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mboo Extract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5초

식물화합물 다량 함유 제주조릿대 잎 추출물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ytochemical-Rich Extract from Sasa quelpaertensis Leaf)

  • 이주엽;고희철;장미경;김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330-1335
    • /
    • 2016
  • 조릿대 속 식물의 잎은 한의학적으로 염증, 해열, 이뇨 관련 질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제주조릿대는 제주도 한라산 일대에서만 분포되어있는 토착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조릿대 잎 추출물의 산업적 활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추출방법에 따른 식물화합물의 함량과 그 생리 활성을 비교함으로써 기능성이 강화된 식물화합물 다량함유 추출물(phytochemical-rich extract; PRE)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였다. PRE는 열수추출물과 알코올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고, 조릿대 주요성분인 p-coumaric acid (44.10 mg/g)와 tricin (5.35 mg/g)의 함량은 열추추출물(p-coumaric 23.39 mg/g, tricin 0.18 mg/g)과 알코올 추출물(p-coumaric 10.8 mg/g, tricin 0.38 mg/g)에 비해 매우 높았다. RPE는 다른 추출물에 비해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1,1-diphenyl-2-picrylhydrazy(DPPH) 소거활성,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소거활성, nitric oxide(NO) 소거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RPE는 LPS로 자극시킨 RAW 264.7 세포에서 NO 생성($IC_{50}=59.1{\mu}g/ml$)과 혈액 암(HL-60) 세포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PRE가 식물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및 항염소재로서 활용가치가 있음을 제시해 준다.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y of Steam Extract from The Bamboo Species

  • Kim, Ji-Su;Lee, Hyung Chul;Jo, Jong-Soo;Jung, Ji Young;Ha, Yeong Lea;Yang,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5호
    • /
    • pp.543-554
    • /
    • 2014
  • Natural plant extract has been the subject of intense research aiming in elucidating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their chemopreventive effects upon various forms of human cancers. The objective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the natural antioxidants and anticancer agent potential of Phyllostachy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team extract from Phyllostachys was carried out using GC-MS. The steam extract of Phyllostachys was dominated by monoterpenes (62.96% - 71.36%) and sesquiterpenes (23.58% - 33.13%) as the main compound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team extract was determined using a DPPH scavenging and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test systems. Furthermore, the amounts of total phenolics in steam extract were determined spectrometrically The steam extract of P. pubescens and P. bambusoides were presented the high activity (69.4% and 64.0%, respectively.). The steam extract from Pyllostachys species showed a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of approximately 50.4% - 54.6%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standard gallic acid. The anticancer activities of steam extract were determined using a MTT assay. Assessment of the cytotoxic effect of the steam extract on PC-3 cells showed that the P. bambusoides (20.85%) and P. pubescens (20.41%) were superior in induced cytotoxicity compared with the steam extract of P. nigra var. henonis (1.15%).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steam extract of P. bambusoides and P. pubescens possessed potential as medicinal drug especially in prostate cancer treatment.

갈근, 갈화, 갈근과죽력의 추출물이 알코올을 투여한 생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adix Puerariae, Flos Puerariae and Bamboo+Radix Puerariae Water Extracts on the Ethanol-administered Mice)

  • 김경수;정종길;나창수;김정상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69-180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adix Puerariae (RP), Flos Puerariae (FP) and Caules in Liquamen Phyllostachyos+Radix Puerariae water extracts on the alcohol dehydrogenase (ADH). transaminase (GOT, GPT) activities, and two hepatic antioxidant enzyme (SOD, catalase) activities in acute ethanol administered mice, and we have investigated the morphological changes that occur in hepatocytes of the experimental mice. The activities of ADH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the A1(66%), C1(57%), C2(54%) groups. The transaminase activites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s compared with experimental groups. Ethanol treatment group without the RP or FP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lowered the activities of hepatic SOD and catalase, whereas MnSOD increased in the A1(27%) and B2(43%)groups, CuZnSOD increased in the B2(25%) and C2 groups. The catalase activites were increased in the A1(270%), A2(478%), B2(487%) and B1(770%)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 lot of PAS-positive granules were observed in the A1, A2, C1 and C2 groups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P, FP and RP+Bamboo extracts administration may be prevent from liver damage in the alcohol treatment mice.

  • PDF

대나무(이대)잎 추출물이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에 의한 흰쥐의 지방 대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Bamboo(Pseudosasa japonica Makino) Leaves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and High Cholesterol Diet)

  • 한성희;신미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0-36
    • /
    • 2002
  • 흰쥐의 식이섭취량에서 각각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식이에 대나무 잎 추출물을 병합 급여하지 않는 군에 비하여 대나무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군이 증가하였고, 체중증가량은 각각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대나무잎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는 군에 비하여 대나무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군이 감소하였다. 식이효율은 지방식이군에 비하여 대조군이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없었다. 또한 각각의 지방식이에 대나무잎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는 군에 비하여 대나무 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 군간에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중성지질 농도에서 대조군은 241.17 mg/dL 인데 비하여 지방식이군은 249.00 mg/dL으로 증가하였다. 대나무잎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는 각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은 $254.00{\sim}255.50\;mg/dL$인데 비하여 대나무잎 추출물을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 군은 $225.60{\sim}240.60\;mg/dL$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3% 농도군이 가장 낮았다. 총콜레스테롤 함량에서 대조군은 96.17 mg/dL에 비하여 지방식이군은 124.50 mg/dL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대나무 잎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는 각각의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은 $134.07{\sim}199.33\;mg/dL$인데 비하여 대나무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함 급여한 군은 $101.13{\sim}131.80\;mg/dL$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HDL-콜레스테롤 농도에서 대조군은 17.50 mg/dL인데 비하여 지방식이군은 18.50 mg/dL으로 증가하였으며, 각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에 대나무 잎 추출물을 병합 급여하지 않는 군은 $16.00{\sim}19.00\;mg/dL$이나 대나무 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 군은$22.00{\sim}24.80\;mg/dL$으로 증가하였다. LDL-cholesterol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지방 식이군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각각의 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대나무잎 추출물 농도를 달리하여 병합 급여한 군은 $92.00{\sim}111.00\;mg/dL$ 인데 비하여 대나무잎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는 군은 $111.17{\sim}122.40\;mg/dL$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동맥경화지수는 대나무잎 추출물을 급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신 균주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을 이용하여 발효한 청국장의 항산화효과 (The Antioxidant Effect of Cheonggukjang, Fermented Using the New Strain,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

  • 김한수;윤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343-535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대나무 줄기표면에서 처음 발견 하였으나, 아직까지는 연구가 미흡한 신 균주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의 생리활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청국장 전통 발효 균주인 Bacillus subtilis NG24를 대조군으로 하여 항산화효과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청국장 추출물의 항산화 실험 결과에서 Total Polyphenol 추출물 함량의 측정 결과는 B.subtilis NG24에 비해 B.amyloliquefaciens NBF11-1 시료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32). SOD 유사활성과 DPPH radical 소거능 및 NO radical 소거능에서 B.subtilis NG24에 비해 B.amyloliquefaciens NBF11-1을 포함한 시료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추가적으로, 각 항산화 실험의 $IC_{50}$은 B.subtilis NG24에 비해 B.amyloliquefaciens NBF11-1 시료에서 SOD 유사활성(p=0.045), DPPH radical 소거능(p=0.041), NO radical 소거능(p=0.019)과 같이 유의한 차이로 감소하였다.

신균주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을 이용한 청국장의 항균활성과 열 및 pH 안정성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Cheonggukjang, Using the New Strain, Bacilllus amyloliquefaciens NBF11-1 Extract and Their Heat and pH Stabilities)

  • 김한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442-45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나무 줄기 마디 부분의 표면에서 처음 발견 되었으나, 아직까지는 연구가 미흡한 신 균주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로 발효한 청국장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알아보려고 한다. 청국장 전통 발효 균주인 Bacillus subtilis NG24를 대조 군으로 하고,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방법은 항균 활성, 최소 억제 농도(MIC)와 열 및 pH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항균 활성 실험 결과, 병원성 6종 균주에서 그람 양성 균주 C.perfringens, S.aureus와 그람 음성 균주 A.faecalis, E.coli에서 B.amyloliquefaciens NBF11-1이 B.subtilis NG24에 비해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최소 억제 농도 실험 결과, C.perfringens, S.aureus, A.faecalis, E.coli에서 B.amyloliquefaciens NBF11-1이 B.subtilis NG24에 비해 0.01 %, 0.21 %, 0.45 %, 0.29 %의 농도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열과 pH 안정성 실험 결과, B.subtilis NG24와 더불어 B.amyloliquefaciens NBF11-1 청국장 추출물은 $121^{\circ}C$, 15분 간 열처리와 pH 2-10 처리에 의한 안정성에서 활성이 감소하지 않았고, 열과 pH 실험에서 비교적 안정하였다.

자외선 B를 조사한 마우스 표피멜라닌세포 변화에 대한 분죽(Phyllosrachys nigra var. henenis Strapf)잎 추출물의 효과 (The Effect of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enis Strapf) Leaf Extract on Epidermal Melanocytes in Ultraviolet B-irradiated Mice)

  • 이해준;채세림;김성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2권2호
    • /
    • pp.59-64
    • /
    • 2007
  • C57BL/6 마우스에서 자외선 B(UVB)조사에 의한 표피 멜라닌세포의 변화에 대한 대나무(분죽, Phyllostachys nigra var. henenis Suapf ) 잎 추출물 (BLE)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마우스에 UVB를 매일 $80mJ/cm^2(0.5mW/sec)$씩 7일간 조사하고 BLE를 UV조사 전 또는 조사 후에 복강내주사 또는 피부에 도포하여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효과 및 형성된 멜라닌세포에 대한 미백효과를 dihydroxyphenylalanine (DOPA) 염색으로 관찰하였다. 마우스의 귀등쪽 표피를 분리하여 관찰한바, 정상대조군에서는 $mm^2$당 11-16개의 멜라닌세포가 관찰되었으며, UV조사 일주일 후 발달된 가지를 가진 DOPA 양성 멜라닌세포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 실험에서는 평균치를 기준으로 복강내 주사군에서 29.9%, 피부도포군에서 33.3%의 유의성 있는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형성된 멜라닌세포의 감소 효과 실험에서는 평균치를 기준으로 복강내 주사군의 경우 6주에 24.4%의 감소 효과가 관찰되었고, 피부도포군의 경우 3주에 21.0%, 6주에 10.4%의 유의성 있는 감소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BLE가 UV에 의한 멜라닌세포 형성 억제제 및 미백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Sasa quelpaertensis Leaf Extracts Induce Apoptosis in Human Leukemia HL-60 Cells

  • Jang, Mi-Gyeong;Park, Soo-Young;Lee, Sun-Ryung;Choi, Soo-Youn;Hwang, Joon-Ho;Ko, Hee-Chul;Park, Ji-Gweon;Chung, Wan-Seok;Kim, Se-Ja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188-190
    • /
    • 2008
  • In east Asia, the leaves of various Sasa species have been used in folk medicine for centuries. The effects of the methanolic extract and its subsequent fractions derived from the leaves of Sasa quelpaertensis Nakai on cell proliferation in human leukemia HL-60 cells were evaluated.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this extract (ESQL) significantly reduced cell viabil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0-250\;{\mu}g/mL$). ESQL ($IC_{50}=24.8\;{\mu}g/mL$) exhibited growth inhibition comparable to the main constituent of green tea, epigallocatechin ($IC_{50}=26.2\;{\mu}g/mL$), which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ESQL treatment induced apoptosis, which was confirmed by the presence of nuclear condensation and annexin V-staining.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ESQL contains chemopreventive phytochemicals that may be useful in neutraceutical applications.

맹종죽의 항산화활성을 통한 항고혈압 효능 (Anti-hypertens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Phyllostachys Pubescens via Antioxidant Activity)

  • 이혜숙;박민희;김정숙;임병우;문갑순;신흥묵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658-665
    • /
    • 2007
  • Phyllostachys pubescens (Maengiong-Juk), a kind of the bamboo, was reported to have many beneficial pharmacological actions. in this study, of using 70% ethanol extract of Phyllostachys pubescens we investigated its efficacy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addition, vasorelaxant effect was examined in rat aortic rings. The inhibitory effect of ACE activity by Phyllostachys pubescens extract (PPE) was dose-dependently increased by 61.42% at 10mg/ml. PPE relaxed the pre-contracted rat aortic rings with 10$^{-6}$M phenylephrine, showing about 88% at 4.0mg/ml. Sprague Dawley (SD) rats were given different concentrations of PPE mixed in the drinking water for 10 weeks. PP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with control group in blood pressure, body weight (BW) and food intake. However, it revealed the highest total antioxidative effect at dose of 1.0 g/100 g BW in plasma by TEAC assay.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and protein carbonyl levels which are markers of tissue peroxidation, were significantly lowed at the same dosage. Furthermore, hepatic antioxidant enzymes such as total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glutathione reductase (GR) and catalase activities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by PPE (1.0 g/100 g BW).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PPE might have antihypertensive effect through increasing antioxidant activities.

맹종죽 추출물 코팅쌀 식이가 고콜레스테롤 섭취 토끼의 항산화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engjong-Juk Extract Coated Rice Supplementation on Antioxidative System in Rabbit Fed High Cholesterol Diet)

  • 이민자;김은영;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73-980
    • /
    • 2004
  • 맹종죽 추출물 코팅쌀 식이가 동맥경화 유발 토끼의 항산화 및 항동맥경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NZW계 토끼에게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대나무 코팅쌀을 첨가한 식이를 16주간 급여하면서 항산화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간, 비장, 신장 및 심장 조직에서의 지질과산화 정도를 TBARS 값으로 측정한 결과 간과 비장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맹종죽 코팅쌀 첨가식이군에서 지질과산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되었고 신장과 심장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대나무 코팅쌀 첨가 식이군에서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단백질 카르보닐 함량에 있어서도 대조군에 비해 맹종죽 코팅쌀 첨가 식이군에서 현저히 낮은 값을 나타내어 맹종죽 코팅쌀 첨가 식이는 조직 단백질 산화를 상당히 억제하였다. 간에서의 항산화 효소계 활성을 측정한 결과 total SOD, Cu$.$Zn-SOD 및 Mn-SOD 활성은 맹종죽 코팅쌀 첨가 식이군에서의 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으며 GSH-Px, catalase 활성 또한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GR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대나무 코팅쌀 첨가 식이군에서 높았으나 유의적이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간 조직 내의 총 글루타치온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대나무 코팅쌀 첨가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어 대조군보다 27% 정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맹종죽 코팅쌀 내에 함유된 항산화 물질들에 의해 동맥 경화 유발 토끼의 항산화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보호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