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R Model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6초

3차원 메쉬 모델의 적응형 워터마킹 방법 (An Adaptive Watermarking Scheme for Three-Dimensional Mesh Models)

  • 전정희;호요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0권6호
    • /
    • pp.41-50
    • /
    • 2003
  • 디지털 워터마킹 기술은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해 디지털 데이터에 사람이 감지할 수 없는 정보를 은닉한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메쉬 모델(mesh model)에 대한 적응형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꼭지점 좌표들 사이의 공간적 상관성에 따라 워터마크를 삽입하며, 이는 사람의 눈에 잘 감지되지 않는 지역에 워터마크를 강하게 삽입하고 그렇지 않은 지역에는 약하게 삽입하는 적응형 워터마킹 기술이다., 우선, 3차원 메쉬 모델을 운행(traversing)하여 삼각형 스트립(triangle strip)을 생성하고, 모든 꼭지점 좌표를 구 좌표계(spherical coordinate system)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3차원 모델의 지역적 외관을 결정하는 꼭지점 좌표 값들의 변화량을 계산한 후, 워터마크 신호를 계산한 변화량의 크기에 따라 유연하게 꼭지점 좌표 값에 삽입시킨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워터마크 방법이 워터마크 신호의 비지각성(imperceptibility)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검증했으며, 제안한 방법의 강인성 (robustness)에 대한 BER (bit error rate) 결과를 제시하였다.

공용데이터링크를 위한 공대지 채널 모델링 (Aeronautical to Ground Channel Modeling for Common Data Link)

  • 박홍석;심재남;김동현;김동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12호
    • /
    • pp.1876-188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고속의 공용데이터링크(common data link, CDL)를 위한 새로운 채널 모델을 제안한다. 송신기의 고도가 수km ~ 수십km이고 통달거리가 수백km인 경우 지구 곡률에 의해 송신신호가 수신기의 앞 쪽에서 지면에 반사되어 들어오는 Two-ray 채널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송수신기의 빔포밍(beamforming) 각도와 안테나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에 따라 반사 경로로 들어오는 신호의 최대 지연 시간(maximum delay)과 전력 지연 프로파일(power delay profile)을 추정하여 Two-ray 채널을 모델링한다. 제안하는 채널 모델에서는 통달거리가 길기 때문에 전력 지연 프로파일이 최대 지연 시간보다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에 대한 비트 오류율(bit error rate, BER)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다중접속간섭 제거를 위한 혼합형 간섭제거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brid Interference Canceller for MAI Cancellation)

  • 김재홍;박용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37권4호
    • /
    • pp.9-16
    • /
    • 2000
  • 이 논문에서는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다중접속간섭을 제거하는 방법 중 하나인 병렬형 간섭 제거기에(PIC) 초기단 성능 개선을 위해 전단에 순차적 간섭 제거기를(SIC) 사용한 혼합형 간섭 제거기의 구조를 제안하고, 병렬형 간섭 제거기와 순차적 간섭 제거기 그리고 비슷한 구조의 혼합형 간섭 제거기와의 성능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성능 비교를 위해 채널 환경은 Rayleigh-fading (Jake's model)과 가산성 백색정규잡음환경에서 모의 실험을 하였고, 시스템의 복잡도, 지연시간 그리고 오류율에 대해 비교하였다. 모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혼합형 간섭 제거기가 순차적 간섭제거기의 오류율에 근접하면서 지연시간을 절반정도 줄였고, 제안한 혼합형 간섭제거기 후단의 병렬형 간섭제거기를 1단을 사용함으로서 복잡도면에서 1단을 사용한 일반 병렬형 간섭제거기에 비해 1/4정도 줄였다.

  • PDF

MIMO MB-OFDM 시스템 (MIMO MB-OFDM System)

  • 허주;장경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0A호
    • /
    • pp.1177-118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UWB Application을 위하여 IEEE 802.15 TG3a 의 표준안의 하나로 제안된 MB-OFDM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고, IEEE 802.15 SG3a 에서 제안된 60Hz의 광대역 UWB 채널모델을 MB-OFDM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 및 중심 주파수 호핑을 고려하여 기존의 UWB 채널을 필터링한 3개의 서브 맨드 채널로 재성형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AWGN 과 UWB 채널 환경에서 bm-OFDM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하고, 시간 영역 확산 및 주파수 영역 확산 기법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주파수 및 시간 영역 다이버서티 이득을 검증하며, SFBC MB-OFDM 시스템과 기존 MB-OFDM 시스템과의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하면, SFBC를 사용하는 경우 기존의 MB-OFDM 시스템보다 10-4 BER 에서 약 1.5dB 정도의 Eb/No 성능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

Canonical PWL 모델 기반의 디지털 사전왜곡기를 이용한 OFDM 시스템의 비선형 왜곡 보상 (Compensation for Nonlinear Distortion in OFDM Systems Using a Digital Predistorter Based on the Canonical PWL Model)

  • 서만중;심희성;임성빈;정재호;이광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C호
    • /
    • pp.65-76
    • /
    • 2010
  •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은 고속의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기술이다. 하지만 OFDM과 같은 다중 반송파 시스템은 비선형 왜곡에 매우 민감하다. OFDM 시스템에서는 심볼들을 다중 반송파를 이용하여 변조 후 더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송 신호 진폭의 변화가 매우 심하다. 이러한 신호 진폭의 변화와 송신기 내에 사용되는 고출력 증폭기 (High Power Amplifier; HPA)의 비선형 특성으로 인해 심각한 비선형 왜곡을 겪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OFDM 시스템의 높은 PAPR (Peak-to-Average Power Ratio)과 HPA에 의한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 CPWL (Canonical Piecewise-Linear) 모델 기반의 새로운 디지털 사전왜곡기를 제안한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새로운 사전왜곡 기법의 성능을 TD (Total Degradation)와 비트오율 (Bit Error Ratio; BER) 측면에서 평가한 결과, HPA에 의해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효과적으로 보상함으로써, 우수한 성능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경로생성 및 지형차폐를 고려한 통신영역 생성 방법 (Research of Communication Coverage and Terrain Masking for Path Planning)

  • 우상효;김재민;백인혜;김기범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07-416
    • /
    • 2020
  • Recent complex battle field demands Network Centric Warfare(NCW) ability to control various parts into a cohesive unit. In path planning filed, the NCW ability increases complexity of path planning algorithm, and it has to consider a communication coverage map as well as traditional parameters such as minimum radar exposure and survivability. In this paper, pros and cons of various propagation models are summarized, and we suggest a coverage map generation method using a Longley-Rice propagation model. Previous coverage map based on line of sight has significant discontinuities that limits selection of path planning algorithms such as Dijkstra and fast marching only. If there is method to remove discontinuities in the coverage map, optimization based path planning algorithms such as trajectory optimization and Particle Swarm Optimization(PSO) can also be used. In this paper, the Longley-Rice propagation model is used to calculate continuous RF strengths, and convert the strength data using smoothed leaky BER for the coverage map. In addition, we also suggest other types of rough coverage map generation using a lookup table method with simple inputs such as terrain type and antenna heights only. The implemented communication coverage map can be used various path planning algorithms, especially in the optimization based algorithms.

2-D OCDMA LAN에서의 검출기와 간섭 모델의 성능에 대한 비교 연구 (A Study on Detectors and Interference Models for 2-D OCDMA Networks)

  • 윤용철;최진우;성원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4B호
    • /
    • pp.245-256
    • /
    • 2003
  • 2-D OCDMA는 근거리 광통신망의 구현을 위한 유력한 기술적 해법으로 고려되고 있으며, 다양한 2-D OCMA 기법/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극부호를 사용하는 2D OCDA 통신망의 성능분석을 위한 새로운 다중접속 간섭모델을 제안하고 이 간섭모델을 기초로 하는 최대공산검출기를 유도한다. 또한, 이들 최대공산검출기와 기존에 제안된 보다 단순한 구조를 갖는 검출기의 검출성능을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비교한다. 상대적으로 복잡한 연산이 어려운 순수 광통신망에서의 적용을 고려하여 각 검출기의 구현복잡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 Pulse-Binomial 모델과 Pulse-Poisson 모델로부터 유도된 최대공산 검출기와 AND 검출기가 검출성능과 구현용이성측면에서 최적균형점에 있음을 확인한다.

채널 모델링 방법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성능 변화 (The Effect of Wireless Channel Models on the Performance of Sensor Networks)

  • 안종석;한상섭;김지훈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1권4호
    • /
    • pp.375-383
    • /
    • 2004
  • 최근에 사용 편이성으로 인해 다양한 무선 이동 네트워크들이 널리 보급되면서, 무선 네트워크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손실은 유선 네트워크의 혼잡이 아닌, 전파 오류로 인해 빈번히 발생되기 때문에, 시뮬레이션에서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알맞은 무선 채널 모델을 채택해야 한다. 적합한 채널 모델은 사용 주파수 영역, 신호출력, 방해물 존재 유무, 평가하는 프로토콜의 비트 오류에 대한 민감성 둥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Sensor) 채널의 고 전파 오류 특성을 분석하고, 센서 채널에 알맞은 채널 모델을 결정한다. 또한 센서 네트워크에서 수집한 비트 오류 데이타와 다양한 이론적 무선 채널 모델링 방식을 이용하여 링크계층 FEC(Forward Error Correction) 알고리즘과 TCP 성능 변화를 평가한다. 10일간의 센서 채널 트레이스와의 비교 분석에 의하면, CM(Chaotic Map) 모델은 센서 채널의 BER 편차와 PER(Packet Error Rate) 같을 각각 3배와 10배 이내의 오차 범위에서, 다른 모델은 수십 배 이상 오차범위에서 예측한다. FEC 알고리즘과 세가지 TCP (Tahoe, Reno, 그리고 Vegas) 시뮬레이션 실험에서도 CM 모델은 트레이스와 유사한 성능 변화를, 다른 모델은 최대 10배 이상의 오차를 보인다.

정지궤도 위성과 지구국간 광통신 링크의 전송속도 해석 (Analysis of Data Rate on Optical Communication Links between Geo-Satellite and Earth Station)

  • 한종석;정진호;김영권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120-137
    • /
    • 1997
  • 정지궤도 위성과 지구국간 광통신을 대기상태와 앙각의 함수로써 해석할 수 있는 한모델(Han's model)을 제시하였다. 한모델에서는 대기상태를 맑은날, 구름낀 날, 안개, 헤이즈, 비, 눈의 여섯가지 전형적인 상태로 구분한다. 비트오류을 $10^{-7}$을 만족하는 데이터 전송속도를 한모델을 이용하여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대해 해석하였다. 상향링크시의 포인팅손실이 하향링크시의 대기에 의한 공간 가간섭 저하보다 크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속도는 하향링크 보다 오히려 상향링크시에 제한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A New Multiuser Receiver for the Application Of Space-time Coded OFDM Systems

  • Pham, Van-Su;Le, Minh-Tuan;Mai, Linh;Lee, Jae-Young;Yoon, Gi-Wa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4권4호
    • /
    • pp.151-154
    • /
    • 2006
  • In this work, a novel optimal multiuser detection (MUD) approach, which not only achieves the optimal maximum-likelihood (ML)-like performance but also has reasonably low computational complexity, for Space-time coded OFDM (ST-OFDM) systems is presented. In the proposed detection scheme, the signal model is firstly re-expressed into linearly equivalent one. Then, with the linearly equivalent signal model, a new jointly MUD algorithm is proposed to detect signals. The ML-like bit-error-rate (BER) performance and reasonably low complexity of the proposed detection are verified by computer sim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