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TiO%24_3%24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7초

Glycine-Nitrate 법에 의한 BaTiO$_3$ 분말의 합성 및 그 특성(Part I) (Synthesis of the BaTiO$_3$ Powders by the Glyscine-Nitrate Process and Its Properties (Part I))

  • 박지애;김구대;이홍림;이동아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857-863
    • /
    • 1998
  • MLCC(Multilayer ceramic capacitor) 등의 전자 세라믹스 분야에서 폭넓게 이용되는 BaTiO3 분말 제조를 위해 GNP(Glycine-Nitrate process)법을 이용하였다. 일반적인 GNP법과는 달리 출발물질로 카보네이트와 알콕사이드를 도입했고, 연소반응의 산화제 및 출발물질의 용매로써 질산을 사용하였으며, 연소합성시의 연료인 글리신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분말을 합성하였다. 연소합성된 분말의 특성은 helium pycnometer, XRD, N2 흡착을 이용한 BET, 주사전자현미경 등으로 분석하였다. 제조된 전구체 분말은 100$0^{\circ}C$로 하소시에 단일상의 BaTiO3 상으로 전이되었으며, 조성이 1.2인 경우 24m2/g의 높은 비표면적 값을 나타내었다.

  • PDF

Glycothermal법에 의해 제조된 $BaTiO_3$ glycolate의 특성 (Glycotherm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BaTiO_3$ glycolate)

  • 길현식;;임대영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7
    • /
    • pp.286-287
    • /
    • 2006
  • Barium titanate ($BaTiO_3$) glycolate particles were synthesized at temperature as low as $100^{\circ}C$ through glycothermal reaction by using $Ba(OH)_2{\cdot}8H_2O$ and amorphous titanium hydrous gel as precursors and ethylene glycol as solvent. The particle size and morphology of $BaTiO_3$ glycolate powders can be controlled by varying the reaction conditions such as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Ba:Ti molar ratio of starting precursors. After glycothermal treatment at $220^{\circ}C$ for 24 h in 1.25:1(Ba:Ti),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BaTiO_3$ glycolate powder was about 200-400 nm and low agglomeration. $BaTiO_3$ powders were formed by heat-treating the glycolate powder in air at $500-1000^{\circ}C$. As a result, the size of $BaTiO_3$ crystallites changed from around 50-300 nm. It is also demonstrated that the size and shape of $BaTiO_3$ particles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calcination temperature. The $BaTiO_3$ particles obtained from optimum synthesis condition were pressed, sintered and measured for the dielectric property. The $BaTiO_3$ ceramics sintered at $1250^{\circ}C$ for 2 h had 98 % of theoretical density. The ceramics have an average grain size of about $1\;{\mu}m$ and displays the high dielectric constant (~3100) and low dielectric loss (<0.1) at room temperature.

  • PDF

Glycothermal법을 이용한 나노 사이즈 BaTiO3분말의 제조 (Preparation of Nano-size BaTiO3 Powders Using Glycothermal Method)

  • 김병규;임대영;노준석;조승범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642-64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TiCl$_4$를 가수분해 시켜 제조한 비정질의 titanium hydrous gel과 Ba(OH)$_2$.8$H_2O$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였으며, 반응용매로써 1,4-butanediol과 distilled water를 이용하여 나노 사이즈 BaTiO$_3$분말을 제조하였다. 용매로써 사용된 1,4-butanediol과 distilled water의 부피비에 따라 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습식화학법의 단점이었던 분말의 응집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22$0^{\circ}C$의 비교적 낮은 반응온도에서 분산성이 우수하고, 입도분포가 좁은 약 50~200nm의 barium titanate 나노 분말을 제조하였다.

전기화학 합성 (Fabrication of Electrochemical method)

  • 이상헌;최용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4-284
    • /
    • 2010
  • YBCO ceramic specimens were fabricated by added $BaTiO_3$ as donors and sintered $950^{\circ}C$/24hrs. Average grain size decreased with increased in added $BaTiO_3$. Affect to grain growth. XRD result, peak strength was lowed then crystallization not well all specimens. All specimens critical temperature about 90k.

  • PDF

Oxalic Acid법으로 합성한 $BaTiO_3$ 분말과 소결한 PTC 세라믹스에 대한 하소조건의 효과 (Effect of the Calcination Conditions for the Synthesized $BaTiO_3$ Powder and the Sintered PTC Ceramics by Oxalic Acid Method)

  • 이미재;황선아;최병현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1378-1386
    • /
    • 1994
  • The characteristic of calcined BaTiO3 powder and sintered PTC ceramics was investigated varing with calcination temperature and time of BaTiO(C2O4)2.4H2O synthesized from BaCl2.2H2O, TiCl4, oxalic acid and ethanol by oxalic acid method. When the particle size was less than 0.1 ${\mu}{\textrm}{m}$ by controlling calcination temperature and time, the resistance at room temperature was measured very high (above M{{{{ OMEGA }}). However, when the calcined particle sizes ranged from 0.2 to 0.3 ${\mu}{\textrm}{m}$, the resistance was 100 {{{{ OMEGA }} (After sintering, the grain size was 10~30 ${\mu}{\textrm}{m}$ homogeneously with the addition of dopant in sintering, the resistivity, resistance, $\alpha$ value and jumped to were 110{{{{ OMEGA }}.cm, 24$^{\circ}C$/% and 106{{{{ OMEGA }}, respectively.

  • PDF

$BCl_3/Cl_2/Ar$ 고밀도 플라즈마에 의한 $(Ba, Sr)TiO_3$ 박막의 식각 메커니즘 연구 (A Study on the Etching Mechanism of $(Ba, Sr)TiO_3$ thin Film by High Density $BCl_3/Cl_2/Ar$ Plasma)

  • 김승범;김창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7권11호
    • /
    • pp.18-24
    • /
    • 2000
  • (Ba,Sr)$TiO_3$ 박막은 ULSI-DRAM 즉 1-4 Gbit급 DRAM용 셀(cell) 커패시터의 새로운 유전물질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CP 장비에서 $BCl_3/Cl_2/Ar$ 플라즈마로 (Ba,Sr)$TiO_3$ 박막을 식각하였다. 이때 RF power/dc bias voltage는 600W/-250V, 반응로의 압력은 10mTorr 이었다. $Cl_2/(Cl_2+Ar)$은 0.2로 고정하였고, $BCl_3$ 가스를 첨가하면서 (Ba,Sr)$TiO_3$ 박막을 식각하였다. $BCl_3$ 가스를 10% 첨가하였을 때, $480{\AA}/min$으로 (Ba,Sr)$TiO_3$ 박막은 가장 높은 식각 속도를 나타내었다. $Cl_2/Ar$가스에 $BCl_3$의 첨가 비에 따른 Cl, BCl 및 B의 라디칼 밀도를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OES)에 의해 구하였다. $BCl_3$를 10% 첨가하였을 때 Cl의 라디칼 밀도가 가장 높았다. (Ba,Sr)$TiO_3$ 박막의 표면반응을 규명하기 위하여 XPS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이온 bombardment 식각이 Ba-O 결합을 파괴하고 Ba와 Cl의 결합형태인 $BaCl_2$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Sr과 Cl의 결합의 양은 많지 않고, Sr은 주로 물리적인 스퍼터링에 의하여 제거된다. Ti와 Cl은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TiCl_4$ 결합형태로 용이하게 제거된다. 식각후 단면사진을 SEM을 통해 본 결과 식각단면이 약 65~70$^{\circ}$ 정도였다.

  • PDF

$Sb_2O_3$와 ZnO를 첨가한 Barium Titanate의 유전성 (Dielectric Properties of Barium Titanate with $Sb_2O_3$ and ZnO)

  • 윤기현;김종우;송효일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1-126
    • /
    • 1984
  •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BaTiO_3$ containing 0~0.3mol% and ZnO respectively as additives were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from $25^{\circ}C$ to 14$0^{\circ}C$ and frequency from 24 KHz to 15MHz. The density of sintered $BaTiO_3$ was increased with addition of increasing to 0.15mol% amounts of $Sb_2O_3$ and the dielectric constant was also increased. This is due to space charge polarization with Ba vacancies. Above 0.15mol% $Sb_2O_3$ the density was decreased and the dielectric constant was also decreased due to occuring the discharge through voids. The density of sintered $BaTiO_3$ was decreased with addition of increasing to 0.15mol% amounts of ZnO and the dielectric constant was decreased due to occuring the discharge through voids. Above 0.15mol% ZnO the density was increased and the dielectric constant was also increased.

  • PDF

고상 반응법을 이용한 $BaTiO_3$ 나노 분말 제조 및 특성 평가 (Manufacturing of $BaTiO_3$ Nano-powder by Solid Reaction and Its Evaluations)

  • 손용호;우덕현;윤만순;어순철;류성림;권순용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21
    • /
    • pp.217-217
    • /
    • 2008
  • $BaTiO_3$는 perovskite 구조를 가지는 대표적인 강유전체 재료로서 MLCC (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PTC thermistor 등에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그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제 $BaTiO_3$ 분말 제조의 대표적인 합성법으로는 하소와 분쇄공정이 없는 수열합성법이 대표적이나, 나노 사이즈로 제작시 $BaTiO_3$는 마이크로 크기와 달리 입방정상으로 우세한 상태로 존재한다. 이는 제조과정 중의 hydroxyl defect의 영향과 나노 분말의 표면에너지 증가 때문이라고 보고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인 세라믹 제조 방법인 고상반응법을 이용한 나노 사이즈의 $BaTiO_3$ 제조를 위한 최적의 공정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성은 $BaTiO_3$와 반응온도를 낮추기 위한 anatase의 $TiO_2$를 사용하였고, $BaCO_3/TiO_2$ 의 조성비 (1. 1.01, 1.02, 1.03)를 제어하여 혼합한 후, 24h ball-mill 하여 하소 온도 ($860^{\circ}C{\sim}1000^{\circ}C$) 변화에 따른 입자 사이즈와 입도 분포를 측정하였다. 제조된 $BaTiO_3$분말의 결정 구조 분석을 위하여 XRD (X-ray diffraction) 분석을 수행 하였는데, 분석 결과로부터 제조된 분말들이 정방정 (tetragonal)의 perovskite구조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말의 미세구조 확인을 위하여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관찰을 수행하였는데, 나노 사이즈의 구형 분말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메탄올 광분해 수소제조를 위한 ATiO3 (A = Ca, Sr, Ba) Perovskite 광촉매의 Ni 첨가 영향 (Effect of Ni Addition on ATiO3 (A = Ca, Sr, Ba) Perovskite Photocatalyst for Hydrogen Production from Methanol Photolysis)

  • 곽병섭;박노국;이태진;이상태;강미숙
    • 청정기술
    • /
    • 제23권1호
    • /
    • pp.95-103
    • /
    • 2017
  • 본 연구는 비 $TiO_2$ 계 광촉매 중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ATiO_3$ (A = Ca, Sr, Ba) perovskite를 sol-gel 법을 이용해 합성하였고, 골격치환이 용이한 점을 이용해 A site에 Ni을 첨가한 입자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ATiO_3$와 Ni-$ATiO_3$ 입자의 불리화학적 특성은 X-선 회절분석(XRD), 자외선-가시선 분광광도계(UV-visible spectroscopy), 주사전자현미경 (SEM), 에너지분산형 분광분석법(EDS), 질소 등온 흡 탈착실험, X선 광전자분광법(XPS)을 이용해 확인하였다. 수소제조는 메탄올을 광분해하여 얻었으며, $ATiO_3$ 보다 Ni-$ATiO_3$ 촉매에서 높은 수소발생량을 나타내었다. 특히 Ni-$SrTiO_3$ 촉매를 사용하였을 때 24시간 반응 후 $273.84mmolg^{-1}$의 수소가 발생하였다. 또한 Ni-$SrTiO_3$ 촉매는 물(0.1 M KOH)을 분해하였을 때에도 높은 수소 제조 성능을 나타냈으며, 24시간 반응 후 $961.51mmolg^{-1}$의 수소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비정질 Ba-Ferrite로부터 추출한 BaFe12O19 입자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aFe12O19 Particles Extracted from Amorphous Ba-Ferrite)

  • 김태옥;오영우;박효열;강원호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53-560
    • /
    • 1987
  • Amorphous ferrites with composition B2O3-mBaO-nFe2O3 were prepared by an ultra rapidquenching technique. X-ray patterns and SEM reveal the products to be amrophous at room temperature. BaFe12O19 fine particles extracted from amorphous Ba-ferrites which additived Al2O3, SiO2, TiO2 and CoO have narrow size distribution, average 0.2$\mu\textrm{m}$, and coercive force, average 1400 Oe, increased with increasing TiO2 amounts. The obtained BeFe12O19 fine particles would be appreciated as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med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