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mboo oil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5초

무좀균과 비듬균에 대한 대나무 기름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Bamboo (Phyllosrachys Bambusoides) Essential Oil on Trichophyton and Pityrosporum)

  • 이숙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3-117
    • /
    • 2003
  • 1. 무좀균에 대한 각 시료들이 항균력으로 terbinafine > 100%-bamboo oil> 50%-bamboo oil순으로 나타내었다. 무좀균에 대한 Bamboo oil에 대한 영향으로는 T.M > E.F > T.R의 순서대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T.M에 대하여 가장 우수하게 나타내었다. 2. 비듬균에 대한 각 시료들이 항균력으로는 terbinafine > 100%-bamboo oil > 50%-bamboo oil순으로 나타내었다. 비듬균에 대한 Bamboo oil에 대한 영향으로는 P.O-75 > P.O-77의 순서대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P.O-75에 대하여 가장 우수 하게 나타내었다. 3. 50%-bamboo oil은 무좀균과 비듬균에 대하여 항균력이 있는 겋으로 나타내었으au, 100%-Bmboo oilㅇ의 항균력과 비슷하게 나타내었으며, 경비 절감 측면에서 기대를 걸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대나무 기름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Phyllostachys bambusoides) Essential Oil)

  • 이숙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5-59
    • /
    • 2000
  • Bamboo oil의 천연 보존료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합성 보존료인 BHA와 이미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는 천연보존료인 tea tree oil을 비교하기 위하여 disc diffusion법과 broth dilution 법으로 S. aureus와 E. coli대한 항균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Disc diffusion법으로 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BHA>tea tree oil>bamboo oil 순이었고 E. coli에 대한 항균력은 bamboo oil이 가장 강하게 나타났으며 다음은 BHA>tea tree oil순으로 나타났다. 2. Broth dilution법으로 S. aureus와 E. coli모든 시료 6.0$\mu$l/ ml 이상에서 모두 측정되지 않아 모든 시료에서 동일하게 최소억제농도가 6.0$\mu$l/ ml 이상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 Bamboo oil의 이용 개발 시 경제적 조건은 동일한 항균력을 기대할 때 tea tree oil에 비하여 약 20%정도 저렴하여 경제성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나무잎 가루를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 재료 혼합비율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Ingredient Mixing Ratio for Preparation of Sponge Cake with Bamboo (Pseudosasa japonica Makino) Leaves Powder)

  • 박정은;정흥도;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17-329
    • /
    • 2009
  • In the study, we determined the optimal ingredient mixing ratio for the preparation of sponge cake containing bamboo (Pseudosasa japonica Makino) leaves.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in according with the D-optimal design of mixture design, which involved 14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4 replicates for three independent variables (sugar 110${\sim}$129%, bamboo leaves 3${\sim}$8%, oil 10${\sim}$25%). The results the F-test, specific gravity, volume and color values (L, a, b) decided a linear model, while the viscosity, hardnes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color, smell,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nce) decided a quadratic model. The results of our fitness analysis demonstrated that in all characteristic, the probabilities were significant within 0.05%; thus, the models were accepted as appropriate. The response surface and trace plot results demonstrated that increasing amounts of added bamboo leaves induced a reduction in brightness, and increasing redness and yellowness. In addition, increasing amounts of bamboo leaves caused increases in hardness, and thus the softness of the cake decreased. And as the level of added oil increased, softness increased. Cake samples received low sensory evaluation scores when sugar, bamboo leaves, and oil were added above their optimal levels. In the numeric optimization, the optimal ingredient amounts were 121.36% sugar, 4.96% bamboo leaves, and 15.69% oil. The above results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adding bamboo leaves to sponge cake, and therefore, a bamboo leaves as a functional food.

정제과정에 따른 대나무기름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mponents of Bamboo oil from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by refining process)

  • 나명순;최현숙;이명렬;류성렬;박승규;최용덕;박옥란;최두복;신대윤
    • 공업화학
    • /
    • 제19권1호
    • /
    • pp.129-132
    • /
    • 2008
  • 본 연구는 정제과정에 따른 대나무 기름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및 성분을 검토하기 위해 타르, 색차계, 총 유기산 및 총 페놀성 물질 함량, 조 단백질 및 조 지방 함량, 유리 당 및 기름성분, 유기산 및 무기물을 분석하였다. 정제과정을 통해 타르 성분이 약 78% 이상 감소되었으며 색차계 분석에서 명암이 정제의 샘플에서 92.4로 나타내어 투명해졌고 적색도는 29.1에서 3.0으로 낮아졌다. 총 유기산 및 총 페놀성 물질 함량은 정제과정 중에 각각 약 63%와 80%가 감소되었다. 조 단백질 및 조 지방 함량은 정제과정 중에 각각 약 60, 56% 감소했고, 유리 당 별로는 lactose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fructose, glucose 순이었다. 미 정제 및 정제 대나무 기름에서 palmit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stearic acid, linoleic acid 순이었다. 총 유기산 함량은 정제과정 중에 약 88%의 유기산이 감소되었고 formic acid가 가장 많았다. 양이온 함량은 미 정제 기름의 Ca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K, Na, Fe 순이었으며, 정제 기름은 Ca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Fe, K, Na 순이었다.

죽초액의 팜유와 돈지의 저장 중 산패 억제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Bamboo Smoke Distillates in Palm Oil and Lard during Storage)

  • 이범수;박근형;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05-910
    • /
    • 2004
  • 저장기간 동안 죽초액을 첨가한 팜유와 돈지는 뚜렷한 산패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과산화물가, 산가, TBA가 등 항산화효과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고 그 중에서 죽초액 1.0%를 첨가하였을 때의 효과가 가장 좋았으며 그 정도는 BHT 0.02% 첨가하였을 때와 유사하였거나 더 좋았고 ${\alpha}-tocopherol$ 0.02% 첨가한 것보다는 월등히 높은 산화억제 효과를 보였다. 각 식용유지에 죽초액의 첨가량을 달리하였을 때 유도기간과 상대적 항산화효과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죽초액 1.0% 첨가가 팜유와 돈지에 대하여 유도기간은 각각 21.24일과 12.37일이었고 상대적 항산화효과는 각각193.97%와 1671.62%로 나타나 죽초액은 돈지에 대한 산화안정성이 팜유에 비하여 컸다.

죽초액의 항균활성 및 대두유에 대한 산패 억제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and Oxidative Stability of Bamboo Smoke Distillate on Soybean Oil during Storage)

  • 이범수;이병두;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16-822
    • /
    • 2006
  • 신선한 왕대(Phyllostachys bambuoides sieb. et zucc.)를 이용하여 기계식 죽초액과 재래식 죽초액을 제조하고 이들의 농도에 따른 항균활성을 조사하였으며 정체 기계식 죽초액이 대두유 저장 과정 중 산패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각각의 죽초액은 10-50 ${\mu}L/8$ mm paper disc 농도범위에서 공시 모든 공시균주에 대하여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재래식 죽초액의 편이 기계식 죽초액에 비하여 항균활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동일한 조건하에서 죽초액의 항균활성은 그람양성균 > 그람음성균 > 젖산균 > 효모의 순이었다. 그리고 모든 공시균주에 대하여 3.0%의 acetic acid 50 ${\mu}L/8$ mm paper disc에 상당한 죽초액의 항균활성 농도는 10-50 ${\mu}L/8$ mm paper disc 범위이며, 각각의 균주에 대한 활성농도는 서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MIC는 대체로 1.0-7.3 ${\mu}L/mL$ 범위였으며 최대치사농도(MLC)는 26.7-116.7 ${\mu}L/mL$ 범위였다. 대두유 저장기간 동안 죽초액 첨가 농도 0.1-1.0% 범위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산패억제 효과도 컸으며, 죽초액 0.1% 첨가하였을 때 효과가 BHT 0.02% 첨가하였을 때와 유사하였으며 ${\alpha}-tocopherol$ 0.02% 첨가한 것보다 높은 산화억제 효과를 보였다. 죽초액 0.1, 0.5 및 1.0% 첨가 대두유의 유도기간은 각각 3.75, 4.57 및 12.06일 이었으며, 무첨가구의 2.86일에 비하여 모두 길었고, 상대적 항산화 효과는 각각 130.85, 159.60 및 421.30%로 죽초액 0.5%를 첨가할 때가 BHT 0.02% 첨가하였을 때의 168.45%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죽초액은 일부 식중독균 및 식품부패균에 대한 억제효과와 유지 산패억제 효과가 인정되므로 이를 이용한 식품첨가제의 개발이 기대된다.

다양한 첨가제에 의한 청국장 불쾌취 및 Bacillus cereus 증식의 억제 (Effect of various additives on reduction of unpleasant odor and inhibition of Bacillus cereus growth in cheonggukjang)

  • 정수현;박송이;정은선;김용석;문성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69-573
    • /
    • 2016
  • 청국장의 불쾌취를 줄이고 B. cereus 증식을 억제하는데 다양한 첨가제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관능검사는 불쾌취와 맛에 대하여 각각 5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무첨가 청국장의 불쾌취 강도가 가장 높다고 평가되었으며, 소금 첨가구, 목초액 소금 첨가구, 고추씨기름 첨가구, 죽염 첨가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맛의 선호도는 고추씨기름 첨가 청국장이 다른 첨가구들보다 높았다. 각 첨가제들의 B. cereus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죽염이 다른 3개 첨가제에 비하여 그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관능검사 결과 및 B. cereus 증식 억제 효과가 좋게 나타난 죽염 첨가 청국장과 무첨가 청국장의 냄새 성분을 추출, 농축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죽염 첨가 청국장에서 오렌지 유사 향인 1-ethoxy-1-methoxy-ethane이 무첨가구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죽염을 청국장에 첨가하는 것은 차폐에 의한 청국장의 불쾌취 감소뿐만 아니라 B. cereus 증식 억제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케이폭의 구조 및 흡유 특성 (Structure and Oil Sorption Capacity of Kapok Fiber [Ceibapentandra (L.) Gaertn.])

  • 이영희;이정희;손수진;이동진;정영진;김한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10-218
    • /
    • 2011
  • The structure of kapok fiber was characterized using FTIR and $^{13}C$-NMR spectrometers, elemental analyzer, x-ray diffractometer, SEM and IMT I-Solution ver 7.5. The kapok has a hollow tube shape and is composed of cellulose I with crystallinity of 47.95%. To develop novel oil-sorbent materials necessary to avoid the environmental pollution by spilled oil, the oil absorption capacity of various fibers such as kapok, polypropylene(PP), acryl, bamboo, cotton, rayon and wool fibers is compared in this study. The kapok fiber had the highest oil absorption capacity among the fibers and its water absorption capacity was the least. The kapok fiber selectively absorbed significant amounts of oils (43g/g of fiber for kerosene, 65g/g of fiber for soybean oil), which might be due to higher hydrophobicity of the kapok fiber, suggesting that kapok fiber may have high potential as excellent oil-absorbent materials.

Role of Household Exposure, Dietary Habits and Glutathione S-Transferases M1, T1 Polymorphisms in Susceptibility to Lung Cancer among Women in Mizoram India

  • Phukan, Rup Kumar;Saikia, Bhaskar Jyoti;Borah, Prasanta Kumar;Zomawia, Eric;Sekhon, Gaganpreet Singh;Mahanta, Jagadis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7호
    • /
    • pp.3253-3260
    • /
    • 2014
  • Background: A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ousehold exposure, dietary habits, smoking and Glutathione S-Transferases M1, T1 polymorphisms on lung cancer among women in Mizoram, India. Materials and Methods: We selected 230 newly diagnosed primary lung cases and 460 controls from women in Mizoram.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stimate adjusted odds ratio (OR). Results: Exposure of cooking oil fumes (p<0.003), wood as heating source for cooking (p=0.004), kitchen inside living room (p=0.001), improper ventilated house (p=0.003), roasting of soda in kitchen (p=0.001), current smokers of tobacco (p=0.043), intake of smoked fish (p=0.006), smoked meat (p=0.001), Soda (p<0.001) and GSTM1 null genotype (p=0.003)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lung cancer among women in Mizoram. Significantly protective effect was observed for intake of bamboo shoots (p=<0.001) and egg (p<0.001). A clear increase in dose response gradient was observed for total cooking dish years. Risk for lung cancer tends to increase with collegial effect of indoor environmental sources (p=0.022). Significant correlation was also observed for interaction of GST polymorphisms with some of dietary habits. Conclusions: We confirmed the important role of exposure of cooking oil emission and wood smoke, intake of smoked meat, smoked fish and soda (an alkali preparation used as food additives in Mizoram) and tobacco consumption for increase risk of lung cancer among Women in Mizoram.

Torrefaction Effect on the Grindability Properties of Several Torrefied Biomasses

  • Setyawan, Daru;Yoo, Jiho;Kim, Sangdo;Choi, Hokyung;Rhim, Youngjoon;Lim, Jeonghwan;Lee, Sihyun;Chun, Dong Hyuk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4호
    • /
    • pp.547-554
    • /
    • 2018
  • Torrefaction is the promising process of pretreating biomass materials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ir energy, especially to upgrade the materials' grindability so that it is suitable for a commercial pulverizer machine. In this study, torrefaction of oak, bamboo, oil palm trunk, and rice husk was carried out under different torrefaction temperatures ($300^{\circ}C$, $330^{\circ}C$, and $350^{\circ}C$) and different torrefaction residence times (30, 45, and 60 minutes). Complete characterization of the torrefied biomass, including proximate analysis, calorific value, thermogravimetric analysis, mass yield, energy yield, and grindability properties (Hardgrove Grindability Index) was carried out. Increasing the torrefaction temperature and residence time significantly improved the calorific value, energy density (by reducing the product mass), and grindability of the product. Furthermore, for commercial purposes, the torrefaction conditions that produced the desired grindability properties of the torrefied product were $330^{\circ}C-30minutes$ and $300^{\circ}-45minutes$, and the latter condition produced a higher energy yield for bamboo, oil palm trunk, and rice husk; however, torrefaction of oak did not achieve the targeted grindability property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