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W

검색결과 1,738건 처리시간 0.042초

새로운 메타 휴리스틱 최적화 알고리즘의 개발: Exponential Bandwidth Harmony Search with Centralized Global Search (Development of the Meta-heuristic Optimization Algorithm: Exponential Bandwidth Harmony Search with Centralized Global Search)

  • 김영남;이의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8-1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Harmony Search(HS)의 성능을 강화한 Exponential Bandwidth Harmony Search with Centralized Global Search(EBHS-CGS)를 개발하였다. EBHS-CGS는 HS의 성능 강화를 위해 총 두 가지 방법을 추가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지역탐색을 강화하기 위한 Bandwidth(bw) 개량방안이다. 이 방법은 기존 bw를 지수형태의 bw로 대체하여 적용함으로써 반복시산이 진행되면서 bw값을 줄인다. 이러한 형태의 bw는 정밀한 지역탐색을 가능하고, 이를 통해 알고리즘은 더욱 정밀한 값을 구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효과적인 전역탐색을 위한 탐색범위 축소이다. 이 방법은 Harmony Memory(HM) 내에서 가장 좋은 결정변수를 고려하여 탐색범위를 축소한다. 이를 Centralized Global Search(CGS)라 하며, 이 과정은 새로운 매개변수 Centralized Global Search Rate(CGSR)에 의해 HS의 전역탐색과는 별도로 진행된다. 축소된 탐색범위는 효과적인 전역탐색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알고리즘의 성능이 향상된다. EBHS-CGS를 대표적인 최적화 문제(수학 및 공학 분야)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HS와 Improved Harmony Search(IHS)와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17{\alpha}-methyltestosterone$에 의한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성전환 유도 (Induced Sex Reversal of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by $17{\alpha}-methyltestosterone$)

  • 송영보;백혜자;김형배;이경준;;이명돈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67-172
    • /
    • 2005
  • 능성어 정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하여 MT $0.5{\sim}2.0mg/kg$ BW를 어체 근육내 삽입하여 성전환을 유도하였다 사용한 실험어는 전장 $41.0{\pm}1.3cm$, 체중 $1.4{\pm}0.1kg$이었다. 실험 시작시 능성어 생식소는 주로 gonia cells과 주변인기 단계 난모세포를 가지고 있었다. 실험 종료시 대조구의 생식소는 실험 시작시와 유사하였다. 0.5 mg MT/kg BW 처리구 생식소는 실험 종료 때 소엽내강에 정원세포와 정세포 그리고 정자무리들이 대부분 차지하고 기부에 수정관이 형성되었으나, 일부 어린 난모세포들이 산재하였다. 1.0과 2.0 mg MT/kg BW처리구는 소엽내강과 기부의 수정관에 정자무리들로 가득 차 있었다. 정자는 $1.0{\sim}2.0mg$ MT/kg BW 처리구에서 얻을 수 있었다. MT 처리구의 T혈중농도는 대조구보다 2주 후부터 6주 후까지 높았으나(P<0.05), 배정이 가능한 8주째 대조구와 유사하였다(P>0.05). 11-KT 혈중농도는 MT 1.0처리구는 2주 후부터 6주째까지, 2.0 mg MT/kg BW 처리구는 2주 후부터 실험 종료 때까지 대조구 보다 높았다(P<0.05). $E_2$는 모든 실험어 일부에서 검출되었다.

Rhizoctonia solani에 의한 결구상추 밑둥썩음병 방제균주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BW-13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BW-13 Active Against Rhizoctonia solani Causing Crisphead Lettuce Bottom Rot)

  • 김한우;박종영;김현주;이광렬;이진우;최우봉;이선우;문병주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152-157
    • /
    • 2005
  • 결구상추 밑둥썩음병의 병원균 Rhizoctonia solani에 대한 길항세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결구상추 재배 포장에서 결구상추의 밑둥부위, 뿌리조직 그리고 근권토양에서 세균 702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주 중에서 대치배양에 의해 길항능을 나타낸 7균주를 선발하였으며, 그 중 포트검정 실험에서 유묘와 성체식물에서 발병억제효과가 우수한 BW-13균주를 길항균으로 최종선발하였다. 최종 선발된 BW-13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생리$\cdot$생화학적 특성, API test 및 16S rDNA sequence를 분석한 결과 Stenotrophomonas maltophilia로 동정되었으며, 본 균주를 S. maltophilia BW-13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 maltophilia BW-13이 결구상추 밑둥썩음병의 생물적 방제원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Genetic Relationship of Gestation Length with Birth and Weaning Weight in Hanwoo (Bos Taurus Coreanae)

  • Hwang, J.M.;Choi, J.G.;Kim, H.C.;Choy, Y.H.;Kim, S.;Lee, C.;Kim, J.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5호
    • /
    • pp.633-639
    • /
    • 2008
  • The genetic relationship of gestation length (GL) with birth and weaning weight (BW, WW) was investiga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Hanwoo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Republic of Korea. Analytical mixed models including birth year‐season, sex of calf, linear and quadratic covariates of age of dam (days) and linear covariate of age at weaning (days) as fixed effects were used. Corresponding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REML) and Bayesian estimates of variance components and heritability were obtained with two models; Model 1 included only direct genetic effect and Model 2 included direct genetic, maternal genetic and permanent environmental effect. All the genetic parameter estimates from REML were corresponding to the Bayesian estimates. Direct heritability estimates for GL, BW, and WW were 0.48, 0.33 and 0.25 by Model 1. From Model 2, direct and maternal heritability estimates were 0.38 and 0.03 for GL, 0.14 and 0.05 for BW, and 0.08 and 0.05 for WW. Genetic correlation estimates between direct and maternal effects were 0.05 for GL, 0.59 for BW, and 0.52 for WW. Estimates of direct genetic correlation between GL and BW (WW) were 0.44 (0.21). Positive genetic correlation of GL with BW and WW imply that selection for greater BW or WW would lead to prolonged gestation length.

인공 무릎관절에서 자화율 인공물의 감소를 위한 O-MAR XD 기법의 평가 (Evaluation of O-MAR XD Technique for Reduction of Magnetic Susceptibility Artifact of Knee Implant)

  • 이정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5호
    • /
    • pp.413-419
    • /
    • 2018
  •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patients with metallic implant has poor image quality, and signal loss and artifacts including distortion can occu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a comparative evaluation on high receive bandwidth(hiBW), O-MAR, O-MAR XD to reduce artifacts in knee implant. To take MRI, 3.0T scanner and dual-source radiofrequency transmission were used. O-MAR XD technique's strong op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with O-MAR XD technique's weak option, O-MAR and hiBW excluding the medium option. O-MAR XD's medium optio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with O-MAR XD's weak, O-MAR and hiBW. O-MAR XD technique's weak optio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with O-MAR XD's strong and medium options, O-MAR and hiBW. O-MAR techniqu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with strong, medium, weak options of O-MAR XD technique except for hiBW. HiBW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with strong, medium and weak options of O-MAR XD technique except for O-MAR. The results showed that O-MAR XD technique was more useful for MRI scan for patients with knee replacement surgery than traditional techniques such as hiBW or O-MAR, and susceptibility artifacts decreased more when O-MAR XD technique's strong or medium option was applied.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is consider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acquire images whose susceptibility artifacts were highly decreased by using O-MAR XD technique's strong or medium option when conducting MRI for artificial knee joint and it will be helpful for checking and monitoring patients with knee joint replacement.

Effect of tuberculosis treatment on leptin levels, weight gain, and percentage body fat in Indonesian children

  • Mexitalia, Maria;Dewi, Yesi Oktavia;Pramono, Adriyan;Anam, Mohammad Syarofi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0권4호
    • /
    • pp.118-123
    • /
    • 2017
  • Purpose: Tuberculosis (TB) remains a problem in the community. TB patients usually experience malnutri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both decreased body weight (BW) and body fat percentage (BFP). Leptin, an important regulator of BW,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cellular immunity, which is integral to defense against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fection. We analyzed the effect of an anti-TB treatment regimen on the leptin level, BW, and BFP of children with TB.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group interrupted time series. The subjects were children with probable TB according to clinical criteria based on an Indonesian scoring system adopted from the Consensus of Expert Panel. BW; BFP; energy intake; fat and protein intake; and leptin levels before, 2 months after (intensive phase), and 6 months after (continuation phase) anti-TB treatment, were measured. About 40 children, aged 5-14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The BW, BFP and leptin level increased from before treatment to after completion of the intensive phase and still showed an increased during the continuation phase: BW 18.65 kg, 19.75 kg, and 20.85 kg; BFP 18.3%, 19.5%, and 20.2%; and leptin level 1.9 mg/dL, 3.07 mg/dL, and 3.4 mg/dL, respectively (P<0.01). Conclusion: Leptin level, BW, and BFP increased throughout the course of anti-TB treatment, compared with pretreatment valu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data for healthy children.

Protective effect of soursop (Annona muricata linn.) juice on oxidative stress in heat stressed rabbits

  • Jimoh, Olatunji Abubakar;Ayedun, Eyanlola Soladoye;Oyelade, Waheed Abimbola;Oloruntola, Olugbenga David;Daramola, Olajumoke Temidayo;Ayodele, Simeon Olugbemiga;Omoniyi, Idowu Samuel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0권11호
    • /
    • pp.28.1-28.6
    • /
    • 2018
  • Background: Preventing oxidative stress in heat stressed animals may be possible by increasing antioxidant defence via exogenous administration of antioxidant substrate and/or its precursors.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ursop juice in mitigating oxidative stress induced by heat stress in rabbit. Methods: Sixty mixed breed rabbit bucks aged 12-18 months old with the average weight of $1826{\pm}8.35$ g/rabbit, randomly allotted to experimental treatments of four replicates each,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during high-temperature humidity index in Ado Ekiti, Southwest Nigeria. Soursop juice (SSJ) was administered via oral drenched daily per kg body weight (BW), to designated treatment 1 to 5; $0.55mlkg^{-1}BW$ distilled water (control), $0.55mlkg^{-1}BW$ SSJ, $1.11mlkg^{-1}BW$ SSJ, $1.67mlkg^{-1}BW$ SSJ and $2.22mlkg^{-1}BW$ SSJ, respectively. Fastene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days 28 and 56, and assay for serum protein, cholesterol, triglycerides,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reduced glutathione and lipid peroxidation using standard procedures. Result: Result revealed that SSJ demonstrated hypocholesterolemic effect in a dose-dependent manner throughout the study. Effect of chronic administration of SSJ to heat stressed rabbits proved beneficial, as SSJ reduced serum lipid peroxidation and enhanced antioxidant activity over 8 weeks. Conclusion: Administration of soursop juice to heat-stressed bucks at $2.22mlkg^{-1}BW$ offered optimum antioxidant defense against oxidative stress.

한우의 육성 및 비육기간중 배합사료 급여 수준에 따른 사료섭취량 조사 (Feed Intake Evaluation of Korean Cattle (Hanwoo) Fed Diet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Compound Fattening Periods)

  • 신기준;오영균;이성실;김경훈;김창현;백봉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95-104
    • /
    • 2002
  • 배합사료와 볏짚을 사료원으로 하여 한우 수소와 거세우를 비육 할 때의 사료섭취량을 조사하고자 5~7개월된 한우 수송아지 20두와 거세 송아지 60두를 공시하여 육성기(체중 300kg 이하), 비육 전기 (체중 300~450kg), 비육 후기 (체중 450kg 이후) 3단계로 나누어 육성우 배합사료 (CP 14.1%, TDN 70.0%), 비육 전기 배합사료(CP 12.1%, TDN 70.6%), 비육 후기 배합사료(CP 11.2%, TDN 71.9%)를 각각 성장단계별로 급여하면서 1) 수소와 거세우의 무제한 급여시의 사료 섭취량 (원물 기준)과 2) 거세우를 성장단계에 따라 배합사료를 ① 전기간 무제한 급여 ② 1.0%-1.5%-무제한급여, ③ 1.5%-2.0%-무제한급여의 3유형으로 사양관리 하면서 사료 섭취량 (원물 기준)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 수소의 1일 사료섭취량은 직선적으로 증가된 반면에 거세우의 사료섭취량은 521 kg 까지는 증가되다가 감소되었다. 2. 체중대비 사료 섭취량은 시험 시작시인 150 kg 에서는 체중의 3.5% 정도를 섭취하였으나 600 kg에서 수소는 체중비 2.0% 내외로 거세우는 1.5% 정도로 감소되었다 3. 거세우의 1일 사료 섭취량은 전기간 무제한 급여시는 비육 전기까지는 완만하게 증가 하다가 비육 후기에는 다시 완만하게 감소된 반면 육성기와 비육 전기에 배합사료를 체중비 1.0%와 1.5%로 제한하여 급여 하였을 때는 사료 섭취량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5%와 2.0%로 제한하여 급여하였을 때는 비육 전기까지는 비교적 빠르게 증가되고 비육 후기(체중 455 kg)에는 비교적 빠른 속도로 감소되었다. 4. 배합사료 급여수준에 따른 거세우의 단위체중당 사료 섭취량은 무제한 급여시는 시험 시작시 (체중 150 kg 내외)에는 3.5% 내외에서 체중 600kg 내외에서는 1.5%까지 감소되었고 배합사료 제한 급여시는 육성기에는 2.0%에서 3.0%로 증가되다가 다시 1.5-2.0% 정도로 감소되었다 5. 거세우에 배합사료 급여수준에 따른 볏짚 섭취량은 배합사료 제한급여시 무제한 급여에 비하여 육성기에는 2-3배로 비육 전기에는 2배로 증가되었으나 비육 후기에는 차이가 없었다.

마이크로버블에 의한 상추의 세척효과 및 저장 중 품질변화 (Wahsing Effect of Micor-Bubbles and Changes in Quality of Lettuce (Lacutuca sativa L.) during Storage)

  • 이선아;윤예리;권기현;김병삼;김상희;차환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21-326
    • /
    • 2009
  •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세척시간과 세척방법에 따라 처리한 상추의 세척효과와 저장 중 품질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척시간 설정을 위한 실험을 통해 마이크로버블로 1, 3, 5분간 세척하여 미생물변화, 관능검사, 세척된 정도를 측정한 결과 5분간 처리한 시료가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세척방법에 따라 전처리한 상추의 미생물 변화는 세척처리 한 직후 무세척(CT)구는 4.30 log CFU/g, 손세척(HW)구는 4.10 log CFU/g, 일반버블세척(BW)구는 3.98 log CFU/g, 마이크로버블세척(MW)구는 3.25 log CFU/g에서 저장 10일째에는 무세척(CT)구는 7.00log CFU/g, 손세척(HW)구는 6.19 log CFU/g, 일반버블세척(BW)구는 6.02 log CFU/g, 마이크로버블세척(MW)구는 5.89 log CFU/g로 마이크로버블처리구가 가장 적은 변화를 보였다. 관능검사에서는 일반버블세척(BW)구와 마이크로버블세척(MW)구가 무세척(CT)구와 손세척(HW)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일반버블세척(BW)구와 마이크로버블세척(MW)구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잔류농약시험에서도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처리구가 대조구 보다 2-3배정도 제거효과를 보였다. 상추의 세척상태를 측정한 결과 손세척구와 일반버블처리구은 완전히 깨끗하게 세척되지 못한 반면 마이크로버블처리구는 이물질이 보이지 않아 세척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