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ayesian 모형

Search Result 398,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Development of Stochastic Rainfall Downscaling using Bayesian Neyman-Scott Rectangular Pulse Model(NSRPM) (Bayesian NSRP 모형을 이용한 추계학적 Downscaling 기법 개발)

  • Kim, Jang-Gyeong;Ban, Woo-Sik;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9
    • /
    • 2018
  • 추계학적 강우생성모형 중 포아송 클러스터(Poisson Cluster) 모형은 단일지점에 대하여 시간강우량의 관측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강우모형으로 강우 단계별 계층적 구조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모형이다. 특히 강우 특성을 계절, 지역 등과 같이 비교하는 기준에 따라 5~6개의 비교적 적은 매개변수들로 모의 강우시계열을 생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기간 강우분석에 필요한 관측연한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 그러나 매개변수 최적해가 수렴되지 않는 사례가 많고, 매개변수들이 강우의 물리적 특성을 반영하는 것에 비해 내포된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생성모형 중 Neyman-Scott Rectangular Pulse(NSRP) 모형을 Bayesian 모형과 연계한 Bayesian NSRP 모형을 개발하여 매개변수간 물리적 상관성을 고려한 최적화 기법을 개발하였다. Bayesian 모형은 물리적 범위가 다른 매개변수간의 결합확률분포를 산정하여 사후분포(posterior)를 추정하므로 매개변수 최적화와 불확실성 정량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Bayesian NSRP 모형에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통계적 특성을 고려한 시간단위 강우시계열 생성 모의 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Inferential Problems in Bayesian Logistic Regression Models (베이지안 로지스틱 회귀모형에서의 추론에 대한 연구)

  • Hwang, Jin-Soo;Kang, Sung-Cha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4 no.6
    • /
    • pp.1149-1160
    • /
    • 2011
  • Model selection and hypothesis testing problems in Bayesian inference are still debated between scholars. Bayesian factors traditionally used as a criterion in Bayesian hypothesis testing and model selection, are easy to understand but sometimes hard to compute. In addition, there are other model selection criterions such as DIC(Deviance Information Criterion) by Spiegelhalter et al. (2002) and Bayesian P-values for testing. In this paper, we briefly introduce the Bayesian hypothesis testing and model selection procedure. In addition we have applied a Bayesian inference to Swiss banknote data by a fitt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and computing several test statistics to see if they provide consistent results.

Bayesian VAR Analysis of Dynamic Relationships among Shipping Industry, Foreign Exchange Rate and Industrial Production (Bayesian VAR를 이용한 해운경기, 환율 그리고 산업생산 간의 동태적 상관분석)

  • Kim, Hyunsok;Chang, Myunghee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0 no.2
    • /
    • pp.77-92
    • /
    • 2014
  •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analyse dynamic relationship among BDI(Baltic Dry-bulk Index, hereafter BDI), forex market and industrial production using monthly data from 2003-2013. Specifically, we have focused on the investigations how monetary and real variable affect shipping industry during recession period. To compare performance between general VAR and Bayesian VAR we first examine DAG(Directed Acyclic Graph) to clarify causality among the variables and then employ MSFE(mean squared forecast error). The overall estimated results from impulse-response analysis imply that BDI has been strongly affected by other shock, such as forex market and industrial production in Bayesian VAR. In particular, Bayesian VAR show better performance than general VAR in forecasting.

Analysis of torrential rainfall characteristics using 'zero-inflated models' ('0-과잉 모형'을 이용한 집중호우의 발생특성 분석)

  • Kim, Sang U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53-45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의 발생횟수의 경향을 확률적으로 분석함에 있어 1개월 동안 80 mm/day 이상의 강우사상을 집중호우로 정의하여, 대구 및 부산 강우관측소로부터 수집된 384개월 동안의 집중호우를 분석하였다. 집중호우 월별 발생횟수와 같은 형식의 자료의 확률적 분석은 대개 Poisson 분포 (POI)가 사용되나 자료에 포함된 0자료의 과잉은 확률분포를 왜곡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일반화 Poisson 확률분포 (GPD), 0-과잉 Poisson 확률분포 (ZIP), 0-과잉 일반화 Poisson 확률분포 (ZIGP), Bayesian 0-과잉 일반화 Poisson 확률분포 (Bayesian ZIGP)를 집중호우 자료에 적용하고, 5개 모형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였으며, Bayesian ZIGP 모형의 구축에 있어서는 정보적 사전분포를 사용함으로써 모형의 정확도를 개선하였다. 분석결과 분석하고자 하는 자료에 0이 과다하게 포함되어 있는 경우 POI 및 GPD 분포는 관측결과와는 다른 결과를 제시하여 적절한 모형으로 고려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5가지 모형 중 정보적 사전분포를 탑재한 Bayesian ZIGP 모형이 가장 관측 자료와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나 모형의 구축에 수반되는 실용적인 측면을 고려하면 ZIP 모형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는 모형으로 추천되었다.

  • PDF

Uncertainty Assessment of Single Event Rainfall-Runoff Model Using Bayesian Model (Bayesian 모형을 이용한 단일사상 강우-유출 모형의 불확실성 분석)

  • Kwon, Hyun-Han;Kim, Jang-Gyeong;Lee, Jong-Seok;Na, Bong-K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5
    • /
    • pp.505-516
    • /
    • 2012
  • The study applies a hydrologic simulation model, HEC-1 developed by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to Daecheong dam watershed for modeling hourly inflows of Daecheong dam. Although the HEC-1 model provides an automatic optimization technique for some of the parameters, the built-in optimization model is not sufficient in estimating reliable parameters. In particular, the optimization model often fails to estimate the parameters when a large number of parameters exist. In this regard, a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Bayesian Markov Chain Monte Carlo simulation based HEC-1 model (BHEC-1). The Clark IUH method for transformation of precipitation excess to runoff and the soil conservation service runoff curve method for abstractions were used in Bayesian Monte Carlo simulation. Simulations of runoff at the Daecheong station in the HEC-1 model under Bayesian optimization scheme allow the posterior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the hydrograph thus providing uncertainties in rainfall-runoff process. The proposed model showed a powerful performance in terms of estimating model parameters and deriving full uncertainties so that the model can be applied to various hydrologic problems such as frequency curve derivation, dam risk analysis and climate change study.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ravel Mode Choice Model Using the Bayesian Networks of Data Mining (데이터마이닝의 베이지안 망 기법을 이용한 교통수단선택 모형의 설계 및 구축)

  • Kim, Hyun-Gi;Kim, Kang-Soo;Lee, Sang-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2 s.73
    • /
    • pp.77-86
    • /
    • 2004
  •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Bayesian Network for the case of the mode choice models using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house trip survey Data. Sex and age were used lot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 explanation or the mode choic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ode choice and the travellers' soci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by the Bayesian Network. Furthermore, trip and mode's characteristics such as time and fare were also used for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mode choice models were developed. It was found that the Bayesian Network were useful tool to overcome the problems which were in the traditional mode choice models. In particular, the various transport policies could be evaluated in the very short time by the established relation-ships. It is expected that the Bayesian Network will be utilized as the important tools for the transport analysis.

A Comparison Study of Bayesian Methods for a Threshold Autoregressive Model with Regime-Switching (국면전환 임계 자기회귀 분석을 위한 베이지안 방법 비교연구)

  • Roh, Taeyoung;Jo, Seongil;Lee, Ryounghwa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7 no.6
    • /
    • pp.1049-1068
    • /
    • 2014
  • Autoregressive models are used to analyze an univariate time series data; however, these methods can be inappropriate when a structural break appears in a time series since they assume that a trend is consistent. Threshold autoregressive models (popular regime-switching models) have been proposed to address this problem. Recently, the models have been extended to two regime-switching models with delay parameter. We discuss two regime-switching threshold autoregressive models from a Bayesian point of view. For a Bayesian analysis, we consider a parametric threshold autoregressive model and a nonparametric threshold autoregressive model using Dirichlet process prior. The posterior distributions are derived and the posterior inferences is performed via Markov chain Monte Carlo method and based on two Bayesian threshold autoregressive models. We present a simulation study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s. We also apply models to gross domestic product data of U.S.A and South Korea.

Bayesian analysis of insurance risk model with parameter uncertainty (베이지안 접근법과 모수불확실성을 반영한 보험위험 측정 모형)

  • Cho, Jaerin;Ji, Hyesu;Lee, Hangsuc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7 no.1
    • /
    • pp.9-18
    • /
    • 2016
  • In the Heckman-Meyers model, which is frequently referred by IAA, Swiss Solvency Test, EU Solvency II, the assumption of parameter distribution is key factor. While in theory Bayesian analysis somewhat reflects parameter uncertainty using prior distribution, it is often the case where both Heckman-Meyers and Bayesian are necessary to better manage the parameter uncertainty.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e use of Bayesian H-M CRM, a combination of Heckman-Meyers model and Bayesian, and analyzes its efficiency.

A Development of Downscaling Model for Sub-daily Rainfall Based on Bayesian Copula model (Bayesian Copula 모형을 활용한 시간단위 강우량 상세화 기법 모형 개발)

  • Kim, Jin-Young;So, Byung-Jin;Kwon, Duk-Soon;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29-229
    • /
    • 2016
  • 현재 국내외에서 제공되고 있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의 경우 일단위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수자원 설계 및 계획 시 중요한 입력자료 중 하나는 시간단위 강우 자료이다. 이러한 시간단위 자료는 강우-유추 분석, 댐 설계 및 위험도 분석에 있어 중요한 입력 변수중 하나이므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선 신뢰성 있는 상세화 기법이 필요하다. 국내외에서는 일단위에서 일단위로 상세화 하는 기법, 또는 공간상세화 기법 연구는 상당히 진행된바 있는 반면, 시간단위 상세화 기법 연구는 일단위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진한 실정이다. 즉 일단위 상세화 기법의 경우 Weather generator, Weather typing 등 다양한 기법이 존재하고 이를 활용한 연구사례가 많지만, 시간단위 상세화 기법의 Poisson 기법을 활용한 사례가 다수 존재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Bayesian 기법을 도입하여 신뢰성 있는 시간단위 강우량을 생성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연대별로 산정된 결과는 빈도해석을 통해 미래 확률강우량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Bayesian Copula 모형은 기존 주변확률분포(marginal distribution) 매개변수와 Copula 매개변수 추정시 각각 다른 기법을 활용하여 추정하며, 각각 모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은 추정하지 못하는 반면, Bayesian Copula 모형의 경우 매개변수의 사후분포를 정량적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추정되는 확률강우량 역시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장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Uncertainty analysis of the Hydrograph utilizing a Bayesian techniques (Bayesian 기법을 활용한 홍수수문곡선 불확실성 분석)

  • Kim, Tae-Jeong;Kim, Ki-Young;Park, Rae-Gun;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28-528
    • /
    • 2016
  • 신뢰성 있는 수문순환모의를 위해서 다양한 수문모형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수문모형인 강우-유출 모형은 유역에 발생한 강우에 반응하는 유출특성을 평가하는데 이용된다. 강우-유출 과정은 강우량, 유출량, 도달시간 및 토양수분 등과 연관된 매개변수들의 최적화 과정을 통해서 추정된다. 하지만 동일한 강우사상이라도 다양한 매개변수들로 인하여 상당히 다른 유출패턴을 나타내기 때문에 수문순환 과정을 정확히 모의하기 위해서 강우-유출 분석시 불확실성 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불확실성 분석은 통계학에서도 쉽지 않은 연구내용으로서 가장 진보된 불확실성 분석기법인 Bayesian 기법은 매개변수의 추정과 불확실성 분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매개변수들은 사후분포(posterior distribution)로 귀결되며 최종적으로 확률분포형의 형태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단기유출 모형 HEC-1 모형에 Bayesian 기법을 연계하여 대상유역의 도달시간, 저류상수 및 CN No. 최적화 및 불확실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Bayesian 기법을 통한 매개변수 최적화 결과는 안정적인 수렴결과를 확인하였으며, 확률강우량을 입력자료로 사용하여 산정된 빈도별 홍수수분곡선의 불확실성 분석을 통하여 향후 수공구조물의 위험도 분석 및 수자원계획 수립시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