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RADS assessmen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유방영상 판독과 자료체계: 장점과 한계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 Advantages and Limitations)

  • 최지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3-14
    • /
    • 2023
  • 유방영상 판독과 자료 체계(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이하 BI-RADS)는 유방영상 판독의 표준화 및 판독 질 관리를 위해 유방 병변의 특성을 기술하는 용어 사전(lexicon), 평가 범주(assessment category) 및 처치(management)를 위한 권고들을 제시한 시스템이다. 판독의는 BI-RADS에서 권장하는 표준화된 용어를 이용하여 검사 결과를 임상의에게 간결하고 재현 가능하게 전달할 수 있고, 평가 범주 판정을 통하여 검사에서 발견된 병변이 악성일 가능성을 추정된 확률로 제공하고 이에 따른 처치를 권고할 수 있다. 현재 사용 중인 BI-RADS 5판이 가지는 한계는 표준화된 용어 사전이 정립되지 않은 일부 영역들이 존재한다는 것과 MRI 판정 범주 3-4의 평가 기준이 유방촬영술이나 초음파의 기준에 비해 모호하다는 점이다. BI-RADS의 다음 개정판에는 이러한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한 개선안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한다.

유방자기공명영상에서 추가적으로 발견된 유방 병소에 대한 조영증강 초음파의 정량적 분석을 통한 진단 능력 평가와 동적 조영증강 유방 자기공명영상 결과와의 비교 (Assessment of Additional MRI-Detected Breast Lesions Using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Contrast-Enhanced Ultrasound Scans and Its Comparability with Dynamic Contrast-Enhanced MRI Findings of the Breast)

  • 이세영;우옥희;신혜선;송성은;조규란;서보경;황순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889-902
    • /
    • 2021
  • 목적 자기공명영상에서 추가적으로 발견된 조영증강 병소에 대한 조영증강 초음파의 진단능력을 평가하고 조영증강 초음파의 정량 분석을 사용하여 유방 동적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과 유사한 운동 패턴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단일 센터 전향적 연구로 진행하였고, 총 71개의 자기공명영상에서 추가적으로 발견된 조영증강 병소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병소에 대해 조영증강 초음파를 시행하였고 Breast Imaging-Reporting and Data System (이하 BI-RADS)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리고 모든 병소의 BI-RADS 분류를 조직학적 결과와 비교하여 조영증강 초음파의 민감도, 특이도 및 진단 정확도를 계산하였다. 조영증강 초음파와 동적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의 운동 패턴사이의 일치도는 가중 카파 분석을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결과 조영증강 초음파에서 총 46개의 병소가 BI-RADS 4B, 4C, 5로 분류되었고, 25개의 병소가 BI-RADS 3, 4A로 분류되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추가적으로 발견된 조영증강 병소에 대한 조영증강 초음파의 진단 능력은 84.9%의 민감도, 94.4%의 특이도 및 97.8%의 긍정적 예측값으로 우수하였다. 총 57/71 (80%) 병소는 조영증강 초음파와 동적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 운동 패턴 결과가 일치하였고 가중 카파 값 0.66으로 좋은 일치도를 나타냈다. 부분 군 분석에서 양성 병소는 우수한 일치를 보였고(가중 카파 값 = 0.84), 관내암종은 좋은 일치를 보였다(가중 카파 값 = 0.69). 결론 MRI에서 추가 검출된 유방 결절에 대한 조영증강 초음파의 진단 능력은 우수했다. 양성 및 관내암종 병소에서 동적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과 조영증강 초음파의 운동 패턴 결과는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

Experimental Evaluation of Distance-based and Probability-based Clustering

  • Kwon, Na Yeon;Kim, Jang Il;Dollein, Richard;Seo, Weon Joon;Jung, Yong Gy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2권1호
    • /
    • pp.36-41
    • /
    • 2013
  • Decision-making is to extract information that can be executed in the future, it refers to the process of discovering a new data model that is induced in the data. In other words, it is to find out the information to peel off to find the vein to cat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dden patterns in data. The information found here, is a process of f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ful patterns by applying modeling techniques and sophisticate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It is called data mining which is a key technology for marketing database. Therefore, research for cluster analysis of the current is performed actively, which is capable of extracting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large data set without a clear criterion. The EM and K-means methods are used a lot in particular, how the result values of evaluating are come out in experiments, which ar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ata by the type of distance-based and probability-based data analysis.

Comparison of Mammography in Combination with Breast Ultrasonography Versus Mammography Alone for Breast Cancer Screening in Asymptomatic Women

  • Boonlikit, Saraw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731-7736
    • /
    • 2013
  • Aim: To compare the agreement of screening breast mammography plus ultrasound and reviewed mammography alone in asymptomatic women. Materials and Methods: All breast imaging data were obtained for women who presented for routine medical checkup at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Thailand from January 2010 to June 2013. A radiologist performed masked interpretations of selected mammographic images retrieved from the computer imaging database. Previous mammography, ultrasound reports and clinical data were blinded before film re-interpretation. Kappa values were calculated to assess the agreement between BIRADS assessment category and BIRADS classification of density obtained from the mammography with ultrasound in imaging database and reviewed mammography alone. Results: Regarding BIRADS assessment category, concordance between the two interpretations were good. Observed agreement was 96.1%. There was moderate agreement in which the Kappa value was 0.58% (95%CI; 0.45, 0.87). The agreement of BI-RADS classification of density was substantial, with a Kappa value of 0.60 (95%CI; 0.54, 0.66). Different results were obtained when a subgroup of patients aged ${\geq}60$ years were analyzed. In women in this group, observed agreement was 97.6%. There was also substantial agreement in which the Kappa value was 0.74% (95%CI; 0.49, 0.98).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concordance between mammography plus ultrasound and reviewed mammography alone in asymptomatic women is good. However, there is just moderate agreement which can be enhanced if age-targeted breast imaging is performed. Substantial agreement can be achieved in women aged ${\geq}60$. Adjunctive breast ultrasound is less important in women in this group.

MRI Features for Prediction Malignant Intra-Mammary Lymph Nodes: Correlations with Mammography and Ultrasound

  • Kim, Meejung;Kang, Bong Joo;Park, Ga Eu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6권2호
    • /
    • pp.135-149
    • /
    • 2022
  • Purpose: To assess clinically significant imaging findings of malignant intramammary lymph nodes (IMLNs) in breast cancer patients and to evaluate their diagnostic performance in predicting malignant IML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10 cases with IMLN of BI-RADS category 3 or more, not typical benign IMLN, in MR of breast cancer patients between January 2016 and January 2021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fter excluding 33 cases, 77 cases were finally included. Among them, 58 and 19 were confirmed as benign and malignant, respectivel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R imaging features of the IMLN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Sizes and final assessment categories of IMLN on MRI, mammography, and ultrasound were reviewed. Diagnostic performances of imaging features on MRI, mammography, and ultrasound were then evaluated. Results: For qualitative MR features, shape, margin, and preserved central hilu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groups (P < 0.05). For quantitative MR features, long diameter over 6 mm, short diameter over 4 mm, and cortical thickening over 3 mm showed high sensitivities in predicting malignant IMLNs (89.5%, 94.7%, and 100%, respectively). Size exceeding 1 cm showed high specificity and accuracy in predicting malignant IMLN on MR, mammography, and ultrasound (91.4% and 80.5%; 96.6% and 79.25; 98.3% and 80.5%, respectively). Conclusion: Various MR imaging features and size can be helpful for predicting malignant IMLN in breast cancer patients.

유방자기공명영상에서 3 차원 최대 강도 투사 재건 영상의 유용성 (Usefulness of Three-Dimensional Maximal Intensity Projection (MIP) Reconstruction Image in Breast MRI)

  • 김현성;강봉주;김성헌;최재정;이지혜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3권2호
    • /
    • pp.183-189
    • /
    • 2009
  • 목적 : 유방자기공명영상에서 3 차원 최대 강도 투사 (3D MIP) 재건 영상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유방암으로 진단받고 유방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27명의 환자의 54개의 유방을 대상으로 하였다. GE Signa Excite Twin speed (GE medical system, Wisconsin, USA) 1.5 T 기기를 이용하여 기본 영상으로 축면 T2 강조 T1 강조 영상과 시상면 T1 강조 지방 억제 영상, 역동적 조영 증강 영상과 감산 영상을 얻었다. 이후 초기 역동적 조영증강 영상의 감산영상으로 워크스테이견 (GE Medical system)을 이용하여 3D MIP 영상을 얻었다. 3D MIP 영상과 기본 유방자기공명영상에서 발견된 병변을 ACR BI-$RADS^{(R)}$ MRI lexicon에 따라 분석하였다. 각각의 영상에서 발견된 병변의 소견들을 비교하고 3D MIP에서 기본자기공명영상에서 보다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 종괴의 경우 기본 유방자기공명영상에서 보이는 56개 중 43개가 3D MIP 영상에서 발견되었다 (76.8%). 비종괴성 조영 증강의 경우 20개 중 17개가 발견되었다 (85%). 169개의 초점성 조영증강 병변이 3D MIP 영상에서, 109개가 기본 유방자기공명영상에서 확인되었다. 3D MIP 영상에서 60.9%의 category 3병변이 발견되었고(14/23), 68.87%의 category 4 병변 (11/16), 100%의 category 5병변 (28/28)이 발견되었다. 3D MIP 영상에서 분석된 조영증강 병변들의 category가 기본 유방 자기공명 영상의 결과들과 통계적으로 일치하였다(p-value < 0.0001). 기본 유방 자기공명 영상에서 초점으로 분석된 2개의 병변들이 3D MIP 영상에서는 다초점성의 악성 병변으로 발견되었고, 1개의 추가적 병변이 3D MIP 영상에서만 발견되었다. 결론 : 3D MIP 영상은 한계점들을 갖고 있으나, 기본 유방자기공명영상의 분석에 있어 추가적으로 이용 시 유용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