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lance

검색결과 11,085건 처리시간 0.04초

Bardach 삼각피판법을 이용한 편측성 불완전 구순열의 수복 경험 (AN EXPERIENCE OF UNILATERAL INCOMPLETE CLEFT LIP REPAIR BY USING BARDACH'S TRIANGULAR FLAP)

  • 유선열;한창훈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8권4호
    • /
    • pp.348-355
    • /
    • 2006
  • 우리는 3예의 편측성 불완전 구순열 환아에서 Bardach 삼각피판법을 사용하여 구순열을 수복하였다. Millard법에 비해 비주기저부와 비익기저부에 부가적인 절개를 가하지 않으므로 술후 반흔을 줄일 수 있었다. 또한 Tennison-Randall법에 비해 간단하면서도 정교한 계측에 의한 작도가 가능하였다. 한편 삼각피판법의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인중 부위의 술후 반흔은 3예 모두 불완전 구순열이었기 때문에 삼각피판의 길이가 짧아 심미적으로 허용할 만하였다. Bardach 삼각피판법은 편측성 불완전 구순열의 수복에 추천할 만한 술식임을 경험하였다.

수분 섭취 및 배설량의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uid Intake and Output Measurements)

  • 최스미;양영희;정연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8-98
    • /
    • 1995
  • The Fluid and electrolytes balance in the body is of critical importance in maintaining good health. When the fluid and electrolyte imbalance is present, patients are in great danger. They must be assessed immediately by a nurse so that appropriate treatment can be started as soon as possible. Patients' fluid intake and output records contain highly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fluid imbalance, but, these records are often inaccurate and the method of recording the fluid intake is not universal for every hospital. Be-cause they are few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a patient's hydration, the ne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fluid intake records is very important.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been done to investigate the accuracy of measurements of patients' fluid intake and outpu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thods used for calculation of fluid intake which is most similar to fluid output in normal adults and hospitalized patients. This study focused on three different calculation methods for fluid intake and compared these to fluid output and developed suggestions as to the ideal way to record fluid in-take. Data for 43 hospitalized patients and 37 normal adul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normal adults, the daily intake of water which enteres by the oral route was 2415m1 (the first method of calculation). The daily intake of water in the form of pure water or some other beverage was 1365m1 (the third method of calculation) The daily intake of water including fresh fruits and vegetables, rice, porridges, and Me m which have water content more than 80% were 2186m1 (the second method of calculation). 2) The urine output of the normal adults was 1350m1. This apprroximates the amount of fluid an adult takes in the form of pure water. 3) In patient group, the total intake of water was 2550m1 (the first method of calculation). The in-take of water in the form of pure water or as some other beverage and IV fluid was 1661m1 (the third method of calculation). The daily in-take of water including foods which have high water content was 2356m1 (the second method of calculation). 4) The urine output of the patient's group was 1728m1. This approximates the amount of fluid an adult takes in the form of pure water. 5) Investigation of the method of calculation of the patient fluid intake showed that among the 31 hospitals studied, only eight use the third method of calculation which reflects the most close value to urine output.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t was indicated that the amount of fluid taken in the form of pure water reflects the most close value to urine output.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third method of calculation which includes water in-take only in the form of pure water or beverage should be used as patients' fluid intake record.

  • PDF

여성건강을 위한 개념적 모형 (Conceptual Model for Women s Health)

  • 이경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933-942
    • /
    • 1997
  • There has recently been an increased interest in women's health from, various disciplines, with different perspectives presented according to each profession's academic background. This has led to many instances of incorrectly defining, or misinterpretation, of the issues even among professionals. Nurse scholars as well as practitioners who work in women's health care need to have a clear conceptual understanding of women's health in order to build a body of knowledge, delineate curricular activities, and set directions for professional nursing interventions. In addition, a conceptual model that may be directly utilized in practice is needed to maintain and promote women's health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 Hybrid model, analyzing conceptual definitions and discussions related to women's health gathered from review of the literature. Further to compare analyticals the concepts and properties observed from field work, so as to present a final definition of women's health and, build a conceptual framework for a united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the concept as well as on nursing practic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consisted of a theoretical stage, field work stage, and final analysis. A heterogeneous group of professionals and lay persons, 39 in all, participated in the field work. Study findings Include several subconcepts under the concept of women's health : a woman's whole life, holistic health, quality of life, awareness of being a woman, individual nursing, self care ability, reproductive health, and family health. Thus, a comprehensive definition was built, 1. e., "Women's health care be defined as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of women through attainment of holistic health throughout the life span. With reproductive health at the core, the concept is directly related to family and national health, and includes taking care of one's own health based on awareness of being a woman and utilizing self care activities. Women's health care issues are unique and allow various responses, therefore women's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apply individual approaches to reach solutions in attaining holistic health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The constructual factors of women's health were found to be reproductive functions, diseases more common in woman, self actualization, mental health, women's health policies, sexuality, midlife changes, and marital relations, with each factor having more than three properties. Positive factors affecting women's health were found to be a normal childbearing process, a healthy lifestyle, active health management, health information, support, and resourc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Negative factors were found to be overwhelming role stress, cultural oppression, gender inequality, distorted sexual identity, economic difficulties, misuse and/or abuse of substances, and stress. The model of women's health may be visualized as a balance scale set upon a woman's life, supporting 4 concentric circles. The innermost circle and second circle incorporate conceptual definitions of women's health, and the outer two circles represent the constructional factors and properties of women's health. Each circle has its own color that symbolizes the conceptual meaning.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are represented as weights at either end of the scale, and are affected by nursing intervention, i. e., health and wellness increase when positive factors are stronger, whereas disease and illness increase when negative factors are stronger. This model is only a preliminary effort and requires much discussion and testing to be further developed. Continuous research is also required.

  • PDF

노인의 건강관련체력과 인지기능 및 고립감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Cognitive Function and Isolation in the Elderly)

  • 이경하;최재원;이나은;강성구;정혜연;천명업;유하나;박지수;박정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85-301
    • /
    • 2018
  •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소재 65세 이상 노인 308명을 대상으로 건강관련체력요인과 인지기능 및 고립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사회인구학적특성(연령, 학력, 음주유무, 배우자유무, 운동참여유무)과 건강관련체력(상지근력, 하지근력, 유연성, 평형성), 인지기능(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 숫자외우기검사) 그리고 고립감(사회적 정서적 고립척도)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노인의 사회인구학적특성에 따라 건강관련체력, 인지기능, 고립감에는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건강관련체력, 인지기능에는 정적상관관계, 건강관련체력, 인지기능과 고립감에는 부적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건강관련체력은 인지기능에 통계적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넷째, 노인의 건강관련체력은 고립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노인의 인지기능은 고립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미래 노인복지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확장 된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MMORPG 개발 후발업체의 과금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lling System of Late Movers in MMORPG)

  • 이남재;설남오;이광재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9-27
    • /
    • 2005
  • 온라인게임 마케팅의 가격정책은 정액선불제와 PC방의 종량제가 대표적이다. 이 두 모델은 대부분의 온라인게임기업 및 MMORPG의 기본 과금방식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점차 선두기업만의 수익구조로 정착되고 있다. 선두기업들의 시장 점유율이 80%를 넘어선 상황에서 후발기업들이 동일한 과금방식을 적용할 경우 경쟁은 불가능해진다. 시험평가에서 호평을 받은 후발 MMORPG 들이 상용화의 벽을 넘지 못하고 도산하고 있는 예가 이를 증명해준다. 후발업체들은 생존과 고객확보차원에서 먼저 무료게임을 선언하고, 이후 아이템의 판매와 경험치, 게임 머니의 배수 서비스로 유도하기도 한다. 그러나 유무료 고객 간의 분쟁을 낳고, 정액제를 기반으로 제작한 게임 콘텐츠의 밸런스가 붕괴되어 게임의 생명을 단축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후발업체의 안정된 수익과 시장진입을 위해서는 기획 단계부터 콘텐츠에 맞는 과금 방식을 설계해야 하며 또 선두업체들과는 차별화된 과금방식을 확보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 아이템 판매와 배수 서비스가 아닌 게임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들 콘텐츠를 저가로 책정함으로써 이용고객들의 소액결재를 유도하는 콘텐츠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이는 현재 게임 시장에서 후발 MMORPG 게임 업체의 새로운 과금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분포형모델을 이용한 지형특성변화에 따른 유출해석

  • 심창석;이순탁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49-254
    • /
    • 2003
  • 분석에 이용된 격자망은 동곡, 고로, 미성, 병천, 효령 및 무성지점에 각각 12개, 30개, 45개, 76개, 46개 및 1265개의 조격자를 구성하였으며 하천의 수로방향 및 경사형태를 세분화하기 위하여 각 지점에 대하여 8개, 24개, 24개, 44개, 12개 및 64개의 세격자로 분할하였다. AGNPS를 이용한 첨두유량의 모의발생 결과치가 동곡, 고로, 미성, 병천, 효령 및 무성지점에서 측정값과 비교하여 각 호우사상별로 상대오차가 1.0~25.0%, 4.0~27.0%, 7.0~29.2%, 2.0~23.9%, 3.0~25.0% 및 3.6~21.0%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분석결과에서 AMCII조건에서는 관측치와 분석결과치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AMCI조건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보였으며 AMCIII조건에서는 다소 큰 값으로 분석되었다. SCS방법에서 제안하는 AMC조건별 CN값을 우리 실정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기 위한 수정 유출곡선지수 $CN_{m}$ /I과 $CN_{m}$/III을 재구성하였으며, 여기에 적용되는 수정 유출 곡선지수식의 계수 a를 추정한 결과, 기왕에 발표된 연구결과와 거의 일치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제안된 수정 CN식을 이용하여 산정한 결과치와 관측치는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AGNPS모델에 의한 유출량 산정에 있어 수문학적 토양피복형수(CN)의 결정을 위하여 선행강우량과 토양의 공극율 및 지형인자인 각 셀마다의 유역경사를 이용하여 관계식(CN =f($X_1$, $X_2$, $X_3$))을 유도하였으며, 분석 결과에서 CN이 선행강우량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유역경사, 토양의 공극율 순으로 나타났다..88mg/$\ell$~의 범위로 나타났다. 무태교 지점에서의 총인의 농도는 0.52mg/$\ell$~0.99mg/$\ell$~의 범위이었다. 신천에 금호강물을 혼합한 이후에도 부유물질, 생화학적산소요구량, 암모니아태 질소, 총인 등의 농도가 개선되지 않았다. 즉 금호강물의 혼합은 신천수질환경사업소에서 배출되는 방류수에 함유되어 있을 2차 오염물질의 희석이라는 이점외의 수질개선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l years and a new type of transfer crane has been developed. Design concepts and control methods of a new crane will be introduced in this paper.and momentum balance was applied to the fluid field of bundle. while the movement of′ individual material was taken into account. The constitutive model relating the surface force and the deformation of bundle was introduced by considering a representative prodedure that stands for the bundle movement. Then a fundamental equations system could be simplified considering a steady state of the process. On the basis of the simplified model, the simulation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co

  • PDF

키토산 분자량 변화에 따른 수중의 여러 중금속들의 제거에 관한 연구

  • 이승원;김동석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92-296
    • /
    • 2003
  • Autoclaving처리를 하지 않은 키토산과 autoclaving처리한 키토산과의 중금속 흡착실험을 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1) 먼저 중금속간의 흡착능을 고찰하기 위하여 Langmuir와 Freundlich 흉착등온식에 적용시켜 본 결과 Freundlich 흡착등온식 보다는 Langmuir 흡착등온식이 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시간에 따라서 autoclaving 처리한 키토산의 중금속 제거 가능성과 그 효율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 중금속간의 Langmuir 흡착등온식을 이용하여 $q_{max}$를 나타냈다. 15 min > 60 min > 0 min 순으로 모든 중금속 제거 실험에서 15 min 동안 autoclaving 처리한 키토산의 중금속 흡착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왔다. 그러므로 기존의 키토산 보다는 15 min동안 autoclaving 처리한 키토산이 중금속 제거에 더 좋은 흡착제로써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 키토산을 이용한 중금속 제거에서는 $Pb^{2+}$ > $Cd^{2+}$ > $Cu^{2+}$ > $Cr^{3+}$순서로 제거가 되었다. 여러 연구자들의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Pb$^{2+}$가 중금속 중에 제거가 잘 된다는 연구 결과가 많이 발표 되었으며, $Cd^{2+}$, $Cu^{2+}$, $Cr^{3+}$의 경우에는 흡착제의 종류에 따라서 제거되는 순서가 다르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 되고 있다. 그러나 어떠한 이유로 중금속의 제거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결론이 내려져 있지 않는 실정이다. 이러한 중금속간의 경쟁적인 관계에 대해 더 많은 세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 같다.는 0.52mg/$\ell$~0.99mg/$\ell$~의 범위이었다. 신천에 금호강물을 혼합한 이후에도 부유물질, 생화학적산소요구량, 암모니아태 질소, 총인 등의 농도가 개선되지 않았다. 즉 금호강물의 혼합은 신천수질환경사업소에서 배출되는 방류수에 함유되어 있을 2차 오염물질의 희석이라는 이점외의 수질개선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l years and a new type of transfer crane has been developed. Design concepts and control methods of a new crane will be introduced in this paper.and momentum balance was applied to the fluid field of bundle. while the movement of′ individual material was taken into account. The constitutive model relating the surface force and the deformation of bundle was introduced by considering a representative prodedure that stands for the bundle movement. Then a fundamental equations system could be simplified considering a steady state of the process. On the basis of the simplified model, the simulation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could be confirmed by the experiments under various conditions.뢰, 결속 등 다차원의 개념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와 최근 제기되고 있는 이론

  • PDF

Dlx3 Plays a Role as a Positive Regulator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 Cha, Ji-Hun;Ryoo, Hyun-Mo;Woo, Kyung-Mi;Kim, Gwan-Shik;Baek, Jeong-Hwa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2권3호
    • /
    • pp.85-91
    • /
    • 2007
  • Dlx3 is a homeodomain protein and is known to playa role in development and differentiation of many tissues. Deletion of four base pairs in DLX3 (NT3198) is causally related to tricho-dento-osseous (TDO) syndrome (OMIM # 190320), a genetic disorder manifested by taurodontism, hair abnormalities, and increased bone density in the cranium. Although the observed defects of TDO syndrome involves bone, little is known about the role of Dlx3 in bone remodeling proces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wild type DLX3 (wtDlx3) expression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compared it with that of 4-BP DEL DLX3 (TDO mtDlx3). To examine whether Dlx3 is expressed during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RAW264.7 cells were cultured in the presence of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B ligand (RANKL). Dlx3 protein level increased slightly after RANKL treatment for 1 day and peaked when the fusion of prefusion osteoclasts actively progressed. When wtDlx3 and TDO mtDlx3 were overexpressed in RAW264.7 cells, they enhanced RANKL-induced osteoclastogenesis and the expression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marker genes such as calcitonin receptor, vitronectin receptor and cathepsin K. Since osteoclast differentiation is critically regulated by the balance between RANKL and osteoprotegerin (OPG), we examined the effect of Dlx3 overexpression on expression of RANKL and OPG in C2C12 cells in the presence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Overexpression of wtDlx3 enhanced RANKL mRNA expression while slightly suppressed OPG expression. However, TDO mtDlx3 did not exert significant effects. This result suggests that inability of TDO mtDlx3 to regulate expression of RANKL and OPG may contribute to increased bone density in TDO syndrome patients. Taken together, it is suggested that Dlx3 playa role as a positive regulator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via up-regulation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associated genes in osteoclasts, as well as via increasing the ratio of RANKL to OPG in osteoblastic cells.

방사선 및 원자력 관련 법제가 반영하는 기본권 (Fundamental Rights Reflected by the Legislation Regarding Radiation and Nuclear Power)

  • 한은옥;이재성;조홍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1권1호
    • /
    • pp.15-29
    • /
    • 2016
  • 연구배경: 방사선이용 및 원자력발전의 외향적 성장에 비해 국민이 우려하는 건강권, 환경권, 안전권, 알권리, 발전권, 생존권 등 기본권과의 관계 분석은 전무한 상태이다. 재료 및 방법: 방사선 및 원자력 관련 실정법 내용을 가능한 높은 수준의 권리보장이라는 최대주의적 관점에서 다수의 기본권 분석을 통해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법률적 보완 방안을 도출하였다. 결과 및 논의: 한국 헌법에 방사선 및 원자력발전과 직접 관계된 기본권 내용은 최소한 12개 조항으로 다수의 권리와 관계된다. 방사선 및 원자력관련 실정법 14종에 헌법적 기본권이 다양한 조항으로 모두 반영되어 있다. 다수의 기본권이 함께 적용된 방사선 및 원자력 관련 실정법은 인간 삶의 질 향상 목적에서 생존권을 우선으로 한 건강권, 환경권, 알권리, 안전권이 작동되어야 하는 것인지, 생존권, 건강권, 환경권, 알권리, 안전권이 같은 크기로 작동되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상대적 우위에 대해서는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고, 인간영역에서 단시간에 평가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이다. 결론: 원자력, 방사선의 이용증진 측면과 위험 리스크 발생방지 측면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조화롭게 추구해야 하는 정책은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중요한 일이고, 권리 간 조화를 위해 올바른 가치판단이 필요하다.

Class II 부정교합환자의 Trainer for Kids(T4K)를 이용한 조기치료 : 증례보고 (Early Treatment of a Class II Malocclusion with the Trainer for Kids (T4K): A Case Report)

  • 안소연;김아현;심연수;김민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1호
    • /
    • pp.101-110
    • /
    • 2013
  • T4K는 혼합치열기의 2급 부정교합 환자에게 사용되는 기능성, 가철성 교정장치이다. 기능성 교정장치의 경우 치열과 악골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구강안면부의 근육의 부조화를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T4K에 포함된 lip bumper는 과도한 하순의 힘을 차단하여 주고, 하순 내측 전정을 자극하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부적절한 혀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는 요소는 환자들이 장치를 장착하는 동안 부가적인 혀 운동을 할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2급 부정교합 환자의 경우 하악 열성장을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 장치는 상악 치아를 고정원으로 하여, 하악을 전방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극하여 부족한 하악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함께 부가적으로 Labial bow와 같은 역할을 하는 요소는 상악 치열의 개선에 도움을 준다. T4K는 기성품으로 작은 부피와 부드러운 질감으로 어린 환자들의 장착 동의율을 높이는 데 장점을 가진다.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산본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혼합치열기의 2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요약 1. T4K를 혼합치열기의 2급 부정교합 환자에게 사용하여 안모의 개선을 얻었다. 2. 과도한 수직, 수평 피개교합이 개선되었다. 3. 하악 열성장 환자에서 T4K를 장착하여 하악 성장을 촉진하는 결과를 얻었다. 4. 구호흡 등과 같은 구강악습관의 개선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