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G

검색결과 440건 처리시간 0.022초

C57BLKS/J-db/db 마우스에서 흑삼의 당뇨 합병증 개선 효과 (Ameliorative Effect of Black Ginseng on Diabetic Complications in C57BLKS/J-db/db Mice)

  • 김애정;유현숙;강신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9-104
    • /
    • 2012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meliorative effects of black ginseng(BG) in male obese diabetic C57BLKS/ J-db/db mice. Ten-week-old male db/db mice were administrated 300 mg/kg of F-BG daily for 6 weeks, The db/db mice where corresponded to the normal group and db/db mice which were the diabetic positive group were not provided BG treatment. The supressive effects of treatment were examined on serum lipids levels, which included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and nonesterified fatty acid. Also, weight changes and the relative weight of liver and kidney, organ pathological investigation were measured. The effects of treatment were assess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db/db mice that received BG for 6 weeks with that of the diabetic positive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veral biological parameters such as HDL level(p<0.05), TG level(p<0.05) and NEFA level(p<0.05) were observed for the BG group. BG treatment increased the HDL level and decreased the NEFA level, which could ameliorate hyperlipidemia or blood circulation.

체세포의 공배양체계에서 단일 에너지원이 인간 배반포기 배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lutamine on Blastulation of Human Embryos on Vero Cells In Vitro)

  • 박기상;최인경;이진식;송해범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5권1호
    • /
    • pp.65-70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issue Culture Medium 199 (TCM) and Dul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on the blastulation and grade of human oocytes on Vero cells in vitro. A cohort of 79 and 93 oocytes in metaphase II stage were used in TCM 199 and DMEM respectively.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numer of oocytes showing two-pronuclei between TCM (82.3%) and DMEM (86.0%). The number of fertilized oocytes reaching the blastocyst was not significant in TCM (60.0%) and DMEM (63.1%). A total of 89 blastocysts were categorized into the four grades (BG1, BG2, BG3 and early) depending on their morphology. The number of embryos achieving the blastocyst grade 1 (BG1)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DMEM (50.8%) than TCM (15.0%). It is concluded that cultured oocytes in DMEM with glutamine on Vero cells should be significantly increased BG1.

  • PDF

조롱박신경세포의 변성에 따른 버그만아교세포의 면역조직학적 연구 (Studies on Molecular Plasticity of Bergmann Glia following Purkinje Cell Degeneration)

  • 윤철종;조사선;이하규;박민철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3호
    • /
    • pp.165-176
    • /
    • 2005
  • 소뇌의 버그만아교세포는 인접한 조롱박신경세포를 둘러싸는 특이한 해부학적 분포를 하고 있어 종래로부터 조롱박신경세포에 대한 물리적 지지 역할과 함께 이 신경 세포의 생존과 기능에 필요한 대사물질을 공급해 주는 것으로 추정되어 왔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버그만아교세포와 조롱박신경세포의 상관관계를 증명하기 위한 연구로 전자현미경적 정상적인 미세구조와 신경독물인 하르말린을 흰쥐에 투여하여 조롱박신경세포만을 특이적으로 파괴시킨 소뇌조직을 대상으로 최근 버그만아교세포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진 수 종의 대사성 단백물질의 동향을 면역조직 화학방법으로 관찰하여 GLAST의 면역 염색성은 정상부위보다 신경세포 손상부위의 버그만아교세포에서 현저히 감소되었다. 하르말린 투여군의 흰쥐에서 조롱박신경세포의 사멸은 소뇌벌레에서 집중적으로 일어났으며 사멸된 부위는 calbindin D-28K에 염색된 정상 조롱박신경세포들 사이에서 산발적으로 끼어 있는 빈 공간으로 나타났는데 빈공간은 분자층과 조롱박신경세포층이 세로로 달리는 좁고 긴 띠 (bands) 모양의 특이 한 양상을 보였다. MT 면역염색성은 신경세포 손상부위의 버그만아교세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상의 관찰 결과로 볼 때 조롱박신경세포의 손상에 의하여 버그만아교세포는 강한 아교세포반응을 보이며 MT의 발현을 통하여 인접 신경세포 손상과 미세아교세포 활성에 의하여 유발된 산화성 스스로를 보호하고 생존한다. 그러나 GLAST의 발현의 감소는 조롱박신경세포의 사멸로 인하여 이들 세포들로부터 유리되어 나오는 글루타메이트의 감소 또는 중단되므로 버그만아교세포에서 이들 글루타메이트 수송체 역할이 감소되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93({\pm}0.053){\mu}m$ 였다. 으뜸세포의 사립체의 크기는 정상대조군, 종양대조군 및 BCG 투여군이 각각 $0.80({\pm}0.130){\mu}m,\;0.83({\pm}0.143){\mu}m$$0.72({\pm}0.078){\mu}m$ 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BCG를 반복 투여하면 위점막으뜸세포의 분비과립이 약간 작아지는 등 분비기능이 다소 억제되나 그 정도가 경미하여 으뜸세포의 분비기능에 큰 손상을 주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모양을 비교한 결과 꼬리핵과 줄무늬체바닥핵에서는 모두 가지돌기가시(dendritic spine)에 연접하였으나, 중격옆핵과 중격핵에서는 가지돌기 (dendrite)에 연접하는 것과 가지돌기가시에 연접하는 것이 혼재하였다. 이들 두 신경핵 무리는 이마앞겉질에서 기원하는 축삭종말의 연접차이로 볼 때 서로 다른 회로계통에 속할 것으로 생각되며, 문헌고찰을 통해서 꼬리핵과 줄무늬체바닥핵은 줄무늬체회로 (striatal circuit)에 속하고 중격옆핵과 중격핵은 변연계통회로(limbic circuit)에 속할 것으로 판정했다. 이마앞겉질은 생리적, 약리적, 신경학적 및 형태학적 근거들로 보아 바닥핵들을 통해 변연계통과 대뇌겉질 전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는데, 본 실험에서는 네 종류의 바닥핵들, 즉 꼬리핵, 줄무늬체바닥핵, 중격옆핵 및 중격핵과 관련된 신경연접들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문헌 고찰한 결과 변연계통과 줄무늬체계통이 앞뇌의 바닥에 있는 신경핵들에서 형태학적 교차연결을 통해 정서와 마음의 상태를 행동과 대응으로 표현하는 중요한 신경회로가 존재함을 제안하였다.腎臟組織)에서 더많이 발생되었다.

흑마늘 가루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Black Garlic Powder)

  • 주형욱;안혜령;이광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60-273
    • /
    • 2010
  • 본 연구는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 관심이 높은 흑마늘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식빵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Mixograph를 이용한 mixogram 결과는 흑마늘 가루를 첨가한 반죽은 제빵 적성에 적합하였으며, 반죽의 stickness는 흑마늘 가루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착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식빵 반죽의 1차 발효 시간이 60분 정도 소요되는 동안 흑마늘 분말 6% 첨가구(BG 6)의 발효율이 가장 좋았다. CrumbScan의 기공의 조밀도 대조구와 흑마늘 분말 첨가 식빵과는 유의적인 차이는 있었으나, 흑마늘 분말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흑마늘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부피와 비용적은 흑마늘 가루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작아졌으며, 기호도 검사 결과에서는 외관과 맛은 BG 6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적인 기호도는 흑마늘 분말 6% 첨가구(BG 6)와 9% 첨가구(BG 9)가 동일하였으나, 원가 절감 측면에서는 BG 6이 흑마늘 가루의 최적 첨가량으로 보아진다.

  • PDF

운동요법, 운동.행동수정요법이 중년 비만여성의 비만도, 혈중지질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xercise Therapy and Exercise-Behavior Modification Therapy on Obesity, Blood Lipids, and Self-esteem of the Obese Middle-aged Women)

  • 김인홍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44-854
    • /
    • 2002
  •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xercise therapy, and exercise-behavior modifi- cation therapy on obesity, blood lipids and self-esteem of the obese middle-aged women. Method: A total of 35 middle-aged women (BMI: over 30)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Walking at a 50% intensity was administered 4 days a week for 12 weeks, while the behavior modification therapy performed for 60~90 minutes per week for 12 weeks. Result: Body weight and BMI h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case of EG and E BG. The result of comparing body weight between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G and CG, and E BG and CG whereas BM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G and CG only. TC, TG, LDL-C, %TC/HDL-C have shown significant decrease in EG and E-BG, while HDL-C displayed significant increase in EG and E BG. And HDL-C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G. As for comparison between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EG and CG, and E BG and CG at TC, HDL-C, LDL-C, and in EG and CG at %TC/HDL-C. Self-esteem displayed significant increase in EG and E BG;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in CG. As for comparison between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noted in E BG and CG only.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ercise therapy and the exercise-behavior modification therapy were effective in changing obesity, blood lipids and self-esteem of the obese middle-aged women.

전분으로부터 α-amylase에 의한 배당체의 합성 (Synthesis of Glycosides by Transglycosylation of α-Amylase from Starch)

  • 박종이;이태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37-143
    • /
    • 1998
  • 수계에서 전분 가수분해 효소의 transglycosylation 반응을 이용하여 배당체(glycoside)를 합성하였다. Glycosyl donor인 가용성전분과 glycosyl acceptor인 benzylalcohol을 기질로 하여 ${\alpha}$-amylase에 의해 합성되는 배당체는 glucose의 1번 OH기에 benzylalcohol이 ${\alpha}$형태로 결합한 benzylalcohol-${\alpha}$-glucoside(BG)와 benzylalcohol-${\alpha}$-maltoside(BM)이었다. pH 5.0의 반응에서는 주로 BG가, pH 8.0의 반응에서는 BM만이 합성되는 특이한 반응양상을 보였다. Transglycosylation 반응의 최적조건은 가용성전분 50 mg/ml, benzylalcohol 50 mg/ml, 온도 $30-35^{\circ}C$, 효소량 10 unit/ml이었으며, 합성된 BG는 ${\alpha}$-glucodisase에 의해 glucose와 benzylalcohol로 가수분해되었으며 BM의 경우는 pH 5.0에서는 glucose와 BG로 가수분해되었으나 pH 8.0이상에서는 전혀 분해되지 않았다. BM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maltotriose는 pH 5.0에서 glucose와 maltose로 가수분해 되었으나 transglycosylation반응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며 pH 8.0에서는 가수분해도 transglycosylation반응도 일어나지 않았다.

  • PDF

BIOLOGICAL ACTIVITES OF PLANT LEAF EXTRACTS; AVAILABILITY OF STAR FRUIT LEAF EXTRACT AGAINST SKIN AGING

  • Yoshihito Kawashima;Zhou, Yan-Yang;Naoko Kishida;Nobuaki Ohto;Daisuke Araho;Yoko Ito;Toshimitsu Kambara;Zhou, Wan-Hua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645-658
    • /
    • 2003
  • We evaluated activities of various plant leaf extracts and found the availability against skin aging in the leaf extract of star fruit (Averrhoa carambola L), and developed Star Fruit Leaf Extract BG30 as an ingredient of cosmetics. Star Fruit Leaf Extract BG30 was found to show scavenging activities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n inhibitory effect on the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It showed increasing activity of type I collagen and recovery effect from damage of UV-B irradiation in human fibroblast. We performed the separation of the active principal from Star Fruit Leaf Extract BG30 to give isofurcatin 2"-Ο-$\alpha$-L-rhamnopyranoside, which showed increasing activity of type I collagen. To examine the anti-wrinkle effect of Star Fruit Leaf Extract BG30, seven volunteers applied a Star Fruit Leaf Extract BG30 1 % cream in double blind manner to one-side of the corner of their eye and the placebo cream to the opposite side. Clinical evaluation of wrinkling was performed every week for 5 weeks using a silicone rubber replica.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Star Fruit Leaf Extract BG30-treated site was seen in decreased wrinkles. Star Fruit Leaf Extract BG30 results in clinically visible improvement in wrinkling when used topically for 5 weeks.

  • PDF

수평적 치조제증대술에 사용된 Bioactive glass의 골재생에 관한 조직학적 관찰;증례보고 (Histological Observations on Bone Healing with Bioactive Glass in Horizontal Ridge Augmentation;A Report of Four Cases)

  • 박진우;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6권3호
    • /
    • pp.601-611
    • /
    • 2006
  • 임프란트 식립을 필요로 하는 환자의 수평적 치조제 결손의 증대를 위해 골유도재생술과 병용한 bioactive glass (BG) $(Biogran^{(R)})$ 이식의 골재생 양상을 각기 다른 치유기간을 부여한 4명의 환자에서 평가하였다. 6, 8, 10, 18개월의 치유기간 후 임프란트 식립부위에서 조직절편을 채득하여 골재생을 조직계측학적으로 평가하였다. 임프란트 식립을 위한 surgical reentry시 모든 이식부위는 임상적으로 명확한 수평적 치조제 폭경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조직학적 분석결과 BG는 불량한 골전도성을 나타내었다. 6, 8개월의 치유기간후, 이식부위에서 신생골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2.5%이하), 이식부와 기존 골의 경계부위에서 BG particle에 대한 신생골 성장과 결합양상 또는 관찰할 수 없었다. 10개월의 치유기간후 기존 골조직으로부터 성장한 신생골의 BG particle과의 직접적인 접촉양상을 일부 관찰할 수 있었다. 이식부는 13.2%의 광물화된 신생골조직을 보였고, 대부분의 BG particle은 결체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18개월의 치유기간이 부여된 환자의 조직절편에서 신생골은 이식부의 10.7%를 차지하여 비교적 낮은 신생골 형성양을 나타내었고, 이식부에 존재하는 잔존BG particle은 대부분은 결체조직으로, 일부분에서 광물화된 골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6, 8, 10, 18개월에서 잔존 BG particle양은 전체 이식부 면적에 대해서 각기 22.3%, 26.5%, 30.7%, 18.7%로 나타났다. 본 증례보고는 비록 한정적인 4명의 환자에서의 조직계측학적 평가결과이지만, 수평적 치조제 결손의 증대를 위해 골유도재생술과 병용한 bioactive glass이식은 불량한 골전도성으로 인해 효과적인 골재생을 위한 이식재로서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Evaluation of the Oral Acute Toxicity of Black Ginseng in Rats

  • Lee, Mi-Ra;Oh, Chang-Jin;Li, Zheng;Li, Jing-Jie;Wang, Chun-Yan;Wang, Zhen;Gu, Li-Juan;Lee, Sang-Hwa;Lee, Jae-Il;Lim, Beong-Ou;Sung, Chang-Ke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5권1호
    • /
    • pp.39-44
    • /
    • 2011
  • We studied the acute oral toxicity of black ginseng (BG) produced by heat process in rats. Single acute BG extract doses of 0, 5, 10, and 15 g/kg dissolved in saline were administered by oral gavage and the animals were kept under observation for 14 days. The single administration of BG extract up to 15 g/kg did not produce mortality, behavioral change or abnormal clinical signs in the rat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ral $LD_{50}$ of the BG extract in the rats is higher than 15 g/k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 treatment-related biolog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BG extract were noted in the measurements of the body weight or food intake. At the end of the period, the biochemical parameters and hematolog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in the plasma and blood. A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liver and kidney was also conducted. Only the blood nitrogen urea and potassium levels in the biochemical indic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10 and 15 g/kg doses of BG extrac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changes were not considered to be due to the toxicity. None of the other clinical chemistry parameters were affected.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BG by heat processing is virtually nontoxic.

Comparative Study of White and Steamed Black Panax ginseng, P. quinquefolium, and P. notoginseng on Cholinesterase Inhibi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y

  • Lee, Mi-Ra;Yun, Beom-Sik;Sung, Chang-Ke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6권1호
    • /
    • pp.93-101
    • /
    • 2012
  •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cholinesterases (Ch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hite ginseng (WG) and black ginseng (BG) roots of Panax ginseng (PG), P. quinquefolium (PQ), and P. notoginseng (PN). Ginsenosides $Rg_1$, Re, Rf, $Rb_1$, Rc, $Rb_2$, and Rd were found in white PG, whereas Rf was not found in white PQ and Rf, Rc, and $Rb_2$ were not detected in white PN. The major ginsenoside content in steamed BG including $RK_3$, $Rh_4$, and 20(S)/(R)-$Rg_3$ was equivalent to approximately 70% of the total ginsenoside content. The WG and BG inhibited acetylcholinesteras (AChE) and butyrylcholinesterase (BChE)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efficacy of BG roots of PG, PQ, and PN on AChE and BChE inhibition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respective WG roots. The total phenolic contents and 2, 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were increased by heat treatment. Among the three WG and BG, white PG and steamed black PQ have significantly higher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The best results for the DPPH scavenging activity were obtained with the WG and BG from PG.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teamed BG roots of the three studied ginseng species have both high ChEs inhibition capacity and antioxidant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