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c surveying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26초

수치근접사진측량에 의한 조경석의 표면 거칠기 정밀측정 (The Precision Measurement of Stone′s Surface Roughness by Digital Close-Range Photogrammetry)

  • 이효성;안기원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 /
    • pp.40-5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Rolleiflex 6006 측정용 카메라로 촬영된 사진과 DCS 420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화상을 이용, 수치근접사진측량을 실시한 후, 조경석의 표면 거칠기 측정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최소제곱법으로 기준평면 또는 기준곡면을 찾아 사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조경석 표면의 연마 이전과 연마 이후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 비교하여 연마후의 거칠기 감소크기를 산출하고, 측정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거칠기가 거의 없는 평면인 돌과 곡면인 돌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한 결과, 그 거칠기를 기대정확도 이상인 각각 $\pm$0.lmm 및 $\pm$0.2mm의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었다. 또한 측정용 카메라인 경우 렌즈왜곡 보정에 있어서 검정자료를 토대로 기준점을 사용하지 않는 직접보정방법인 Newton-Raphson법을 적용하여 기하학적 정확도가 향상된 수치사진화상을 얻을 수 있었으며, DCS 420 디지털 카메라와 윈도우 운영체계인 Visual basic 6.0을 이용하여, 표면 거칠기 측정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연마이전 조경석과 연마이후 조경석에 대한 표면 거칠기 및 형상을 정밀 측정할 수 있는 수치근접사진측량기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Distinct Point Detection : Forstner Interest Operator

  • Cho, Woo-Sug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99-307
    • /
    • 1995
  • 본 논문은 수치영상으로부터 Digital Photogrammetry와 Computer Vision 분야에서 위치결정 및 3차원 정보의 자동추출을 위한 기본단계인 Distinct Point 추출기법중 F rsner interest operate에 관한 연구이다. Gradien에 기초한 Forstner interest operator는 Orientation-invariant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소정의 Subpixel정확도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Fostner interest operator에서 얻어진 Comer Points와 Circular Features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으로 F-test를 적용하였으며 Nosie가 Forstner interest operator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고 실제 사진영상에 Forstner interest operator를 도입하여 실효성에 바탕을 둔 적용 여부를 검증하였다.

  • PDF

Use of Terrestrial Hyperspectral Sensors for Analyzing Spectral Reflectance Characteristics of Concrete

  • Lee, Jin Duk;Lee, Sung Soon;Sim, Jung Bo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5-19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tract spectral reflectance characteristics of concretes through basic experiment on concrete specimens and site experiment on actual concrete structures using a field portable spectrometer and a VNIR hyperspectral sensor. A spectrometer (GER-3700) and a VNIR hyperspectral camera (AisaEagle VNIR Hyperspectral Camera) were utilized for extracting spectral characteristics of concrete specimens. Concretes normally show similar patterns that have correlation above 80%, while the high-strengthened concretes display very different results from the normal-strength concretes. We also made a certain conclusion in the laboratory experiment on concrete specimens that both the spectrometer and the VNIR camera vary in spectral reflectance depending on concrete strengths.

항공 LiDAR 데이터를 도로설계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 (Road design applied to the Air LiDAR data for basic research)

  • 장은석;윤홍식;김용현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63-266
    • /
    • 2010
  • The research design of the road for the LiDAR survey data was available, LiDAR data currently exists for this area Daejeon, Gongju area two map sheet selected of the LiDAR data and figures were produced using the DEM, respectively. The scale 1 / 5, 000 of figures produced by using the DEM and LiDAR DEM data comparing the results produced by the difference in some areas or That could be found. The accuracy of LiDAR data in the road design to use more accurate information on terrain, roads and construction of the linear installation cost savings Contribution will be considered.

  • PDF

센싱데이터와 원단위 산정을 활용한 도시용수 사용량 산정기법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ensing Data and Water Unit Factor Application of Urban Water Demand)

  • 김동문;김성훈;이시형;김의명;박재국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47-34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presenting a methodology to estimate the amount of water to be used in the future by grasping the state of water use in real time based on a statistical analysis using water unit factor application of urban water demand of existing housing, education facilities, and industrial water as well as sensing data by water type. The results of the study would provide in real time the state of water use per water type and the amount of water to be consumed in the futur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decision-making when planning and managing water facilities based on GIS at times water lacks.

  • PDF

스트립 영상을 이용한 KOMPSAT-2 위성 센서모델링 (Sensor Modeling of KOMPSAT-2 Satellite Using Strip Image)

  • 김상필;손홍규;조경훈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7-219
    • /
    • 2010
  • Sensor modeling is the basic step to extract and to use the information from satellite images. Sensor modeling requires ground control points. If we use a single image, we have limitations on modeling about images captured from regions that we can not approach or take GCPs. In this research, we use strip images to do sensor modeling by two methods. At first, we apply sensor modeiling to single image and apply the results by extrapolation. Next, we consider strip images to single image. As a result, we find the second method is more accurate about whole image.

  • PDF

우리나라 정밀 1차 측지망 측량의 성과분석 (Evaluation of the Net Strength and Accuracy of Korea Precise Primary Geodetic Network)

  • 최재화;최윤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24
    • /
    • 1994
  • 우리 나라의 독자적인 원점체계에 의한 정밀 측지망성과의 확립을 위하여 1975년에 착수된 정밀 1차 측지망 사업은 1993년에 제1회 관측이 완료되었으며 1994년에는 일부지역에 대한 보충관측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측지망 측량성과의 정확도 및 측지망 강도를 평가하고자 작업구역별, 블럭별 조정계산을 실시하였다. 조정 및 분석결과, 작업규정 전반에 대한 수정, 보완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정밀측지망의 실용성과 산정에 필수적인 기초자료가 확보되었다.

  • PDF

우리나라 삼각점 실용성과 산정에 관한 연구 (A Basie Scheme about the Determination of Official Coordinates of Geodetic Control Points in Korea)

  • 최재화;김세걸;최윤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3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새로운 측지자표계와 준거타원체의 설정 및 국가기준점(삼각점)의 실용성과 산출에 관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밀 1차, 2차 기준점측량성과를 기초로 한 삼각점 실용성과갱신(부분갱신)의 기본 방향도 제시하였다.

  • PDF

이동평균법과 선형예측법을 이용한 수치지형의 보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polation of DTM Applying Moving Average and Linear Prediction Method)

  • 이석찬;조규전;최병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8-71
    • /
    • 1986
  • 수치지형모형 (DTM)은 지형정보의 추출과 보간의 두 분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이중, 보간에 관심을 두고 이동평균법과 선형예측법의 두 보간방법을 수치시험에 그의 정확도 및 효율성을 비교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본입력자료로는 사진측량에 의하여 얻어진 정규격자망 형태의 표고값을 이용하였으며. 격자의 간격, 지형의 종류, 보간에 이용되는 기준점의 형태에 따른 정확도 및 효율성이 연구 조사되었다.

  • PDF

Status and Development of Geomatic s in China

  • Li, Li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2년도 창립 20주년기념 국제학술대회
    • /
    • pp.17-24
    • /
    • 2002
  • Mechanization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industrial era and computerization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Information Era. Now we are facing on the transition from Industrial Era to information Era. Established the National Geo-spatial Data Infrastructures is the fundamental base for information society and is one part of the national basic economic development plan. From 1980's China started his successful transition from traditional methods to high-tech based mapping. China has laid out a high accuracy national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network, and completed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bases for scale of 1:1million and 1:250,000. Now it is working on the databases for scales of 1:50,000 and 1:10,000, the world highest level. The massive national programmed has been dubbed "Digital China," since it involves massive quantities of digitized geographical information. Simultaneity, GIS technology and the geo-spatial data have been used widely in electronic government affair, environmental protection, disaster control, ITS and etc. The users have realized the benefits more and more widely. Internet is an efficient way to distribute the geo-information, the State Bureau of Surveying and Mapping has give great effort to settle down the rules and standards to establish the clearing house. Some National Geo-standards have issued, and some of them are on the way. The GIS software is another important factor in the GIS industry. Chinese government working-out some good policy to supports the GIS software developer to have their own copyright. This paper is based on the above to introduce the status and development of Geomatics in China. in Chin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