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D EMC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5초

도시 및 농촌 유역 하천에서의 강우유출 특성 비교 (Comparison of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at Stream in Urban and Rural Watershed)

  • 김호섭;김상용;박윤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50-660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in streams of classified urban and rural watershed using land use and population density. EMC (event mean concentration) of BOD, COD, TP and SS increased significantly in urban and rural watershed, but that of TN remained unchanged.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C of BOD, COD, TN, TP depending on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EMC of BOD and COD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urban watershed, while EMC of TP increased in the rural watershed. In the urban watershed, the first flush time was faster and the first flush effect was stronger in BOD, COD, and TP.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cumulative mass and cumulative volume was found to be less than 0.2 in the rural watershed, indicating a weak first flush effect. The discharged masses of BOD (70 %), COD (64 %), and TP (66 %) in the first flush of runoff were higher in urban watershed, while TN (67 %) was higher in rural watershed. The reproducibility of first flush time and the strength of first flush using CV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found to be more reproducible for first flush time in both watersheds. In rural watershed, the CV value of first flush time for TP out of water quality parameters was lower. Whereas the CV values of first flush time for BOD, COD and TP in urban watersheds were similar.

논 유출수 BOD의 유량가중평균농도(EMC) 확률분포 (Probability Distribution of BOD EMC from Paddy Fields)

  • 진소현;정재운;윤광식;최우정;최동호;김상돈;강재홍;최유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153-1159
    • /
    • 2010
  • Identification of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water quality constituents from specific land use is important to achiev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MDL program. In this 3-year study, distribution of discharge and BOD(Biological Oxygen Demand) concentration from paddy rice fields were monitored. Four probability distributions, normal, log-normal, Gamma and Weibull were fitted and the goodness-of-fit was assessed using probability plots and Kolmogorov-Smirnov test. $EMC_s$ of BOD in runoff from paddy field ranged 0.37 to $7.99\;mgL^{-1}$, and all four probability distributions were acceptable. But the normal distribution would be preferred for BOD from paddy fields considering nature of straight forward application.

자운지구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연구 (Monitoring and research of NPS pollution priority Management - Jaun district Watershed)

  • 박병기;신재영;이수인;주소희;최중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524-52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홍천 자운지구 고랭지 농업지역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유역조사와 하천 모니터링을 통해 관측된 축척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점오염저감 효과를 정량화하고 추후 모니터링 자료로서 탁수와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의 저감효과와 비점오염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소양호 유역의 오염부하(1차 강우사상) 중 홍천군 자운지구의 유역단위 비점오염 저감효과의 분석에는 강우량과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를 이용하였으며, 자운천은 SS 5,396,761 kg, COD 82,261 kg, BOD 57,329 kg, T-N 68,711 kg, T-P 3,091 kg이었으며, 오염부하(2차 강우사상)는 SS 320,293 kg, COD 34,588 kg, BOD 22,350 kg, T-N 48,954 kg, T-P 640 kg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양호 유역의 EMC(1차 강우사상) 중 자운천은 SS 829.9 mg/L, COD 12.7 mg/L, BOD 8.8 mg/L, T-N 10.567 mg/L, T-P 0.475 mg/L 이었으며, EMC(2차 강우사상)는 SS 68.6 mg/L, COD 7.4 mg/L, BOD 4.8 mg/L, T-N 10.487 mg/L, T-P 0.137 mg/L로 나타났다. 소양호 유역의 단위면적당 오염부하(1차 강우사상) 중 자운천은 SS 402.0 kg/ha/event, COD 6.1 kg/ha/event, BOD 4.3 kg/ha/event, T-N 5.118 kg/ha/event, T-P 0.230 kg/ha/event 이었으며, 오염부하(2차 강우사상)는 SS 23.9 kg/ha/event, COD 2.6 kg/ha/event, BOD 1.7 kg/ha/event, T-N 3.646 kg/ha/event, T-P 0.048 kg/ha/event로 나타났다. 오염부하에서는 1차 강우에 비해 2차 강우에서는 SS 5,076,468 mg/L, COD 47,673 mg/L, BOD 34,979 mg/L, T-N 19,757 mg/L, T-P 2451 mg/L로 1차 강우사상에 비해 오염부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MC에서는 1차 강우에 비해 2차 강우에서는 SS 761.3 mg/L, COD 5.3 mg/L, BOD 4.0 mg/L, T-N 0.080 mg/L, T-P 0.338 mg/L로 1차 강우사상에 비해 EMC가 저감되었다.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는 1차 강우에 비해 2차 강우에서는 SS 378.1 mg/L, COD 3.5 mg/L, BOD 2.6 mg/L, T-N 1.472 mg/L, T-P 0.182 mg/L로 1차 강우사상에 비해 EMC가 저감되었다. 강우량과 강우강도 그리고 영농활동의 시기에 따른 EMC와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는 큰 차이를 보였으며, 예년에 비해 적은 강수량으로 인해 탁수와 비점오염부하의 배출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소양호 유역과 같은 넓은 유역에서 시행되는 비점오염원의 저감연구는 오랜 시간 동안 자료를 축적해야 유의미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유량 데이터 자료구축과 수질분석뿐만 아니라, 발생되는 비점오염 물질의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하며, 아울러 농민의 인식도 변화 등을 포함하는 많은 인자들을 정밀히 조사하고 다각도로 분석하여 저감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축사 주변지역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Lower Reaches of Livestock Area)

  • 황정석;박영기;원찬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557-565
    • /
    • 2012
  • 본 연구는 초기 강우시 축사주변 지역을 대상으로 강우 유출수와 함께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강우량에 따른 유출특성 중 수리 수문-농도곡선 분석결과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가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첨두 유량이 발생한 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축사주변지역에서의 유량평균가중농도(EMCs)는 TSS EMC 146.80~424.95 mg/L, COD EMC 11.64~55.66 mg/L, BOD EMC 6.66~49.88 mg/L, T-N EMC 7.650~43.825 mg/L, T-P EMC 0.711~3.855 mg/L였다. 또한 TSS와 BOD, COD, T-N 그리고 T-P의 오염물질별 상관계수를 분석해보면 0.53~0.95를 나타내었으며, 정량화된 EMCs와 강우 유출량($m^3$) 등 다른 요소들간의 회귀분석을 통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3차 다항식으로 설명되었으며, 물질별 결정계수는 TSS 0.767~0.835, T-N은 0.773~0.901로 비교적 높게 분석되었다, 이는 두 항목간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강우유출량이 많을수록 EMC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추후 강우유출량을 모니터링하면 유출량에 따른 유량가중평균농도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농지-임야 유역의 비점원 발생 BOD 부하의 추정 (Estimation of BOD Loading of Diffuse Pollution from Agricultural-Forestry Watersheds)

  • 김건하;권세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17-623
    • /
    • 2005
  • Forestry and agricultural land uses constitute 85% of Korea and these land uses are typically mixed in many watersheds.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concentration is a primary factor for managing water qualities of the water resources in Korea. BOD loadings from diffuse sources, however, not well monitored yet. This study aims to assess BOD loadings from diffuse sources and their affecting factors to conserve quality of water resources. Event Mean Concentration (EMC) of BOD was calculated based on the monitoring data of forty rainfall events at four agricultural-forestry watersheds. Exceedence cumulative probability of BOD EMCs were plotted to show agricultural activities in a watershed impacts on the magnitude of EMCs. Prediction equation for each rainfall event was proposed to estimate BOD EMCs: $EMC_{BOD}(mg/L)=EXP(0.413+0.0000001157{\times}$(discharged runoff volume in $m^3$)+0.018${\times}$(ratio of agricultural land use to total watershed area).

토지이용도에 따른 도시하천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ion Discharge of Urban Area According to Land Use)

  • 박성천;오창열;김정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29-1233
    • /
    • 2005
  • 본 연구는 도시지역의 강우-유출로 인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 및 배출부하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영산강권역의 풍영정천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대상 유역의 토지이용별 구분은 논지역, 하류공단 및 논$\cdot$산지 복합 토지 이용특성, 공단 지역, 도시 분류식 지역, 소유역 출구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시료의 채취는 강우시 4회에 걸쳐 조사하였으며, 매회 시료 채취 주기는 강우유출이 발생하기 전부터 시작하여 첨두유출량이 발생때까지 $1\~2$시간 간격으로 채취한 후 강우 종료 후 유출량 변화가 없을 때까지 $9\~12$단계로 세분하여 유출량과 pH, DO, BOD, COD, SS, T-N, T-P의 농도를 측정 하였다. 토지이용별 비점오염물질의 유량가중평균농도(EMC : Event Mean Concentration)를 살펴보면, BOD의 EMC는 $4.43\~14.22mg/{\ell}$의 분포를 보였으며, 도시 합류식 토지이용 특성을 지닌 P-4지점에서 가장 큰 농도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타 토지이용 특성에 비하여 두드러지게 초기 오염물질 유출 현상을 나타내었다. COD의 EMC는 $8.27\~18.81mg/{\ell}$의 분포를 보였으며, BOD 수질농도와 같이 P-4 지점에서 가장 큰 농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SS의 EMC는 $35.76\~358.86mg/{\ell}$의 분포를 보였으며, 소유역의 중간지점이면서 논$\cdot$산지$\cdot$공단지역의 토지이용 특성을 지닌 P-2 지점에서 가장 큰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조사기간(Event 1, Event2) 동안 상류의 자연형하천 제방공사로 인한 토사유출로 인하여 다소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상유역 전반적으로 초기 오염물질 유출 현상을 보였으며, BOD와 COD 수질농도의 분포양상과는 다르게 강우량 및 강우강도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N의 EMC는 $1.61\~7.13mg/{\ell}$의 분포를 보였으며, T-P는 $0.03\~0.46mg/{\ell}$의 분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포장지역내 강우유출수의 EMCs 및 부하량 산정 (Determination of Pollutant EMCs and Loadings of Runoff in Paved Areas)

  • 길경익;위승경;박무종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119-122
    • /
    • 2008
  • 도로나 교량과 같은 불투수율이 높은 포장지역의 경우 차량의 통행으로 건기기간 동안 축적되어 있던 다양한 비점오염원이 강우 지속시간 동안 인근 하천에 유입되어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년 동안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각 오염물질별 유량가중평균농도 및 오염 부하량을 산정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TSS EMC는 11.60$\sim$230.90 mg/L의 범위, BOD EMC는 4.58$\sim$31.90 mg/L의 범위, TN과 TP의 EMC는 각각 1.86$\sim$9.20 mg/L, 0.14$\sim$1.55 mg/L의 범위로 산정되었다. 또한 오염 부하량은 TSS는 0.78$\sim$18.01 kg/day의 범위, BOD는 0.47$\sim$1.17 kg/day의 범위로 산정되었고, Pb은 0.00$\sim$0.01 kg/day의 범위, Zn은 0.01$\sim$0.06 kg/day의 범위로 산정되었다.

경안천 유역 농촌지역의 비점오염원 배출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 Source in the Agricultural Area of the Kyongan Watershed)

  • 이병수;정용준;박무종;길경익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9-173
    • /
    • 2008
  • A field monitoring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in the agricultural area. Event Mean Concentration (EMC) of TSS, $BOD_5$, $COD_{Mn}$, TP, TN was calculated based on the monitoring data of 10 rainfall events at agricultural watershed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observed from the correlation between EMCs and rainfall characteristics. The result shows that EMC ranges of 95% confidence intervals were 50.5~203 mg/L for TSS, 0.8~14.2 mg/L for $BOD_5$, 4.2~20.7 mg/L for $COD_{Mn}$, 2.4~4.5 mg/L for TN and 0.2~0.5 mg/L for TP,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SS and TP and between $BOD_5$ and $COD_{Mn}$ were found to be 0.912 and 0.961. But TN was lower correlated with other EMC factors. It was also found that rainfall characteristics was not correlated with EMCs.

수원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 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Source in Suwon City)

  • 지홍진;이상은;이재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93-505
    • /
    • 2013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source at the urban area in Suwon city. The highest T-N and T-P concentration of rainfall runoff observed in agricultural area. In residential area, the highest $BOD_5$ and SS concentration of rainfall runoff was investigated. During rainfall events, the peak concentrations of SS and $BOD_5$ were observed after 1~2 hours of rainfall in urban area. Whereas, the peak concentrations occurred within 1~2 hours after rainfall and then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SS and $BOD_5$ sharply decreased, showing strong first flush effect in urban area. The EMC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st value of T-N and T-P in agricultural area was observed. While residential area was shown the lowest EMC value as T-N and T-P. Non-point pollutant loads on the land use types in urban area were investigated in the order of residential>industrial>agricultural>highway. $BOD_5$ and SS loads on urban watershed were investigated in the order of Suwon>Hwangguji>Seoho>Wonchunri. Whereas, T-N and T-P loads on urban watershed were investigated in the order of Hwangguji>Suwon>Wonchunri>Seho.

빗물펌프장에 설치된 인공습지의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연구 (A Study of Non-point Source Reduction Efficiency by Constructed Wetland installed in Flood Pumping Station)

  • 천석영;김지태;이일국;장순웅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1호
    • /
    • pp.67-74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evaluated the effects of total rainfall, rainfall intensity and antecedent dry days and identify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EMC removal efficiency, in order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factors of constructed wetland in flood pumping st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tal of 20 monitoring in a catchment(326.2 ha) of constructed wetland in Ga-un flood pumping station located at the downstream of the Wang-suk stream. The determined EMC removal efficiencies were $36.04{\pm}9.45%$ for BOD, $38.50{\pm}13.50%$ for $COD_{Mn}$, $34.34{\pm}13.05%$ for TN and $34.22{\pm}14.27%$ for TP,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ollutants concentration and EMC were reduc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structed wetlan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highly correlations with EMC removal efficiency of BOD and $COD_{Mn}$ were observed for total rainfall and rainfall intensity (P<0.05). However, the correlations were not found with TN and TP for rainfall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