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ge-in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233초

Selection of Architect Engineering Concept for Barge Mounted SMR Using Systems Engineering Approach

  • Hossen, Muhammed Mufazzal;Owino, Ohaga Eric;Jung, J.C.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0권1호
    • /
    • pp.17-32
    • /
    • 2014
  • The trade-off studies in the concept development stage to assess the relative goodness of alternative systems concepts for AE (architect engineering) design for the Barge Mounted SMR (BMSMR) is introduced. With respect to design margin, system performance, schedule and risk, the design selection is cond ucted using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barge mobility, system safety under the natural disaster (seismic), power output, interfacing with the other system, and the additional supporting functions as desalination. There are three findings that should be remedied; deficiencies in the assumed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being modeled, deficiencies in the test model, and excessively stringent system requirements. This study is performed using systems engineering approach with trade off matrix method. In order to execute this work, concept development stage is divided into three (3) phases as NA (needs analysis), CE (concept exploration), and CD (concept definition).

바아지선에 작용하는 정상표류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eady Drift Forces on Barge)

  • 조효제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3권1호
    • /
    • pp.38-45
    • /
    • 1997
  • The steady drift forces on a barge in waves are investigated. The steady drift forces due to a near-field method which is based on direct integration of the pressure acting on the submerged surface of barge are compared with those due to far-field method which is based on the theory of momentum conservation. Numerical results of the linear motions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and numercal ones which was submitted in the literature. A convergence of the steady drift force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panels which represent the submerged surface are discussed.

  • PDF

파랑중 부선의 침로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urse Stability of a Barge in Waves)

  • 이상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30-437
    • /
    • 2018
  • 파랑중을 항행하는 선박에는 저항증가와 함께 파랑에 의한 횡력 및 회두모멘트가 정수중과 다르게 작용하여 선박의 조종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파랑에 의해 발생하는 횡력 및 회두모멘트를 추정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치계산을 이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FD를 이용하여 정수중 및 파랑중에서 부선에 작용하는 유체력 계산을 위한 수치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최종적으로 파랑중 부선의 침로안정성 특성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다. 정수중보다는 파랑중에서 부선에 작용하는 유체력이 강해지고 있으며, 파랑중에서도 파장이 길어질수록 유체력이 커지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장파장 영역에서는 yaw damping lever의 (-) 값이 정수중보다 커지고 있으나, 단파장 영역과 파장이 선박길이와 일치하는 영역에서는 각각 작아지고 있어서 이 영역에서는 침로안정성이 향상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즉 장파장 영역에서는 침로안정성이 정수중 및 단파장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나빠지고 있으므로 항행시 주의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해상풍속측정용 마스트의 충격해석에 관한 연구

  • 이강수;김만응;손충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8-10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바지선에 의해 발생하는 해상풍속측정용 마스트 구조물의 충격손상을 최소화 시키기 위한 것이다. 마스트와 바지선 사이의 충격은 보통 복잡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충격해석은 상용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NSYS LS-Dyna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바지선속을 변화시켜 다양한 상태의 하중케이스를 고려하였고 충격방지고무의 비선형성을 고려한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변형률 에너지, 전체 변형량, 플라스틱 변형률, 내부충격에너지, 영구손상된 변형량 등을 검토하였다. 해상상태조건인 해양파의 운동과 바지선의 상하방향 운동을 무시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충격속도에 변화에 따른 영구변형을 확인한 후 자연고무, 복합고무, 네오프렌 등의 고무시험 물성치로부터 구한 Mooney-Rivlin 상수를 적용하여 적절한 충격방지고무의 두께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구조물의 두께와 충격방지고무의 두께비에 대한 경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설계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추후 해상조건을 고려한 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 PDF

풍하중에 의한 바지선의 예인 시 거동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wing Characteristics of Barge Considering Wind Force)

  • 남보우;최영명;홍사영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83-290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numerical study on the towing characteristics of a barge under various wind conditions. First, stability criteria, including the wind force, were derived based on the linear motion equations of a towed vessel. The effect of the wind force on the towing stability was investigated using stability criteria. Next, towing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using a nonlinear time-domain simulation method. In this case, the towline was modeled as a simple spring-damper, and the wind force was computed using the wind coefficient from CFD calculations. Simulations were conducted for a barge under a constant towing speed and constant wind speed conditions. The effect of the wind direction on the slewing motion was also observed. In addition, a series of numerical simulations using variable wind speeds were performed for the present barge with and without a skeg.

연약지반상에서 수륙양용선을 활용한 지반조사 사례 (A Case Study on amphibious barge on soft soils)

  • 윤태정;차영만;이근하;최충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41-1244
    • /
    • 2005
  • In this case study, the field investigation work on soft soils like a reclamation area with dredged-clay or intertidal mud flat which has not enough strength to resist the load of surveying machines, the amphibious barge(modified AMFIROL) which travels on land and water was adopted to the field investigation work. Despite of slight increase of cost, it was found that the adoption of amphibious barge in field investigation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test results and avoid the waste of time and some effort.

  • PDF

바아지식 초대형 부유 구조물의 유탄성 응답 해석 (A Hydroelastic Response Analysis of a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of Barge-Type in Waves)

  • 구자삼;조효제;김병현;이창호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2권2호통권28호
    • /
    • pp.43-56
    • /
    • 1998
  • A barge-type structure has been recently watched since The Floating Structures Association of Japan proposed the new concept as the most suitable one of floating airports. In this paper, the method, which is based on a combination of a three-dimensional source distribution method and the wave interaction theory is applied to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of barge-type. The calculated results show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and calculated ones by Yago and remarkable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hydroelastic behavior of the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on the effects of hydrodynamic interactions and choice of body modelling.

  • PDF

대형 해상크레인의 구조 기본 설계 (A Basic Structural Design for Large Floating Crane)

  • 박찬후;김병우;하문근;전민성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1-76
    • /
    • 2005
  • This paper describes basic structural design for the large floating crane barge of fixed undulation type. 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separately after dividing the floating crane into two parts, The crane part was composed of jib boom, back stay and back tower and the barge part supported the crane part. The structural strength for jib boom structural members are in compliance with JIS B 8821 and scantling of all barge structural members are in compliance with the requirement of KR (Korean Register of Shipping) Steel Barges and Rules for Classification of Steel Ships. For the structural analysis of large floating crane, MSC/NASTRAN and MSC/PATRAN software were used.

연안-운하 연계수송용 푸셔-바지 선형주위의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w Characteristics around a Hull Form of Coast-Canal Going Pusher-Barge)

  • 김성용;이영길;이승희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9-2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연안과 운하에서 연계수송이 가능한 수송시스템의 개발을 위하여 설계된 바지(barge)와 푸셔(pusher)의 저항성능을 모형시험과 수치계산에 의하여 해석하고자 하였다. 무한수심 조건에서의 모형시험으로는 인하대학교 선형시험수조에서 저항과 침하, 선측파형 등을 계측하였으며, 유동장 해석을 위한 수치계산의 경우에는 MAC법을 기초로 한 유한차분법(Finite Difference Method)에 의하여 계산을 수행하였다. 먼저, 모형시험의 경우에는 계획속력을 6knots로 하는 설계선형에 대하여, 저속에서부터 계획속도이상의 구간까지 모형시험을 실시하여 각 속도에 따른 저항특성들을 비교하였다. 일련의 모형시험 결과들은 기존의 유사한 선형의 모형시험결과들과 비교하였다. 수치계산의 경우에는, 설계선형에 관하여 계획속도에서 푸셔와 바지선형 각각의 단독운항상태와 두 선체가 동시에 연결되어 운항하는 상태에 대한 계산을 수행하였다. 또한, 모형시험이 어려운 제한수로를 운항하는 상태에 관하여도 수치계산을 수행하였고, 각각의 계산결과들로부터 운항상태에 따른 선체주위의 유동장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 PDF

예부선의 동역학 모델링 및 조종 성능 추정법 개발 (Dynamics modeling and Estimation of Manoeuvrability for Tug-Barge Systems)

  • 여동진;한성환;김동진;김연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0-41
    • /
    • 2009
  • 선박이 항만이나 운하 내에서 이동할 경우 일반적으로 예인선의 도움을 받아 운항하게 된다. 근래에 해상 물동량이 증가하면서 항만이나 운하 등지의 해상 교통이 복잡해지고 해난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따라서 예인선 및 부선의 조종 성능을 파악하여 전체 예부선 시스템의 운항 안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예부선 시스템은 크게 예인선, 부선, 그리고 예인선과 부선을 연결하는 예인줄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예인선, 부선, 예인줄 각각의 동역학적 특성이 반영된 운동 방정식을 수식화하였다. 그리고 예인선의 수학 모형을 확립하기 위한 구속 모형 시험의 종류 및 범위에 대하여 논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