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kground Information

검색결과 4,890건 처리시간 0.049초

축구 동영상 분석을 위한 배경 분리 알고리즘들의 정량적 비교 평가에 관한 연구 (Objective Evaluation of Background Subtraction Algorithms for Soccer Video Analysis: An Experimental Comparative Study)

  • 정찬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1호
    • /
    • pp.42-4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축구 동영상" 분석을 위한 "최적의" 배경 분리 알고리즘을 결정하기 위하여 정량적인 비교 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섯 가지 서로 다른 배경 분리 알고리즘을 동일한 실험 환경에서 비교 평가하였다. 정량적인 비교 평가를 위해 Precision, Recall 및 F-measure를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정량적 비교 평가 결과는 지능형 축구 동영상 분석 시스템 개발을 위해 배경 분리 기술을 이용하거나 축구 동영상에 특화된 배경 분리 기술을 연구하고자 하는 연구자 및 개발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Flaw Detection in Ceramics using Hough transform and Least squares

  • Hong, Dong-Jin;Cha, Eui-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23-29
    • /
    • 2015
  • In this paper, we suggest a method of detecting defects by applying Hough transform and least squares on ceramic images obtained from non-destructive testing. In the ceramic images obtained from non-destructive testing, the background area, where the defect does not exist, commonly show gradual change of luminosity in vertical direction. In order to extract the background area which is going to be used in the detection of defects, Hough transform is performed to rotate the ceramic image in a way that the direction of overall luminosity change li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much as possible. Least squares are then applied on the rotated image to approximate the contrast value of the background area. The extracted background area is used for extracting defects from the ceramic images. In this paper we applied this method on ceramic images acquired from non-destructive testing. It was confirmed that extracted background area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for searching the section where the defect exists and detecting the defect.

스테레오 동영상에서의 좌우 영상 바뀜 검출 기법 (Detection of View Reversal in a Stereo Video)

  • 손지덕;송병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5호
    • /
    • pp.191-198
    • /
    • 2013
  • 본 논문은 스테레오 동영상에서 깊이 정보와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좌영상과 우영상이 바뀐 것을 검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스테레오 정합 기법을 통해 깊이 정보를 얻어 영상을 전경과 배경 영역으로 나누고 움직임 추정 기법을 이용해 움직임 벡터를 얻는다. 제안 기법은 전경이 인접한 배경 쪽으로 움직이거나 배경이 인접한 전경 쪽으로 움직였을 때 가려짐이 발생하는 영역이 배경이라는 것을 이용한다. 그러나 좌영상과 우영상이 바뀐 경우에는 깊이 정보가 반대로 얻어져 전경과 배경 영역도 반대로 얻어지므로 위와 같은 움직임이 있을 경우에 가려짐이 발생하는 영역은 전경이다. 따라서 좌영상과 우영상이 바뀐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 기법이 전경에 의해 배경 영역이 충분히 가려지는 경우 높은 검출률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차량 추적 시스템을 위한 적응적 배경 영상 생성 (Adaptive Background Generation for Vehicle Tracking System)

  • 장승호;정정훈;신정호;박주용;백준기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신호처리소사이어티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3-416
    • /
    • 2003
  • This paper proposes an adaptive background image generation method based on the frame difference for traffic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the conventional method is limited when there are more vehicles due to traffic Jam. To improve on this, we use frame differencing to separate vehicles from background in frame differencing, we adopt selective approach by using part of the image not considered as vehicle fer extraction of background. The proposed method generates background more efficiently than conventional methods even in the presence of heavy traffic.

  • PDF

텍스트-배경무늬 혼합문서로부터 수리형태학을 이용한 문자열 추출 (String extraction from text-background mixed documents using mathematical morphology)

  • 성연진;어진우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4S권10호
    • /
    • pp.104-111
    • /
    • 1997
  • It is known as a difficult problem to recognize text-background mixed documents. In this paper a new string extraction algorithm, using mathematical morphology for the document consisting of text and overlapped periodic background pattern, is proposed. The algorithm consists of pattern periodicity feature extraction and background removal. The extracted pattern periodicity feature is used to determine the shape of structuring elements for morphological pre- and post-processing to remove backgrou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over the existing one is also verified through the experiments with various test documents.

  • PDF

교통 환경 분석을 위한 움직임 기반 배경영상 추출 (Motion-Based Background Image Extraction for Traffic Environment Analysis)

  • 오정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919-1925
    • /
    • 2013
  • 본 논문은 스쿨존 영역의 교통 환경 분석을 위한 배경영상 추출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교통 환경에서 수시로 발생되는 밝기 변화와 정지 객체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전자를 위해 고속 Sigma-Delta 알고리즘을 이용해 배경영상을 현 프레임으로 고속 갱신하고, 후자를 위해 직전 프레임과 오랜 시간의 평균 배경영상을 이용해 동적 영역을 검출하여 정지 객체를 배경영상에서 배제한다. 실험 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 알고리즘들과 비교하여 밝기 변화에 빠르게 잘 적응하고 있고, 배경영역의 SAD (Sum of Absolute Differences)를 약40~80% 정도를 줄여주고 있다.

정지 물체를 고려한 적응적 배경생성 알고리즘 (An Adaptive Background Formation Algorithm Considering Stationary Object)

  • 정종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55-62
    • /
    • 2014
  • 배경과 현재 프레임 영상간의 차영상을 이용하여 이동 물체를 탐지하는 방법은 비디오 감시 시스템에서 가장 보편적인 방법 중 하나이지만 신뢰할 수 있는 배경의 생성은 여전히 쉽지 않은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지 물체를 고려한 적응적 배경 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영상들의 산술 평균을 이용하여 초기 배경을 생성한다. 배경과 현재 영상간의 차영상을 구하여 물체를 탐지한 다음, 탐지된 물체가 일정시간이상 계속 정지해 있는 경우에는 그 물체를 정지 물체로 간주하고 정지 물체 영역을 배경으로 갱신한다. 한편, 이동 물체인 경우에는 배경 갱신에서 현재 프레임을 배제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물체를 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된 방법은 점진적인 조명의 변화, 느리게 이동하는 물체, 정지 물체 등이 존재하는 동영상에서도 적응적으로 배경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실험을 통해 확인되었다.

자동 배경 영상 추출 및 갱신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tomatic Background Extraction and Updating Method)

  • 김덕래;하동문;김용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신호처리소사이어티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38
    • /
    • 2003
  • In this paper, I propose an automatic background extraction method and continuous background updating technique. Because there is a movement of a vehicle and a change of a background is feeble, the area moving through the time axis is looked for and a background and a vehicle image is divided. A way to give dynamically the threshold which divides the image frame into a vehicle image and the background in a space is enforced. Through the repeti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cess, the background pictorial image is gained. Using the karlman filter technique, the update is done so that a background image can obey a climate situation and an environmental change in day and night. A background image processed algorithm is better than the existent one. Through simulation, the feasibility of the algorithm has been verified.

  • PDF

드러난 영역 예측을 이용한 초저 비트율 동영상 부호화 (Very Low Bit Rate Video Coding Algorithm Using Uncovered Region Prediction)

  • 정영안;한성현;최종수;정차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771-781
    • /
    • 1997
  •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uncovered background region due to the region-due to the region-based motion estimation,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 which generates the uncovered region memory using motion estimation and shows the application of the algorithm for very low bit rate video coding.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it detects the changed region by using the information of FD(frame difference) and segmentation, and then as for only that region the backward motion estimation without transmission of shape information is done. Therefore, from only motion information the uncovered background region memory is generated and updated. The contents stored in the uncovered background region memory are referred whenever the uncovered region comes into existence. The regions with large prediction error are transformed and coded by using DCT. As results of simulation,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the superior improvement in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image quality due to the remarkable reduction of transmission bits for prediction error.

  • PDF

Color Space Based Objects Detection System from Video Sequences

  • Alom, Md. Zahangir;Lee, Hyo Jong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47-350
    • /
    • 2011
  • This paper propose a statistical color model of background extraction base on Hue-Saturation-Value(HSV) color space, instead of the traditional RGB space, and shows that it provides a better use of the color information. HSV color space corresponds closely to the human perception of color and it has revealed more accuracy to distinguish shadows [3] [4]. The key feature of this segmentation method is based on processing hue component of color in HSV color space on image area. The HSV color model is used, its color components are efficiently analyzed and treated separately so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adapt to different environmental illumination condition and shadows. Polar and linear statistical operations are used to calculate the background from the video fram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background subtraction method can automatically segment video objects robustly and accurately in various illuminating and shadow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