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lloon technique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1초

포가티 카테터를 이용한 유리조직 전이술 시 수술 중 혈전 및 연축의 치료 (Treatment of Intraoperative Thrombosis and Spasm in Free Tissue Transfers Using the Fogarty Catheter)

  • 이승렬;윤영묵;오상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2호
    • /
    • pp.159-164
    • /
    • 2008
  • Purpose: Microvascular free tissue transfer has become a reliable technique for the reconstruction of complex wounds. Occasionally, unexpected intraoperative thrombosis and/or spasm of recipient artery might be annoying problems even for the technically competent microvascular surgeons. If such problems are not treated properly, they will inevitably cause to flap failure. Methods: From January 2006 to February 2007, soft tissue reconstructions by free tissue transfers were performed on 21 patients having complex defects in the lower extremity. Although segmental revision and various pharmacologic agents were repeatedly applied, arterial occlusions were not managed in 6 cases. For removal of thrombi and release of spasm, Fogarty No. 2 or No. 3 catheters were inserted into the lumen to the proximal recipient artery. Its balloon was then inflated after passing through a resistant area. Next, the catheter was gently withdrawn backward. Results: After the Fogarty catheter was inserted two or three times, the pulsatile arterial flow was restored. When the catheter was inserted into the lumen, a feeling of resistance existed in a 5-10cm more proximal portion that could not be easily accessed from the vascular end. After the reestablishment of blood flow, successful anastomoses were achieved and immediate rethrombosis or spasm did not occur. No long-term sequelae associated with balloon trauma to the arterial wall were observed. Conclusion: The use of the Fogarty catheter can be an effective method in treating pedicle thrombosis and spasm. This is a very simple and rapid technique that offers microvascular surgeons another option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microvascular anastomosis in free tissue transfers.

석회석 광산 채석발파에서 Gassed Bulk Emulsion의 적용 (The Application of Gassed Bulk Emulsion to Quarry Blasting in Limestone Mine)

  • 민형동;정민수;박윤석;이응소;이원욱
    • 화약ㆍ발파
    • /
    • 제25권2호
    • /
    • pp.61-70
    • /
    • 2007
  • 2000년도 초반 한국의 대규모 석회석 광산에서는 ANFO의 단점을 보완하고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벌크 에멀젼 폭약을 도입하였다. 벌크 에멀젼 폭약이 상용화됨에 따라 전체적인 발파효율은 향상되었나, 폭발열 및 가스량이 부족하여 동일 장약량 적용 시 moving 및 heaving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 벌크 에멀젼의 발파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chemical gassing 기술을 도입하였다. chemical gassing이란 기존 벌크 에멀젼의 예감제로 사용되는 GMB(Glass Micro Balloon)를 gassing agent로 대체하여 화학적으로 예감화하는 기술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규모 석회석광산에서 성공적으로 chemical gassing을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였으며, 발파효율 및 작업성 등을 비교 평가 결과 상부파쇄도 및 toe 개선효과, moving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Orbital wall restoring surgery with resorbable mesh plate

  • Joo, Jae Doo;Kang, Dong Hee;Kim, Hyon Surk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64-269
    • /
    • 2018
  • Background: Orbital resorbable mesh plates are adequate to use for isolated floor and medial wall fractures with an intact bony buttress, but are not recommended to use for large orbital wall fractures that need load bearing support. The author previously reported an orbital wall restoring surgery that restored the orbital floor to its prior position through the transnasal approach and maintained temporary extraorbital support with a balloon in the maxillary sinus. Extraorbital support could reduce the load applied on the orbital implants in orbital wall restoring surgery and the use of resorbable implants was considered appropriate for the author's orbital wall restoring technique.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conducted of 31 patients with pure unilateral orbital floor fractures between May 2014 and May 2018. The patients underwent transnasal restoration of the orbital floor through insertion of a resorbable mesh plate and maintenance of temporary balloon support. The surg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the Hertel scale and a comparison of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orbital volume ratio (OVR) values. Results: The OVR decreased significantly, by an average of 6.01% (p<0.05) and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Hertel scale measurements decreased by an average of 0.34 mm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No complications such as buckling or sagging of the implant occurred among the 31 patients. Conclusion: The use of resorbable mesh plate in orbital floor restoration surgery is an effective and safe technique that can reduce implant deformation or complications deriving from the residual permanent implant.

원위내경동맥에 위치한 비파열성 동맥류의 치료에 있어 풍선-스텐트 테크닉에 대한 단일기관의 경험: Scepter-Atlas 조합을 사용하기 위한 간단하지만 확실한 방법 (Single Center Experience of the Balloon-Stent Technique for the Treatment of Unruptured Distal Internal Carotid Artery Aneurysms: Sharing a Simple and Reliable Tip to Use Scepter-Atlas Combination)

  • 박유정;노지은;백승국;염정아;강철후;정희석;이상원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5호
    • /
    • pp.1258-1273
    • /
    • 2021
  • 목적 풍선-스텐트 테크닉(balloon-stent technique; 이하 BST)은 복잡한 동맥류를 치료하는 보조술로서 그 고유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저자들의 기관에서 Atlas의 출시 이래 Scepter-Atlas 조합의 BST를 치료에 적용해 온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초기에 Atlas를 Scepter 카테터에 진입시키지 못하는 기술적 실패를 겪은 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가 되었던 기구들을 면밀히 관찰하였다. 2018년 3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총 57개의 비파열성 원위내경동맥 동맥류에 대해 코일 색전술을 시행하였고, 이중 25개(23명)의 증례는 BST로 치료하였다. 포함된 증례들의 영상 및 임상 정보는 후향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이 논문에서 소개하는 간단한 팁을 알게 된 이후 Scepter-Atlas 조합의 기술적 성공률은 50%에서 100%로 상승하였다. BST로 치료한 환자군에서 시술 직후에 84%, 추적검사에서 95.8%가 완전하거나 거의 완전한 폐색을 보였고 stent-assisted coil 그룹에서는 각각 96.3%, 88.4%가 시술 직후와 추적검사에서 같은 결과를 보였다. 소수의 환자에서 합병증을 보였지만 임상적으로 문제가 된 증례는 없었다. 결론 Scepter-Atlas 조합을 이용한 BST는 원위내경동맥에 위치한 비파열성 동맥류를 치료하는 데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이 될 수 있다. Scepter는 Atlas를 매개하는 카테터로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

RAPD분석 기술을 이용한 토종도라지의 기원 분석 (Differentiation of indigenous ballo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DC.) germ lines in South Korea by using RAPD analyses)

  • 김태원;이수진;김만배;박춘근;신용욱;조영손;이신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1호
    • /
    • pp.19-25
    • /
    • 2014
  • 도라지는 초롱꽃과에 속하는 채소용 또는 약용으로 그 생산량이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국내의 경남지역에서는 토종도라지의 보존과 육성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도라지의 단가도 급등함에 따라 그 재배면적이 크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종 도라지의 순계를 보존하기 위한 조직배양 기술의 확립과 함께 분자생물학적 기술을 이용한 토종 도라지의 판별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경남지역과 충남아산시 등의 야산에서 채종하여 수 십년간 자가 채종하여 재배하여온 농가에서 수집한 종자를 중심으로 5종의 primer를 이용하여 RAPD분석을 수행한 결과 총 48개의 밴드를 생산하였으며, 이중 21개 밴드는 다형성을 보이는 밴드로 40.3%의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primer HD3는 총 13개의 밴드 중 10개가 계통간 다형성을 보여서 76.9%의 높은 다형성빈도를 보였다. 향후 핵 DNA 보다는 핵외 DNA를 이용한 SNP 마커의 확보 등 보다 진보된 기술을 이용한 보완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신생아에서 심실중격결손증을 동반한 대동맥궁 결손증의 일단계 완전 교정술 -3례 치험- (One Stage Eepair of Interruption of Aortic Arch with VSD in Neonate)

  • 전희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6호
    • /
    • pp.610-618
    • /
    • 1995
  • Three neonates with interrupted aortic arch with VSD underwent one stage repair using revised technique of cardiopulmonary bypass with short period of circulatory arrest. A left posterolateral thoracotomy was made to permit mobilization of the descending aorta and placement of polytetrafluoroethylene[PTFE graft for distal aortic perfusion. Then the patient was placed in the supine position and a median sternotomy was performed to permit the proximal dissection, VSD repair, and direct anastomosis between the ascending aorta and descending aorta. This technique has advantages to facilitate direct anastomosis between the ascending aorta and the descending aorta, to lessen circulatory arrest time, and to prevent dangerous laceration and post-operative narrowing of the thin small ascending aorta at cannulation site. There was no operative mortality but postoperative stenosis developed in one case which was relieved with balloon aortoplasty.

  • PDF

Intra-Arterial Thrombolysis Using Double Devices: Mechanicomechanical or Chemicomechanical Techniques

  • Park, Hyun;Hwang, Gyo-Jun;Jin, Sung-Chul;Bang, Jae-Seung;Oh, Chang-Wan;Kwon, O-Ki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1권2호
    • /
    • pp.75-80
    • /
    • 2012
  • Objective : To optimize the recanalization of acute cerebral stroke that were not effectively resolved by conventional intraarterial thrombolysis (IAT), we designed a double device technique to allow for rapid and effective reopening. In this article, we describe the feasibility and efficacy of this technique. Methods : From January 2008 to September 2009, twenty patients with acute cerebral arterial occlusion (middle cerebral artery : n=12; internal carotid artery terminus : n=5; basilar artery : n=3) were treated by the double device technique. This technique was applied when conventional thrombolytic methods using drug, microwires, microcatheters and balloons did not result in recanalization. In the double device technique, two devices are simultaneously placed at the lesion (for example, one microcatheter and one balloon or two microcatheters). Chemicomechanical or mechanicomechanical thrombolysis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using various combinations of two devices. Recanalization rates, procedural time, complications, and clinical outcomes were analyzed. Results : The initial median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was 16 (range 5-26). The double device technique was applied after conventional IAT methods failed. Recanalization was achieved in 18 patients (90%). Among them, 55% (11 cases) were complete (thrombolysis in cerebral infarction 2B, 3). The median thrombolytic procedural time including the conventional technique was $135{\pm}83.7$ minutes (range 75-427). Major symptomatic hemorrhages (neurological deterioration ${\geq}4$ points in NIHSS) developed in two patients (10%). Good long term outcomes (modified Rankin Scale ${\leq}2$ at 90 days) occurred in 25% (n=5) of the cases. Mortality within 90 days developed in two cases (10%). Conclusion : The double device technique is a feasible and effective technical option for large vessel occlusion refractory to conventional thrombolysis.

고무풍선의 일반화 팽창 및 분기 해석 (General inflation and bifurcation analysis of rubber balloons)

  • 박문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4-24
    • /
    • 2018
  • 몇 가지 전형적인 기존 및 진보된 초탄성 구성모델들의 고무패치 이축인장 및 구형 또는 원통형 풍선 팽창에서의 불안정성에 대해서 밝힌다. 적용할 구성모델은 neo-Hookean 모델, Mooney-Rivlin 모델, Gent 모델, Arruda-Boyce 모델, Fung 모델, Pucci-Saccomandi 모델 등이다. 팽창 및 분기 해석은 이들 변형에너지 함수들의 막 방정식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해석에는 사각패치에 대한 Kearsley의 분기현상, 고무풍선의 일반화 한 팽창현상, 고무풍선의 분기현상을 다룬다. 이들 변형에너지 함수들 중에서도 오직 Mooney-Rivlin 모델에서만 Kearsley의 분기현상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팽창 방정식은 구형풍선과 원통형 풍선을 함께 다룰 수 있도록 일반화 시켰다. 팽창해석에 의하여 극한점과 임계 물성치들을 무차원 압력 및 팽창 부피의 항들로 구하였다. 그렇게 구해진 결과들로부터 분기현상을 구할 수 있었다. 또한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고무류의 구조적 불안정 문제들을 다룰 때 필요한 특별한 조처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고무류의 불안정성을 포함하는 문제를 다룰 때는 해석기법은 물론 구성모델의 선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신중한 처리가 요구된다.

공기부양식 생물반응기의 형태별 송이균사의 생장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Tricholoma matsutake Mycelium Among the Types of Air Bubble Bioreactor)

  • 이위영;안진권;가강현;권영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9-93
    • /
    • 2003
  • 송이균사의 대량배양에 적합한 공기부양식 생물반응기 형태를 찾고자 풍선형 및 칼럼형의 공기부양식 생물반응기와 external-loop형의 기포통기식 생물반응기에서 송이균사체를 심부배양하여, 반응기 형태별 송이균사체의 생장특성을 비교하였고, 반응기 형태가 세포에 주는 스트레스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배양기 형태별 균사체의 에르고스테롤의 함량 변화를 비교하였다. 반응기 형태별 송이 균사체의 생산량은 풍선형 생물반응기에서 평균 12g, external-loop형의 기포통기식 생물반응기에서 평균 11.4g, 칼럼형 생물반응기는 평균 9.5g을 생산하여, 풍선형 생물반응기가 가장 우수하였다. 생장기간도 풍선형 생물반응기에서 균사 접종 후 16일 이후부터 정체기에 이르는 것으로 20일 이후에 나타난 칼럼형 및 기포통기형 생물반응기 보다 빠르게 생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균사체의 생장시기별 에르고스테롤의 함량은 풍선형 공기부양식 생물반응기에서 가장 높이 나타났으며 이어서 칼럼형, 기포통기식 순으로 나타나, 송이 균사체 배양시 반응기 형태에 의한 물리적 스트레스는 풍선형 공기부양식 생물반응기가 가장 적게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송이 균사체 배양에 가장 적합한 공기부양식 생물반응기의 형태는 풍선형인 것으로 추정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칼럼형 및 풍선형 공기부양식 생물반응기는 스파자 부근에서 균사체가 침적, 착생하여 점차 크게 뭉쳐 성장하면서 공기공급을 차단하는 현상이 있었으나 external-loop형의 기포통기식 생물반응기에서는 유체의 순환으로 이러한 현상은 적게 나타나 대용량의 송이 균사체 배양에 적합한 반응기 형태로는 배양기의 상부가 풍선형 반응기의 형태를 유지하고, 스파자가 위치한 하부는 external-loop형의 기포통기식 생물반응기의 유체 순환식 형태를 유지하도록하는 혼합형의 형태가 좋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탄성체 약물주입기 개선을 위한 이론적·실험적 고찰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Considerations for Improving Elastomer Drug Infusers)

  • 김동훈;강태원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0-327
    • /
    • 2017
  • The main function of an infuser is to ensure constant dosage of a drug. Elastomer drug infusers have been used widely owing to their economic advantages. The mechanism of the device is primarily based on the pressure created from the elastic material that contains the drugs. However, as the drug is infused and the internal pressure is reduced, the drug is not linearly infused at all times. This study involves investigating factors to improve the design of the infuser. The first factor is the range of proper deformation, which does not affect a significant amount of stress variation during infusion. The second is concerned with the flow restrictor and the associated design variables are recommended by employing finite element analysis and the factorial experiment technique. The last factor is related to the spring device connected to ballo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rug reservoir can compensate for unexpected pressure gradient dro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