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nkart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6초

관혈적 Bankart술식을 이용한 외상성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의 치료

  • 이주홍;김문규;전장엽;황병연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
    • /
    • pp.20-21
    • /
    • 2001
  • 외상성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 대한 치료로서 관혈적 Bankart 복원술은 기존의 치료 결과들과 마찬가지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일관되게 보여주는 우수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 PDF

Bankart 수술 후 발생한 금속 봉합 나사못 합병증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Metallic Suture Anchor Failures after Bankart Repair)

  • 신상진;정재훈;김성재;유재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0-76
    • /
    • 2006
  • 목적: 금속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견관절 습관성 전방 탈구 수술 후, 여러 원인에 의하여 발생한 금속 봉합 나사 못 돌출 합병증을 보고하고 발생 원인, 임상 양상 및 관절경적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 습관성 전방 탈구로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Bankart 수술을 시행 받은 후 운동시 들리는 관절내 마찰음 및 통증 또는 불안정성을 호소하며 내원하여 관절경 재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처음 수술 이후 재수술까지의 평균 기간은 5.2개월이었다. 환자들은 관절경 재수술시 봉합 나사못의 돌출이 확인되었으며 관절경 술식을 이용하여 돌출 봉합 나사못을 제거하였다. 결과: 주 증상은 4명에서 통증을 동반한 관절내 마찰음이었으며 이 마찰음은 외전 및 외회전시 분명하게 들렸다. 1명은 통증과 함께 견관절 불안정성을 호소하였다. 견관절 운동 범위는 외회전만 약간 감소되었을 뿐 거의 정상 소견을 나타내었다. 돌출되었던 봉합 나사못의 위치는 5시 방향 1명, 4시 방향 2명, 2시 및 3시 방향 각각 1명씩이었다. 그 중 2명은 전방 관절와연에서 5 mm 정도 내측 관절면 위에 위치하였다. 나머지 3명은 올바른 위치에 삽입되어 있었으나 나사못 주변의 연골 마모 및 골소실이 관찰되었다. 재수술시 5명 모두 상완골두에 연골 손상이 발견되었으며 1명은 관절와에도 연골 결손이 동반되었다. 재수술 후 2년째 추시 결과 재탈구나 불안정성을 보이는 환자는 없었으며 통증에 대한 VAS 점수는 수술 전 3.4에서 수술 후 1.2로 감소되었다. Constant 점수는 수술 전 65점에서 수술 후 89점으로 증가하였으며 ASES 점수도 수술 전 67점에서 수술후 88점으로 증가하였다. 결론: 봉합 나사못 합병증으로 인한 증상은 불안정성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재활 운동 시점부터 증상이 나타나지만 정상적인 수술 후 통증과 구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돌출된 봉합 나사못은 상완골두 연골의 파괴를 유발하는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하므로 봉합 나사못 돌출이 의심되면 관절경을 통하여 관절내의 변화를 관찰하며 돌출된 봉합 나사못을 다시 삽입하거나 제거하여야 한다. 봉합 나사못 제거에 본 수술 방법을 사용하면 용이하게 봉합 나사못 제거가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PDF

관혈적 방법과 관절경적 방법을 이용한 재발성 견관절 전방 불안정의 치료 결과 (Results of Open Versus Arthroscopic Method in Recurrent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 한성호;양보규;이승림;정선욱;이동호;오세진;이철호;하권익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54-158
    • /
    • 2002
  • 목적: 관혈적방법과관절경적방법을이용하여재발성견관절전방불안정환자를수술후추시결과를비교하고자하였다. 대상및방법: 1995년1월부터2000년4월까지관혈적및관절경적Bankart repair를시행하고1년이상추시가가능한68명을대상으로하였으며, 23명은관절경적방법으로45명은관혈적방법으로수술을시행하였다. 추시기간은12개월에서64개월로평균34개월이었다. 결과: 관혈적수술을시행한환자들중2예에서아탈구가발생하여보존적인방법으로치료하였으며관절경적그룹에서는2예에서탈구, 2예에서아탈구가발생하여이중탈구된1예에서관혈적방법으로재수술을시행하였다. Rowe 등에의한기능적평가에서는관혈적그룹에서평균87 점이었고관절경적그룹에서평균85점이었다. 환자의주관적인만족도는관혈적그룹에서84.6 점이었고관절경적그룹에서72.5점이었다. 두그룹간의결과의통계분석상안정성과운동범위점수이외에는통계학적으로유의한차이는없었다.결론: 관혈적수술방법은안정도가높았고, 관절경적수술방법은견관절운동범위에장점이있었다. 견관절재발성전방불안정환자의수술적치료에있어서이학적검사및방사선학적검사, 진단적관절경에의해적절한수술방법을선택하는것이환자의예후에중요한요소가될 것이다.

  • PDF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의 봉합술에 대한 최신 지견 (Current Concept of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Repair)

  • 김영규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7
    • /
    • 2006
  •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의 관절경적 치료는 환자 개개인의 병리 상태를 잘 파악하여 적절한 복원술을 시행함으로써 보다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현재 관절경적 Bankart 복원술시 봉합 나사못이 가장 이상적인 봉합기구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병리 상태를 고려하여 관절경적 복원술을 시행한 결과 여러 학자들이 과거에 비해 좋은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Table 2). 따라서 술기상으로 보다 숙련된 술식을 통해 재발율을 낮출 수 있으며 보다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하여 수술 후 적극적인 재활 프로그램이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ehabilitation after Bankart and SLAP Repair

  • 김양수
    • 대한관절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관절경학회 2008년도 춘계 공동 학술대회
    • /
    • pp.23-28
    • /
    • 2008
  • 1. 손상받은 조직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주위 조직과의 유착을 방지하고 soft tissue의 pliability를 유지시켜 관절 운동 범위를 향상하기 위해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부드러운 수동 관절 운동을 먼저 실시한다. 2. 모든 재활 프로그램은 환자의 개개인의 특성에 맞춰 운동 내용과 시기를 조정해야 한다. : Important to individualize rehab. program. 3. 능동적 관절운동 (active ROM)은 수술한 조직이 치유될 충분한 시간이 경과되었거나 환자가 통증없이 독립적인 견관절 운동이 가능할 때 실시한다. 4. Strengthening of the dynamic stabilizer(muscles around shoulder joint) 가 모든 shoulder instability 재활에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 PDF

Suture anchor selection

  • 이광원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5년도 제3차 연수강좌
    • /
    • pp.198-205
    • /
    • 2005
  • 1. Many design features including suture type, anchor size and geometry, and anchor material, play a role in the overall strength of the anchor. In addition, technical considerations such as implant orientation, pattern, and location may affect the ultimate success of the repair. 2. Multiple fixation points provide a biomechanically sounder construct in Bankart repair. The size of the glenoid and its rim make anchor size a critical consideration in implant selection and implementation.

  • PDF

견관절 불안정성 진단 및 치료방침의 결정

  • 최창혁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7년도 제5차 연수강좌
    • /
    • pp.104-109
    • /
    • 2007
  • 외상성 전방탈구의 경우 일차성 탈구이거나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호소하지 않는 불안정성이 있을 경우 및 비외상성 다방향 불안정성의 경우 보존적 치료가 바람직하며, 10대 및 20대의 재탈구로 인한 불안정성이 유발될 경우 관절경적 혹은 개방성 Bankart 술식을 통하여 관절순의 해부학적 정복 및 술 후 잘 조절된 재활치료를 시행할 경우,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치료 방법의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환자의 원하는 결과를 만족 시켜줄 수 있는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며, 이는 불안정성의 원인, 정도, 탈구의 횟수, 환자의 활동도 및 재활 의지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