존 환자에서 행동 및 성격특성 그리고 임상양상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유전자형과 표현형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 결과 임상양상에서 S군에 비해 L군의 임상양상이 보다 부정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MAOA CA 반복 유전자다형성이 음주양상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영향이 유전자의 직접적인 인과관계로 설명하기는 어렵고 간접적이고 이차적인 영향에 따른 결과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또한, 행동특성에서 L군이 S군에 비해 전체적으로 공격성이 많았고 자기주장적 태도가 강했다. 그리고 MAOA CA 반복 유전자다형성의 대립유전자 길이가 자기주장적 태도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러한 자기주장적 태도를 MAOA CA 반복 유전자다형성의 대립유전자 길이가 부분적으로 설명하고 있었고, 자기주장적 태도가 강한 환자의 경우 길이가 긴 대립유전자를 가질 가능성이 많았다. 공격성도 그 자체가 여러 가지 측면을 가지고 있는 복합적인 행동특성이기 때문에 전체 공격성을 어느 하나의 유전자만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그렇지만 이 연구에서 자기주장적 태도는 분화된 공격성의 한 측면이어서 MAOA CA 반복 유전자다형성이 일부분이지만 설명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어, 연구자들은 이 연구가 향후 유전자형이 공격성 같은 표현형을 설명하는 연구들에 있어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직까지 MAOA CA 반복 유전자다형성과 MAOA 활성도와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고 대사산물과의 관계도 설명이 어려운 실정이어서 향후 이에 대한 연구들이 필요하겠다.

  • PDF

섬망 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 처방 유형에 따른 임상 경과의 차이 (Clinical Course according to Antipsychotics Prescription Pattern in Delirium)

  • 박재섭;김재진;박성종;김성민;박진영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2호
    • /
    • pp.120-128
    • /
    • 2017
  • 연구목적 섬망의 증상을 조절하기위해 일반적으로 항정신병약물이 사용되지만, 투약 기간 및 용법과 같은 처방 양상과 환자의 임상 경과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태이다. 이 연구를 통해 섬망을 경험한 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의 처방 양상에 따라 임상 경과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서울의 일 종합병원에서 섬망으로 자문조정이 의뢰된 입원 환자 중 2016년 7월부터 2017년 2월까지 퇴원한 2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입원 기간, 사망, 인구통계학적 자료 및 임상적 요인을 조사하였고, CAM-ICU를 통해 섬망 지속 기간을 측정하였다. 항정신병약물의 처방 유형에 따라 지속투약군, 최적투약군, 필요투약군으로 나누어 임상 경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항정신병약물을 섬망 회복 후에도 지속적으로 투약 받은 지속투약군은 섬망 증상이 있는 기간에만 투약 받은 최적투약에 비하여 입원 기간 및 섬망 이환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퇴원시 불필요한 항정신병약물 처방을 받은 비율이 높았다. 섬망 이환기간에 비해 짧은 기간 항정신병약물을 사용한 필요투약군은 다른 두 군에 비해 섬망 이환기간이 길고 사망률이 높았다. 결 론 이 연구의 결과는 섬망 이환기간에만 항정신병약물을 투여하는 것이 적절함을 시사한다. 또한 섬망이 회복된 후에 불필요하게 항정신병약물이 처방되는 것을 최소화하기위한 정신건강의학과 자문의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겠다.

임상가를 위한 특집 1 - 턱관절장애의 보존적 치료 (Conservative treatment modalities for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TMJ) disorders)

  • 김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1권2호
    • /
    • pp.74-83
    • /
    • 2013
  • In the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TMJ) disorders, dental practioner should conduct the reversible, conservative, and inexpensive treatment modalities prior to the irreversible and invasive treatment. That is to say, behavioral, pharmacologic, and physical therapy should be conducted firstly, and then the occlusal appliance therapy could be considered. If patients do not react to these conservative treatments, we have to consider surgical treatments. If the accurate diagnosis is confirmed by intimate history taking, clinical and imaging examinations, we can rehabilitate the normal TMJ function and relieve the clinical symptoms with only conservative treatments in most TMJ disorder cases.

Preoperative Extrapontine Myelinolysis with Good Outcome in a Patient with Pituitary Adenoma

  • Zhou, Ying;Zhu, Yicheng;Wang, Wenze;Xing, Bi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9권2호
    • /
    • pp.161-164
    • /
    • 2016
  • Few preoperative extrapontine myelinolysis (EPM) cases with pituitary adenoma have been reported. No such case had long follow-up to see the outcome of EPM. We reported a 38-year-old man complaining of nausea, malaise and transient loss of consciousness who was found to have severe hyponatremia. Neurologic deficits including altered mental status, behavioral disturbances, dysarthria and dysphagia developed despite slow correction of hyponatremia. Endocrine and imaging studies revealed hypopituitarism, nonfunctional pituitary macroadenoma and extrapontine myelinolysis. Transsphenoidal surgery was performed after three weeks of supportive therapy, when neurological symptoms improved significantly. The patient recovered function completely 3 months after surgery. Our case indicates that outcome of EPM can be good even with prolonged periods of severe neurologic impairment.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On Caregiving Self-efficacy among Dementia Caregivers)

  • 최은숙;김경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0-219
    • /
    • 2010
  • Purpose: The study evaluated the determinants of caregiving self-efficacy among dementia caregiv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from dementia sufferers and caregivers by nurses or social workers caring for dementia sufferers at health centers during July to September 2007.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SAS Version 9.1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caregiving selfefficacy. Results: Factors affecting caregiving self-efficacy were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age of dementia sufferer. Conclusion: To increase dementia caregivers' self-efficacy, there is a need to reduce difficulties of dementia caregivers in caring BPSD and increasing the ADL level of dementia sufferers by providing guidelines of care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BPSD and ADL management.

MK-801 투여에 의한 몰핀의존성랫드 뇌선초체중 도파민신경절달물질의 변화 (Changes of the Extracellular Concentrations of Striatal Dopamine and Its Metabolites by MK-801 in Morphine-Dependent Rats)

  • 이선희;신대섭;유영아;류승렬;김대병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6권1호
    • /
    • pp.25-30
    • /
    • 1998
  • The roles of dopamine(DA) and N-methyl-D-aspartate(NMDA) system in the development and expression of morphine dependence were investigated by monitoring the concentrations of extracellular DA and its metabolites by in vivo microdialysis and simultaneous observation of behavioral changes in morphine dependent rats. Extracellular DA level in caudate putamen of morphine-dependent rat was decreased and the concentrations of its metabolites, dihydroxy phenylacetic acid(DOPAC) and homovanillic acid(HVA), were increased during naloxone-precipitated withdrawal. DA contents were recovered to normal levels by pretreatment of MK-801, a noncompetitive NMDA receptor antagonist, which may explain the mechanism of diminishing effect of MK-801 on withdrawal symptoms in morphine-dependent rats. MK-801(0.3 mg/tg, i.p.) induced the untoward hamful neurological signs such as ataxia and severe rotations, which may be produced by hyperactivation of dopaminergic system. These results suggest that MK-801 may inhibit the expression of mophine dependence by altering the dopamine relea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