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al area model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81초

부천시 산림지역 아까시나무림 식물군집구조를 고려한 식생 관리 모델 (Model of Plant Management on Consideration of Plants Community Structure in Robinia pseudo-acacia Forests, Bucheon City)

  • 이경재;한봉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8-37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del of plant management based on Robinia pseudo-acacia forests structure in Bucheon city, Korea. For 38 plots were established in Robinia pseudo-acacia forest of Bucheon city. As a result,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was expected to the proceeded to Quercus spp. community. In addition, the diversity of Robinia pseudo-acacia-Quercus spp. community was analyzed higher than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Based on the result of forest structure analysis, Quercus spp. community was selected as the goal stage of plant management for Bucheon forests and 22 species that were selected by the importance value analysis,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were chosen as the ecological approprite species. This study also suggested density control guide line for sucession promotion, which individuals numbers of Robinia pseudo-acacia might be reduced from 50 individuals to 23 individuals by selective cutting in order to keep 65% of total basal area.

  • PDF

우리나라 주요 침엽수종의 최적 경쟁지수 모형 선정 (Selecting the Optimal Method of Competition Index Computation for Major Coniferous Species in Korea)

  • 이정호;이대성;서영완;최정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2호
    • /
    • pp.193-204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침엽수종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을 대상으로 거리종속 경쟁지수 모델 및 경쟁목 선정방법에 따른 최적 경쟁지수 모형을 선발하고, 수종별 간벌강도 및 입목밀도에 따른 경쟁지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용자료는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국유림 내 분포하는 소나무림, 잣나무림, 낙엽송림을 대상으로 각 2회씩 조사된 표준지 80개소의 총 240개 시험구 내 입목정보를 활용하였다. 경쟁지수가 산출된 입목 수는 수종별로 소나무 1126본, 잣나무 4093본, 낙엽송 3399본 이었다. 최적 경쟁지수 모형 선정을 위하여 흉고단면적 정수, 수고 및 지하고의 각도를 이용하여 경쟁목을 선정하는 방법을 고려하였으며, 기존 Lorimer, Martin-EK, Braathe, Heygi, Daniels 모델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Modified Daniels 모델까지 총 6가지 경쟁지수 모델을 비교하였다. 최적 모형 선정을 위한 상관분석 결과, 흉고단면적 정수 $4m^2/ha$를 이용한 경쟁목 선정방법과 Modified Daniels 경쟁지수 모델이 이용된 모형에서 가장 좋은 상관이 나타나 최종적인 모형으로써 경쟁지수가 산출되었다. 임분특성에 따른 경쟁지수를 파악한 결과,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모두 간벌강도가 강할수록 입목밀도가 낮을수록 경쟁지수는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영천 측백림의 직경 및 흉고단면적 생장추정 (Estimation of Diameter and Basal Area Growth Pattern for Thuja orientalis Stand Grown in Yeongcheon)

  • 이상현;이회선;김현;최수임;조영진;임호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1호
    • /
    • pp.29-33
    • /
    • 2007
  •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62호)인 충북 영천리 측백나무(Thuja orientalis)림의 직경과 흉고단면적 생장모형을 추정하여 측백림의 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45본의 표준목을 선발하여 생장추를 이용하여 목편을 채취한 후 기초(non-overlapping) data와 데이터 재배열을 통한 overlapping data를 이용하여 최적의 흉고직경과 흉고단면적 추정식을 선정하였다. 동형 및 다형의 비선형 생장식을 데이터에 적합한 결과 overlapping data를 이용한 다형 방정식이 우수한 적합성을 보였다. 흉고직경 생장은 Schnmacher 다형 방정식인 $D_2={\exp}({\ln}(D_1)(T_1/T_2)^{0.4495}+3.8535(1-(T_1/T_2)^{0.4495}))$, 흉고단면적 생장은 Schnmacher 다형 방정식인 $BA_2={\exp}({\ln}(BA_1)(T_1/T_2)^{0.1235}+11.3793(1-(T_1/T_2)^{0.1235}))$가 가장 우수한 식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측백림의 흉고직경과 흉고단면적 생장식은 천연기념물인 측백림의 관리 경영에 필요한 정보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Quantifying Litterfall Input from the Stand Parameters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Stands in Gyeongnam Province

  • Kim, Choonsig;Baek, Gyeongwon;Choi, Byeonggil;Baek, Gyeongrin;Kim, Hoji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569-576
    • /
    • 2021
  • This study developed an estimation model for litterfall input using the stand parameters (basal area, stand density, mean DBH, and carbon stocks of the aboveground tree biomass) collected from the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stands of seven regions in Gyeongsangnam-do. The mean annual litterfall was 2,779 kg ha-1 year-1 for needles, 883 kg ha-1 year-1 for miscellaneous, 611 kg ha-1 year-1 for broadleaved, 513 kg ha-1 year-1 for branches, and 340 kg ha-1 year-1 for bark litter. The mean annual total litterfall was 5,051 kg ha-1 year-1. Litterfall componen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tand parameters, except for broadleaved litter. A stronger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carbon stock of the aboveground tree biomass and all the litterfall components compared with the other stand variables. The allometric equations for all the litterfall components were significant (P < 0.05), with the stand parameters accounting for 5%-43% and 8%-42% of the variation in the needle litter and total litterfall,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nnual litterfall inputs of the Korean red pine stands on a regional scale can be effectively estimated by allometric equations using the basal area and carbon stocks of the aboveground tree biomass.

A simple model for ground surface settlement induced by braced excavation subjected to a significant groundwater drawdown

  • Zhang, Runhong;Zhang, Wengang;Goh, A.T.C.;Hou, Zhongjie;Wang, Wei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6권6호
    • /
    • pp.635-642
    • /
    • 2018
  • Braced excavation systems are commonly required to ensure stability in construction of basements for shopping malls, underground transportation and other habitation facilities. For excavations in deposits of soft clays or residual soils, stiff retaining wall systems such as diaphragm walls are commonly adopted to restrain the ground movements and wall deflections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surrounding buildings and utilities. The ground surface settlement behind the excava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magnitude of basal heave and the wall deflections and is also greatly influenced by the possible groundwater drawdown caused by potential wall leakage, flow from beneath the wall, flow from perched water and along the wall interface or poor panel connections due to the less satisfactory quality. This paper numerically investigates the influences of excavation geometries, the system stiffness, the soil properties and the groundwater drawdown on ground surface settlement and develops a simplified maximum surface settlement Logarithm Regression model for the maximum ground surface settlement estimation. The settlements estimated by this model compare favorably with a number of published and instrumented records.

난지도 매립지 일대의 지하수위 분포 추정을 위한 복합 크리깅의 응용 (Application of Cokriging for the Estimation of Groundwater Level Distribution at the Nanjido Waste Landfill Area)

  • 정상용;이강근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58-63
    • /
    • 1995
  • 난지도 매립장의 기저침출수위 분포와 그 주변지역의 지하수위 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복합크리깅을 이용하였다. 지하수위 분포는 지형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어서 지형의 변화가 큰 지역에서 지하수위 분포를 추정할 때에는 지형의 표고 자료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낸다. 본 연구에서는 87개의 지하수위 자료와 144개의 표고자료에 대한 반베리오그램을 구하고, 그것의 적합한 모델을 교차타당성 조사에 의해 선정한 후 복합크리깅과 정규크리깅을 이용하여 지하수위 분포도 만들었다. 2개의 지하수위 등고선도를 비교해보면 지하수위 자료가 많이 확보된 매립장내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나, 지하수위 표본자료가 부족하고 지형의 변화가 큰 지역(등고선도의 좌상단 구역)과 지하수위 표본자료가 부족한 한강 인접지역에서 끈 차이를 보인다. 이 구역들에서 지형의 표고를 고려해볼 때,복합크리깅에 의한 지하수위 등고선도가 정규크리깅에 의한 지하수위 등고선보다 더 실제에 가까운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국가산림자원조사를 이용한 혼효림의 입지환경 탐색 및 임분수확량 추정 (Detection of Site Environment and Estimation of Stand Yield in Mixed Forests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 정성엽;임종수;이선정;송정은;박효근;이정빈;염규진;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1호
    • /
    • pp.83-92
    • /
    • 2023
  •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혼효림에 대한 산림 입지조건을 탐색하고 임분의 생장 및 수확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혼효림의 생장은 흉고직경, 수고, 흉고단면적을 변수로 하는 Chapman-Richards 모델을 적용하여 식을 도출하였으며, 수확량은 흉고단면적, 지위지수, 임령, 입목밀도 등의 인자를 단계적회귀분석 적용으로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국내 혼효림은 다양한 입지에 생육하고 있었는데, 기후대별로는 온대중부권역에 과반수 이상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해발고별로는 101~400 m 지역에 약 62%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령을 설명변수로 하는 혼효림 생장모형의 적합도(FI)는 흉고직경 0.32, 수고 0.22, 흉고단면적 0.18로 도출되어, 다소 낮은 적합도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추정식의 실측치와 추정치 간의 관계 그래프 및 잔차 등을 고려할 때, 임령을 설명변수로 이용하는 추정모형의 사용은 특별한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혼효림의 수확모형은 여러 생장인자 중 흉고단면적(BA), 지위지수(SI), 임령(Age)이 단계적으로 투입되는 회귀식 Stand volume =-162.6859+6.3434 ∙ BA+9.9214 ∙ SI+0.7271 ∙ Age이 도출되었으며, 식의 설명력 (R2)은 약 96% 였다. 앞서 도출된 최적의 생장 및 수확모형을 이용하여 임시 임분수확표가 만들어 졌다. 또한 임시 임분수확표 자료를 활용하여 혼효림의 재적수확최대벌기령을 도출하였다.

한열변증과 체형 및 체성분의 연관성 분석 - 50세 이상 장년 및 노년층을 대상으로 (Association of Cold-heat Pattern and Anthropometry/body Composition in Individuals Between 50-80 Years of Age)

  • 문수정;박기현;이시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09-214
    • /
    • 2020
  • The association of cold-heat (CH) pattern and anthropometry/body composition has been suggested in that they are related to thermoregulation. We aimed to study the association of CH pattern and anthropometry/body composition. A total of 1479 individuals aged 50-80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their CH pattern were evalua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sex, the CH scor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eight, BMI (body mass index), body surface area, waist-hip ratio, fat free mass, body fat mass, body cell mass, intracellular water, extracellular water, and basal metabolic rate; howev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mostly low (0.15-0.24). The selected variables for predicting CH score were various according to the methods used for variable selection; however, the adjusted R-squared of the final models were all around 0.12. Thus the most parsimonious model could be the one that includes sex and BMI. In conclusion, various anthropometry and body composition indices were associated with CH pattern. Future studies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rediction model.

중국(中國) 동북부(東北部) 지방(地方) 활엽수(闊葉樹)-잣나무 천연림(天然林)의 생장(生長) 모델과 수확(收穫) 모델 개발(開發) (The Development of Growth and Yield Models for the Natural Broadleaved-Korean Pine Forests in Northeast China)

  • 이봉일;최정기;김지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5호
    • /
    • pp.650-662
    • /
    • 2001
  • 이 연구는 중국 동북부 활엽수-잣나무 천연림의 다섯 가지 임형에 대하여 임분의 생장 모델과 수확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자료는 43년생부터 364년생 범위에 이르는 임분에서 0.06ha에서 1.0ha 크기의 359개 임시 표본구와 58I개의 영구 표본구에서 수집되었다. 입지조건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위급지수(Site Class Index; SCI)플 도입하였고, 천연혼효림의 임분밀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관경쟁지수(Crown Competition Factor; CCF)를 채택하였다. SCI 공식과 수고-직경 곡선 모델은 Chapman-Richards 함수를 이용하였고, 흉고직경, 흉고단면적, 및 임분재적 모델의 개발은 Schumacher의 생장함수를 기본 모델로 선정하였다. 평균 흉고직경과 흉고단면적 생장 모델에서 Schumacher 함수의 점근매개변수 A는 입지조건(SCI)과 임분밀도(CCF)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율매개변델수 k는 임분밀도와 관계가 있었고 입지조건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생장 모델과 수확 모델로써 예측된 임분 제원들을 평가하기 위하여 별개의 임분 자료를 이용하여 유효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 결과, 예측치의 상대평균오차(RME)는 ${\pm}5%$ 미만으로 산출되었고 임분 변수들의 정확도는 모두 95%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Lotus leaf alleviates hyperglycemia and dyslipidemia in animal model of diabetes mellitus

  • Kim, Ah-Rong;Jeong, Soo-Mi;Kang, Min-Jung;Jang, Yang-Hee;Choi, Ha-Neul;Kim, Jung-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3호
    • /
    • pp.166-17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otus leaf on hyperglycemia and dyslipidemia in animal model of diabetes. Inhibitory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lotus leaf against yeast ${\alpha}$-glucosidase was measured in vitro. The effect of lotus leaf on the postprandial increase in blood glucose levels was assessed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A starch solution (1 g/kg) with and without lotus leaf extract (500 mg/kg) was administered to the rats after an overnight fast, and postprandial plasma glucose levels were monitored. Four-week-old db/db mice were fed a basal diet or a diet containing 1% lotus leaf extract for 7 weeks after 1 week of acclimation to study the chronic effect of lotus leaf. After sacrifice, plasma glucose, insulin, triglycerides (TG), total cholesterol (CHOL), high-density lipoprotein (HDL)-CHOL, and blood glycated hemoglobin levels were measured. Lotus leaf extract inhibited ${\alpha}$-glucosidase activity by 37.9%, which was 1.3 times stronger than inhibition by acarbose at a concentration of 0.5 mg/mL in vitro. Oral administration of lotus leaf extrac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rea under the glucose response curve by 35.1% compared with that in the control group (P < 0.01). Chronic feeding of lotus leaf extract significantly lowered plasma glucose and blood glycated hemoglobin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Lotus leaf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plasma TG and total CHOL and elevated HDL-CHOL levels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we conclude that lotus leaf is effective for controlling hyperglycemia and dyslipidemia in an animal model of diabetes melli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