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lanus albicostatu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1초

생태독성 검정을 위 한 고랑따개비 (Balanus albicostatus) 초기유생의 중금속에 대한 민감도 분석 (Effect of Heavy Metals on Larvae of Barnacle, Balanus albicostatus)

  • 성찬경;최미선;전호환;이인원;박현;이창훈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3권4호
    • /
    • pp.337-343
    • /
    • 2008
  • 따개비류는 암반기질에 무리를 이루어 비교적 단단히 부착생활을 하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생물이다. 본 생물은 형태가 다른 두 단계의 플랑크톤 유생시기를 거쳐 기질에 부착하여 생활한다. 따개비류에 관한 국내연구는 순수 분류학적으로 몇 편의 연구가 이루어졌을 뿐이며 실험실 내 사육조건 및 유생의 민감도 등에 관한 연구는 제대로 수행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 단계 유생을 대상으로 몇몇 중금속(Cd, Cr, Cu 그리고 Zn)에 대한 민감도를 조사하였고 타 연구결과와의 비교로 생태 독성학적 적용을 시도하였다. 네 가지 금속물질, 카드뮴, 크롬, 구리 그리고 아연에 대한 따개비 유생의 반수사망농도는 각각 0.43, 24.4, 0.22 그리고 1.74mg/L로 산정되었다. 외국의 생물검정용 따개비와 본 연구에 사용된 고랑따개비의 민감도는 아주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산 고랑따개비의 유생은 해양 환경 평가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해양생물과 동반 검정의 수행에 자격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해양환경의 평가는 물론 방오물질개발 등에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세로줄 따개비(Balanus kondakovi)의 유생발생에 관한 연구 (The Larval Development of a Fouling Organism Balanus kondakoui Tarasov & Zevina(Cirripedia, Thoracica))

  • Lee, Chu;Kim, Chang-Hyu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1-92
    • /
    • 1991
  • Nauplii and cyprid la%ae were cultured in the laboratory at a temperature of 25'c of 33 parts per thousand. La%al development includes the six nauplius and a cyprn'dstage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ntennules, antennae and mandibles as well as the general pattern of the thoracican Cirripedia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All the nauplius larvae have trilobed labra which are typical in balanoides, with numerous slender hairs.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setation of larva of Balanus kondakoui with those of B. albicostatus, B. amphitrr'te, 9. trigonus, B. uariegatus, and Chthamafus rhallengerl' by plotting of numerical setation of the antennae against the mandibles.

  • PDF

외국산 따개비류의 한국내 침입 (Invasion of Foreign Barnacles into Korea Waters)

  • 김일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8권2호
    • /
    • pp.163-176
    • /
    • 1992
  • 3종의 외국산 따개비가 한국의 조간대 해역에 침입한 것이 발견되었는데 이들은 Balanus amphitrite, B. eburneus 및 B. improvisus이다. 한국내에서 이 3종이 모두 발견되고 개체군이 가장 발달된 곳은 동남부 해역, 즉 부산 부근이다. B. amphitrite는 1970년도 초에 가장 먼저 한국에 침입한 것으로 추측되며 가장 널리 분포해 있으나 목포 이북의 서해에는 아직 침입해 있지 않은 상태이다. B. improvisus는 동해의 복쪽까지 확산해 있으나 B. eburneus는 동남부 해역에 국한되어 있다. B. amphitrite는 재래종인 B. albicostatus와 경쟁을 하고 있는데 이 두 종이 혼생하고 있는 여러 지역에서 후자의 재래종이 배타되고 있는 실정이다. 서해는 아직 외래 따개비의 침입을 받고 있지 않은데 그 이유는 현재 모르고 있다.

  • PDF

Systematic Studies on the Cirripeds (Crustacea) from Korea: I. Balanomorph Barnacles (Cirripedia, Thoracica, Balanomorpha)

  • Kim, Il-Hoi;Kim, Hoon-So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61-194
    • /
    • 1980
  • 저자들은 1963년부터 1978년 사이에 남한의 38개지점으로부터 채집되어 서울돼 자연대학 동물학과에 보관된 따개비류를 동정, 분류한 결과 15종, 2아종이 밝혀졌따. 이들을 모두 기재하여 보고한다. 이들중 다음의 2종 1아종은 한국내 미기록종 및 아종이다 : (Chelonibia patula, Chirona (Striatobalanus) amaryllis, Solidobalanus (Hesperibalanus) hesperius hesperius.

  • PDF

Larval Development of Chthamalus challengeri Hoek (Cirripedia: Thoracica: Chthamalidae) with Keys to Barnacle Larvae of Korean Coastal Waters

  • Chu Le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3권1호
    • /
    • pp.59-68
    • /
    • 1999
  • Chthamalus challengeri Hoek was collected from intertidal rocks to rear the larvae from hatching through nauplius to cyprid in the laboratory. Larval development consists of six nauplius stages and a cyprid. Unilobed labrum with a prominent protuberance and the frontolateral horns folded under the anterior cephalic shield margin are diagnostic features through all nauplius stages. The posterior border of the cephalic shield bears no posterior shield spines in nauplius stages IV-Ⅵ. There is a specific hispid seta in the fourth group of the antennal endopodite. 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the cephalic shield, labrum, abdominal process, antennules, antennae and mandibles in all nauplius and cyprid stage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The numerical setations of the antennule are found to aid in the intraspecific identification of barnacle nauplius stages without dissection. The keys to each stage of the barnacle larvae in Korean coastal waters are provided based on the reared nauplii of seven species: Pollicipes mitella Octomeris sulcata, Chthamalus challengeri, Balanus albicostatus B. trigonus, B. amphitrite, and B. improvisus inhabiting Korean coastal waters.

  • PDF

1986년 하동 김 양식장의 작황감소 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me Factors Affecting the Poor Harvest of Laver in Kwangyang Bay, 1986)

  • 송춘복;홍재상;강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28-340
    • /
    • 1987
  • 본 조사는 1986년 1월부터 4월까지 경남 하동군 김양식장에서 작황조사, 병해조사, 부착생물조사 등을 통해 작황저조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그 결과 본 조사지역의 경우 김의 단위당 생산량은 섶발이 평균 31.53g/피, 그물발이 평균 6.020g/10cm이었으au 대조구의 경우는 섶발이 평균 46.31 g/피, 그물발이 평균 6.225g/m로, 섶발의 경우 대조구가 높았으나 그물발의 경우는 큰 차이가 없었다. 김 부착층은 김의 단위당 생산령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즉 섶발의 경우 50cm 이하인 수식부탁 범위를 가지는 조사정점 전부가 생산량이 20g/피 이하인 정점과 일치하고 있으며 이들 조사 정점의 대부분이 등이 높은 섶 양식장의 서편 증 광양제철소 맞은 편에 위치하고 있다. 유아개체수는 지점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본 조사정점의 전체 평균치는 961 개체로 대조구의 966개체와 별로 차이가 없었다. 병해조사 결과 병해의 대부분은 구멍갯병과 쪼그랑 병이었으며 양식말기에 가서는 병세가 다소 호전되는 경향을 보였다. 섶발 양식장의 주된 부착생물은 고랑따개비(Balanus albicostatus), 가시파래(Enteromorpha prolifera),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고리매(Scytosiphon lomentaria)였으며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홍조류의 일종인 Caloglossa leprieurii가 분포하였다. 따라서 1986년도산 하동 김의 작황감소의 주된 원인으로 수직부착범위의 감소, 병해, 해황의 변화, 부착생물, 김발의 정리와 관리문제를 들 수 있었다.

  • PDF

원유 유출 지역에서 자연암반과 양식 기질에 서식하는 참굴(Crassostrea gigas)의 초기 가입 특성 및 성장 비교 (Comparison of Recruitment and Growth Patterns of Pacific Oysters (Crassostrea gigas) between a Natural Rocky Shore and Farming Substrate Within an Oil Spill Contaminated Area of Korea)

  • 이혜미;윤건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6권2호
    • /
    • pp.145-156
    • /
    • 2014
  • Macrobenthic biodiversity in the rocky intertidal areas of the Tae-an region, Republic of Korea, has decreased since the Hebei Spirit oil spill in December 2007. We aimed to investigate ecological roles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because recruitment and growth of oysters are critical to the recovery of damaged rocky shore ecosystem. We surveyed two sites monthly: natural rocky substrate and farming substrate, from July 2012 to January 2013 to identify and compare the changes in macrobenthic fauna. The abundance of young oysters was higher at the natural site. On the other hand, the mean height of oyster on the farming substrate was more than twice as great. The abundance of oyster at the natural site increased until October and then continuously decreased until end of study period. However, the abundance of oyster at the farming site constantly decreased from the beginning of study period. These different growth patterns might be attributable to spatial competition between oyster and a barnacle species (Balanus albicostatus) and environmental factors. At the natural site, physical stress factors including dramatic temperature changes and desiccation a few of the major factors limiting growth during aerial exposure. In addition, motile macrobenthos could be detrimental to oysters because they interrupt filter-feeding activities and hence hamper the growth of oysters. We show the higher recruitment of oysters at the natural site and healthy growth in the farming substrate are due to complicated differences in physical and biological stress factors.

인천 연안 미세오손생물 군집 형성과 원생동물의 영향 (The Effects of Protozoa on the Early Formation of Microbial Fouling Communities of Inchon Coastal Waters)

  • 최중기;양은진;이원제;윤원득;심재형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4권4호
    • /
    • pp.349-36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미세오손생물 군집 형성에 있어서 원생동물의 역할을 파악하기 위하여 초기 미생물막 형성과 미세오손생물 군집의 형성 및 부착과정, 부착 박테리아에 대한 원생동물의 포식영향 등이 연구되었다. 이를 위하여 인천내항과 외항(해경부두), 실험실 등에서 부착실험을 10~30일간 계속적으로 수행하였다. 인천내항 실험에서 박테리아와 편모충류는 실험 시작 6시간내에 미생물막을 형성하기 시작하였고 섬모충류는 9시간 경과시에 빈모류가 2 cells $mm^{-2}$ 출현하였다. 부착오손생물인 따개비 Balanus albicostatus의 유생은 실험 첫날부터 부착하기 시작하였다. 수괴가 안정된 인천내항에서 편모충류는 13일경 최대 465 cells $mm^{-2}$ 출현하였고, 섬모충류는 11 일째 63 cells $mm^{-2}$이 최대로 출현하였다. 인천외항에서 편모충류는 초기에 최대 223 cells $mm^{-2}$ 출현하였고, 섬모충류는 5일째 최대 39 cells $mm^{-2}$ 출현하여 인천내항보다는 외항에서 미생물막이 빠르게 발달하였으나 원생동물 출현 개체수는 작았다. 미생물막에 출현한 편모충류는 대부분 자서성인 Metromonas종류와 Bodonids종류였고, 섬모충류는 초기에는 소형 유종섬모충류 종류와 빈섬모충 Strombidium종류였고, 후에는 빈섬모충 Strombidium viridae(60 ${\mu}m$)와 부착성 Suctoria인 Acineta, turherosa가 출현하였다. 오손생물 군집은 따개비 유생이 초기부터 부착하여 7일째 18 개체 $cm^{-2}$ 까지 증가하였다. 이때 따개비 성체가 출현하기 시작하고 9일째부터는 따개비 사체가 발견되기 시작하였다. 이외에 오손생물로 강장동물 Anthozoa sp., 참굴(Crassostrea gigas)유생, 갯지렁이 유생 등이 실험시작 3일 후부터 부착하기 시작하였다. 부착판에 서식하는 요각류 Harpacticus sp. 등과 단각류 등은 미생물막이 잘 발달된 7일 이후에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미생물막 형성에는 알루미늄판이 유리판과 아크릴판보다 다소 유리하였고, 오손생물 군집과 부착판 서식생물 군집의 형성에는 유리판이 알루미늄판 보다 유리하였다. 미생물막 박테리아에 대한 원생동물의 섭취율은 낮은 편이나 포식율은 0.058 $h^{-1}$로 비교적 높아 원생동물이 미생물막 박테리아 개체군 사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tifouling Activity towards Mussel by Small-Molecule Compounds from a Strain of Vibrio alginolyticus Bacterium Associated with Sea Anemone Haliplanella sp.

  • Wang, Xiang;Huang, Yanqiu;Sheng, Yanqing;Su, Pei;Qiu, Yan;Ke, Caihuan;Feng, Danqi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3호
    • /
    • pp.460-470
    • /
    • 2017
  • Mussels are major fouling organisms causing serious technical and economic problems. In this study, antifouling activity towards mussel was found in three compounds isolated from a marine bacterium associated with the sea anemone Haliplanella sp. This bacterial strain, called PE2, was identified as Vibrio alginolyticus using morphology, biochemical tests, and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sequences of 16S rRNA and four housekeeping genes (rpoD, gyrB, rctB, and toxR). Three small-molecule compounds (indole, 3-formylindole, and cyclo (Pro-Leu)) were purified from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V. alginolyticus PE2 using column chromatography techniques. They all significantly inhibited byssal thread production of the green mussel Perna viridis, with $EC_{50}$ values of $24.45{\mu}g/ml$ for indole, $50.07{\mu}g/ml$ for 3-formylindole, and $49.24{\mu}g/ml$ for cyclo (Pro-Leu). Previous research on the antifouling activity of metabolites from marine bacteria towards mussels is scarce. Indole, 3-formylindole and cyclo (Pro-Leu) also exhibited antifouling activity against settlement of the barnacle Balanus albicostatus ($EC_{50}$ values of 8.84, 0.43, and $11.35{\mu}g/ml$, respectively) and the marine bacterium Pseudomonas sp. ($EC_{50}$ values of 42.68, 69.68, and $39.05{\mu}g/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hree compounds are potentially useful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mussel control and/or the development of new antifouling additives that are effective against several biofoul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