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c mathematical ability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3초

중국의 대학입학 수학 시험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hinese National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in Mathematics)

  • 남진영;정연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1호
    • /
    • pp.1-1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2009년과 2010년에 시행된 중국 대학입학 수학 시험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대학입학시험인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중국의 일반계 고등학교 수학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중국의 대학입학 수학 시험은 수학 기초 지식과 대학 수학을 위한 수학적 소양을 다면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과 시험과 문과 시험으로 나뉘어 실시되며, 선택형, 단답형, 서술형 문항이 출제된다. 이 시험에서 평가하고자 하는 수학적 사고 능력은 사유능력, 연산능력, 공간상상 능력, 실천능력, 창의적 사고능력이다. 중국 대학입학 수학시험의 분석 결과, 대학수학능력시험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위 문항의 출제, 복수의 정답을 지닌 선택형 문항의 출제, 수리 '가'형과 '나'형에서 공통으로 출제되는 문항의 배열과 배점을 달리하는 것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시각화를 이용한 증명교육

  • 강미광;김명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4권5호
    • /
    • pp.527-545
    • /
    • 2008
  • One of the education purpose of the section "Figures" in the eighth grade is to develop students' deductive reasoning ability, which is basic and essential for living in a democratic society. However, most or middle school students feel much more difficulty or even frustration in the study of formal arguments for geometric situations than any other mathematical fields. It is owing to the big gap between inductive reasoning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nd deductive reasoning, which is not intuitive, in middle school education. Also, it is very burden for students to describe geometric statements exactly by using various appropriate symbols. Moreover, Usage of the same symbols for angle and angle measurement or segments and segments measurement makes students more confused. Since geometric relations is mainly determined by the measurements of geometric objects, students should be able to interpret the geometric properties to the algebraic properties, and vice verse. In this paper, we first compare and contrast 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approaches to justify geometric facts and relations in school curricula. Convincing arguments are based on experiment and experience, then are developed from inductive reasoning to deductive proofs. We introduce teaching methods to help students's understanding for deductive reasoning in the textbook by using stepwise visualization materials. It is desirable that an effective proof instruction should be able to provide teaching methods and visual materials suitable for students' intellectual level and their own intuition.

  • PDF

토의식 수업을 적용한 수준별 소집단 협력학습이 학력신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Debate Studies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in Ability Group to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Learning Ability.)

  • 김성국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91-101
    • /
    • 2001
  • Nowadays the number of students that is losing their interest as well as learning desire in mathematics is increasing because of lack of logical thought creative power and abstract expression that present-day mathematics requires by reason of discrepancy of extreme scholastic ability by speciality of mathematics. In these conditions, we reduce the number of learning depression by bringing about learning desire or learning interest on mathematics, and students learn effective learning methods to be voluntary learning of discovery themselves that studies basic concepts, principles, rules through logical thought of students to solve difference of scholastic ability, thus we assumed that debate studies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in ability group would be one of ways to improve learning power, so the results of our research are as follows; 1. Debate studies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were very effective because of reinforcing the achivement level of students. 2. By this learning method, an individual or cooperrative learning was fostered, and lively discussions were accomplished. And learning attitudes of students were changed by the extension of cooperative learning abilities through advices or by themselves. 3. A personal opinion is payed regard by accepting an individual idea in the process of making questions. Learners can correct wrong concepts in the process of correcting wrong answers. So if we apply above-mentioned studies with easy contents from the lower grades, the effectiveness would increase as learners go to the higher grad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arious researches as follow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riented coopperative debate studies is effective to find solutions to mathematical problems." If small group activities are applied in the educational situation to search the course of a desirable cooperation learning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to improve scholastic abilities for a discoverable problem-solving power. I think that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riented cooperative debate studies is one of the most desirable methods to increase the problem-solving ability.

  • PDF

초등 수학 4-나 단계 6, 7, 8 단원 교사용 지도서의 재구성 (A Reconstructed Version of Teachers' Manual of Elementary Mathematics for Units 6, 7 and 8, Textbook 4 na)

  • 김해규;김현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47-177
    • /
    • 2006
  •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 존중'의 정신을 기본적인 방향으로 설정하고, '수학적인 힘'을 기르는 것을 수학과의 우선적인 목표로 진술하고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교사들에게 제공되어지는 교사용 지도서가 학교 현장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4-나 단계 6, 7, 8 단원의 수학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지도 방법과 활동 내용을 보다 더 상세하게 제시하고, 보조적인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교사용 지도서를 재구성하였다. 이를 학교 현장에 적용한 후 교사와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재구성한 교사용 지도서의 미흡한 점을 수정 보완하여, 보다 더 개선된 교사용 지도서를 제시하였다.

  • PDF

Computer나 Calculator를 이용한 계산에서 오류 교정을 위한 어림셈 지도에 관한 연구

  • 강시중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29권1호
    • /
    • pp.21-34
    • /
    • 1990
  • This is a study on an instruction of estimation for error correction in the calculation with a computer or a calculato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rvey a new aspect of calaulation teaching and the teaching strategy of estimation and finally to frame a new curriculum model of estimation instruction. This research required a year and the outcomes of the research can be listed as follows: 1. Social utilities of estimation were made clear, and a new trend of calculation teaching related to estimation instruction was shown. 2. The definition of estimation was given and actual examples of conducting an estimation among pupils in lower grades were given for them to have abundant experiences. 3. The ways of finding estimating values in fraction and decimal fraction were presented for the pupils to be able to conduct an estimation. 4. The following contents were given as a basic strategy for estimation. 1) Front-end strategy 2) Clustering strategy 3) Rounding strategy 4) Compatible numbers strategy 5) Special numbers strategy 5. In an instuction of estimation the meaning, method. and process of calculation and calculating algorithm were reviewed for the cultivation of children's creativity through promoting their basic skill, mathema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6. The following contents were also covered as an estimation strategy for measurement 1) Calculating the sense of quantity on the size of unit. 2) Estimating the total quantity by frequent repetition of unit quantity. 3) Estimating the length and the volume by weighing. 4) Estimating unknown quantity based on the quatity already known. 5) Estimating the area by means of equivalent area transformation. 7. The ways of instructing mental computation were presented. 8. Reviews were made on the curricular and the textbook contents concerning estimation instructions both in Korea and Japan. and a new model of curriculum was devised with reference to estimation instruction data of the United States.

  • PDF

수학노트 활용 사례에 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Usage of Mathematics Notes in Elementary School Classes)

  • 장윤선;김성준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7-83
    • /
    • 2013
  • 본 연구는 학교수학과 수학적 의사소통을 연계하기 위한 방안으로 초등학교 현장교사들이 수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학노트의 활용 사례를 살펴본다. 수학적 의사소통은 말하기, 듣기, 읽기 활동까지를 포괄하지만 여기서는 수학적 쓰기 활동, 특히 수학노트의 활용과 관련된 목적과 필요성, 유형 등에 대해 알아본다. 이를 위해 교사들과의 면담과 서술형 설문지를 통해 수학노트의 사용 이유, 수학노트에 담을 내용, 수학노트 사용에 따른 변화 등에 대한 교사들의 전반적 인식을 살펴본다. 본 연구는 교사들에게 수학적 사고력 또는 계산 능력의 신장을 포함한 수학노트의 활용 효과와 그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수학노트 사용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 검사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Readiness Inventory for Preschoolers)

  • 방소영;황혜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1호
    • /
    • pp.29-4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the definition of school readiness specific to the contex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school readiness tes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nabl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to determine the general readiness of preschoolers and provide support to fit individual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six stages of the school readiness development process were considered, that is, draft development, primary preliminary survey, primary expert verification, secondary expert verification, secondary preliminary survey, and main survey. In the main survey, 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 school readiness final draft targeting 344 preschooler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The item discrimination power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for the examination area and question area were also conducted. Consequently, a test tool was developed on the basic of the results obtained, consisting of 129 items in the five areas of knowledge, function, adaptation, tendency, and attitude. The knowledge area was divided into general, linguistic, and mathematical knowledge, and the function area into fine motor function, basic living ability, expressive function, and gross motor function. The adaptation area was classified into adaptation activity, separation anxiety, maladaptive behavior, and environment adaptation; the tendency area into learning tendency; others understanding, and individual tendency, and the attitude area into rule compliance and life habits.

대학수학에서, 자기주도 수학학습 (Toward Self-Directed Math Learning in College Math Classes)

  • 김병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563-585
    • /
    • 2010
  • 대학수학교육에서 학생들이 자기주도 수학학습방법을 깨우쳐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갖도록 하는 자기주도 수학학습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위한 연구욕구를 진단할 수 있는 내재적, 외재적 동기와 집중능력,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있으며, 학습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목표세우기와 계획능력이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인 학습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집중능력, 습관, 스트레스, 수학적 가치, 자기주도능력이 필요하고 학습전략의 선정과 실천을 위해서는 필기, 예습과 복습, 시간관리, 시험관리에 대한 전략을 세우고 이를 실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대학수학에서 자기주도 수학학습에 필요한 요인과 Knowles(1975)의 자기 주도적 학습 5단계모형인 학습욕구 진단, 학습목표 설정, 학습을 위한 인적 및 물적 자원 파악, 적절한 학습전략 선정 및 이행, 학습 결과 평가를 수정 보완하여 자기주도수학학습모형을 개발하였다.

수학적 사고력에 관한 인지신경학적 연구 개관 (A Review of the Neurocognitive Mechanisms for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 김연미
    • 인지과학
    • /
    • 제27권2호
    • /
    • pp.159-219
    • /
    • 2016
  • 수학적 사고력은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분야에서의 학업적인 성취와 과학기술의 혁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제 간 연구 분야인 수 인지(numerical cognition) 및 수학적 인지와 관련된 최근의 인지신경학적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개관하였다. 첫째로 수학적 사고의 기초가 되는 뇌 기제의 위치와 정보처리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수학적 사고는 영역 특정적(domain specific)인 기능인 수 감각과 시공간적 능력뿐만 아니라 영역 일반적(domain general)인 기능인 언어, 장기기억, 작업 기억(working memory) 등을 기초로 하며 이를 토대로 추상화, 추론 등의 고차원적인 사고를 한다. 이 중에서 수 감각과 시공간적 능력은 두정엽(parietal lobe)을 기반으로 한다. 두 번째로는 수학적 사고 능력에서 관찰되는 개인 차이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수학 영재들의 신경학적인 특성을 신경망 효율성(neural efficiency)의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높은 지능이란 두뇌가 얼마나 많이 일하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효율적으로 일하는가에 달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수학 영재들의 또 다른 특성은 좌반구와 우반구 간의 연결과 반구 내에서 전두엽과 두정엽의 연결이 뛰어나다는 사실이다. 세 번째로는 학습과 훈련, 그리고 성장에 따른 변화 및 발전에 대한 분석이다. 개인이 성장하며, 수학 학습과 훈련을 하게 될 때 이에 따라 두뇌 피질에서도 변화가 반영되어 나타난다. 그 변화를 피질에서의 활성화 수준의 변화, 재분배, 구조적 변화라는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이 중에서 구조적 변화는 결국 신경 가소성(neural plasticity)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수학적 창의성은 수학적 지식(개념)을 기초로 하여 수학적 개념들을 결합하는 단계가 요구되며, 그 후 결합된 개념들 중에서 심미적인 선택을 통해 수학적 발명(발견)으로 연결된다. 전문성이 높아질수록 결합과 선택이라는 두 단계가 더욱 중요해진다.

웹 구축 보조 시스템에 대한 GUI 객체 감지 및 대규모 언어 모델 활용 연구 (A Study on the Web Building Assistant System Using GUI Object Detection and Large Language Model)

  • 장현철;장형국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30-833
    • /
    • 2024
  • As Large Language Models (LLM) like OpenAI's ChatGPT[1] continue to grow in popularity, new applications and services are expected to emerge. This paper introduces an experimental study on a smart web-builder application assistance system that combines Computer Vision with GUI object recognition and the ChatGPT (LLM). First of all, the research strategy employed computer vision technology in conjunction with Microsoft's "ChatGPT for Robotics: Design Principles and Model Abilities"[2] design strategy. Additionally, this research explores the capabilities of Large Language Model like ChatGPT in various application design tasks, specifically in assisting with web-builder tasks. The study examines the ability of ChatGPT to synthesize code through both directed prompts and free-form conversation strategies. The researchers also explored ChatGPT's ability to perform various tasks within the builder domain, including functions and closure loop inferences, basic logical and mathematical reasoning. Overall, this research proposes an efficient way to perform various application system tasks by combining natural language commands with computer vision technology and LLM (ChatGPT). This approach allows for user interaction through natural language commands while building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