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D SLOPE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5초

유로만곡부의 횡방향 하상경사 산정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ed Transverse Bed Slope Models in Channel Bend)

  • 송재우;최인호;김지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1395-1404
    • /
    • 1994
  • 유로만곡부의 횡방향 하상경사는 하천형태학적 특성연구와 하도재해방지, 그리고 수공구조물 보호 등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유역 유로만곡부의 횡방향 하상경사를 Odgaard의 모형외 8개의 모형을 선택하여 비교분석한 후 예측하였으며 적합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교된 모든 모형들은 곡률반경과 수심에 비례하였고 모형들사이의 차이는 비례계수 K에 있으며 또한 측정된 횡방향 하상경사는 만곡부에서의 최대수심과 평균유속, 그리고 입자 Froude수와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Sacramento강 만곡부에서 이루어진 Odgaard의 실험자료를 이용하여 횡방향 하상경사모형들을 비교분석한 결과 Odgaard89모형이 실측횡방향 하상경사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 PDF

대표 입경과 하도 특성의 관계 분석 (Research on Relationship of Bed Material and Channel Characteristics)

  • 이두한;손민우;김명환;김창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13-617
    • /
    • 2006
  • 개별 하천에 존재하는 하상재료는 상류의 지질특성과 유수에 의한 작용력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유수에 의한 작용력은 하상경사와 유량규모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다. 산본 황일(山本 晃一)(1994)에 의하면 자연하천에서 동일한 경사를 가지는 하도 구간은 하상재료, 소류력, 저수로 폭, 수심 등이 대체로 동일한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하도 특성을 지배하는 주요인자로 각 하천의 평균연최대유량, 하상재료의 대표입경, 하상경사 등을 설정하고 있다. 하상재료는 하도의 물리적, 생태적 특성을 지배하는 대표적인 인자로 의미가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하천의 하도 특성을 분석하는 기초연구로서 대표하천에 대한 하상재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분급도와 하상경사와의 관계로 도시하여 하상재료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일본 하천의 하상재료 특성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분급도, 무차원 소류력, 하상경사와의 관계 분석을 통해서 자갈과 모래하천은 그 특성이 뚜렷이 구분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하상경사와 대표입경의 관계도 모래와 자갈을 구분하여 접근하여야 함을 확인하였다.

  • PDF

발산형 바닥 경사 생성항의 재검토와 체적-수위 관계의 수정 (Review on the divergence form for bed slope source term and correction of the volume/free-surface relationship)

  • 황승용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5호
    • /
    • pp.289-302
    • /
    • 2017
  • 발산형 바닥 경사 생성항(DFB, Divergence Form for Bed slope source term)을 엄밀하게 유도하였으며, DFB 중에서 격자의 변에서 평균 수심을 이용하는 mDFB의 오차를 명백하게 입증하였다. 또한, DFB 기법은 바닥 경사 생성항에 대해 정확한 방법임을 밝혔다. 완전히 잠기기 않은 격자에 대한 기존의 체적-수심 관계의 오류를 수정하였으며, C-특성의 충족을 위해 완전히 잠기지 않은 변에 대한 처리가 필요함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근사 Riemann 해법으로 천수방정식을 해석할 때 보다 정확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만곡부 혼합입경 하상횡경사 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Transverse Bed Slope Model for Nonuniform Sand Bed at River Bend)

  • 최종인;고재웅
    • 물과 미래
    • /
    • 제29권4호
    • /
    • pp.177-186
    • /
    • 1996
  • 하천 만곡부에서의 하상 횡경사 결정은 유수와 유수의 소류력에 의해 변동하는 하상면과의 상호관계를 규명하는 이론적인 접근에서 출발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흐름은 완전히 발달한 흐름으로 해석하게 되며 하상에서는 소류사가 일어나고 있는 상태에서 유수력과 하상물질에 의한 저항력간의 평형을 바탕으로 해석을 시도하게 된다. 한계소류력을 대표하는 연구로서 Shields diagram이 많이 이용되고 시동조건으로 Shields parameter를 0.06으로 대표해 주고 있다. 지금까지 만곡부의 하상횡경사 결정에서는 대부분의 방법들이 Shields parameter 의 적용에서 0.06을 일률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hields parameter에서의 실험조건인 균일입경하상이라는 조건이 적용되지 않는 일반 자연하천에서 혼합입경하상의 입도분포곡선 형태에 따라 생기는 Shields parameter의 변동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보다 정확한 만곡부 하상횡경사 추정이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만곡 수로의 횡방향 하상경사와 흐름특성 (Flow Characteristics and Transverse Bed Slope in Curved Alluvial Channels)

  • 차영기;이대철
    • 물과 미래
    • /
    • 제24권1호
    • /
    • pp.99-107
    • /
    • 1991
  • 본 연구는 만곡 충적수로의 거친하상(재료의 입경이 2mm이상)에 있어 횡방향 하상경사와 흐름특성을 해석하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질량 보존법칙, 운동량 방정식 및 하상 안정식을 적용하여 만곡 수로의 흐름특성을 수로 중심선에서의 횡방향 하상경사에 관한 일반식으로 유도하고, 그 해를 Sine-generated curve method(SCM)에 의해 구하였으며, 실측치와 비교, 분석하였다. 최대 횡방향 하상경사와 유속분포에 의한 지체 거리(lag distances)는 홍수시 제방의 위협단면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의 하도자료 구축을 위한 하폭 및 하상경사 산정공식 개발 (Development of Stream Width and Bed-slope Estimation Equations for Preparing Data for Distributed Storm Runoff Model)

  • 정인균;박종윤;조형경;이지완;김성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2권4호
    • /
    • pp.1-10
    • /
    • 2010
  • In this study, two estimation equations for preparing stream data for distributed storm runoff model were developed by analyzing the nonlinear relation between upstream flow-length and stream width, and between upstream flow-length and stream bed-slope. The equations for stream cell were tested in Chungjudam watershed (6,661 $km^2$) using KIMSTORM. Six storm events occurring between 2003 and 2008 were selected for the model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before the test of equations. The average values of the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ME), the volume conservation index (VCI), the relative error of peak runoff rate (EQp), and the difference of time to peak runoff (DTp) were 0.929, 1.035, 0.037, and -0.406 hr for the calibrated four storm events and 0.956, 0.939, 0.055, and 0.729 hr for the two verified storm events respectively. The estimation equations were tested to the storm events, and compared the flood hydrograph. The test result showed that the estimation equation of stream width reduced the peak runoff and delaying the time to peak runoff, and the estimation equation of stream bed-slope showed the opposite results.

사행하천(蛇行河川)의 횡방향(橫方向) 하상경사(河床傾斜)의 예측모형(豫測模型) (A Prediction Model of Transverse Bed Slope in Meandering Rivers)

  • 홍창선;정용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81-89
    • /
    • 1991
  • 사행하천형의 특성은 유로의 한쪽제방을 침식시키고, 다른 쪽은 퇴적을 일으키므로써 유로위치에 따라 천천히 형성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Odgaard(1986)가 제안한 횡방향 하상경사에 관한 선형 2차 미분방정식에 Langbein & Leopold(1966)가 제안한 sine-generated curve를 도입하므로써 위상차 및 폭-수심비의 영향을 고려한 새로운 하상형을 제시하고, 금강유역에 위치한 청원과 연기지역을 대상하천으로 하상변동조사보고서의 자료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실측치와 잘 일치하였다.

  • PDF

경사에 따른 화염각 변화와 지표 화염 확산에 관한 연구 - 무풍조건 기반 - (A Study on the Flame Tilt and Flame Spread due to Up-slope on the Surface Fuel Bed - No wind condition -)

  • 김동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57-62
    • /
    • 2009
  • 경사면에서의 지표 연소물질에 대한 화염확산은 경사각변화에 따라 화염이 경사면과 가까워져 열전달이 많이 이루어져 확산이 빠르게 이루어진다. 기존 연구에서는 경사면에 대한 화염각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경사각의 기울어짐으로 인해 화염이 그 만큼 지표면과 가까워지는 것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사면에서의 실제 화염의 성상에 대해 실험하였다. 그 결과 경사에 따른 화염기울기 산정식을 제안 하였고 경사조건에서의 화염기울기와 화염확산속도와의 관계에 대해 기술하였다.

급경사 자갈하상 만곡수로의 최대세굴심 산정공식 평가 (Estimation methods of maximum scour depth in steep gravel-bed bend channel)

  • 조재웅;남아름;우태영;박상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6호
    • /
    • pp.529-536
    • /
    • 2016
  • 본 연구는 급경사 자갈하상 만곡수로의 이동상 수리실험을 이용하여 만곡부 최대세굴심 산정공식들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평균입경 43mm의 하천자갈을 $90^{\circ}$ 만곡 급경사 개수로에 포설하고 유량과 하상경사에 따른 만곡부의 최대세굴심을 조사하고 세굴심 공식으로 산정한 최대세굴심과 비교하였다. 자갈하상 만곡부 국부세굴은 유입부의 하상경사 0.02이상 $F_r$ 0.95이상에서 발생하였다. 이 수로에서 Lacey공식과 Zeller공식을 제외한 기존 세굴심 산정공식들은 최대세굴심을 과대 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상재료를 고려한 Lacey공식과 접근경사와 만곡도를 반영한 Zeller공식은 급경사 자갈하상 만곡부의 최대세굴심 평가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산불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임지내 산림연료와 경사도에 관한 연구 (Slope and Forest Fuel Effect on Spreading of Forest Fire)

  • 채희문;이찬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79-184
    • /
    • 2003
  • 산불 확산에 미치는 인자들 중 임지내의 삼림연료의 무게와 두께, 임지의 경사도의 관계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임지내의 경사도와 산불의 확산과의 관계는 경사가 높아지면 질수록 산불의 확산 속도는 빠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경사 15%와 비교하여 30%, 45%, 50%의 경사는 30%일 때 약 1.5배 증가 추세를 보이고, 45%일 때는 6.8배 정도의 산불확산 속도가 증가, 경사 50%일 때는 13.7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연료의 두께와 산불의 확산과의 관계는 연료두께 2cm일 때 산불의 평균확산속도는 42m/min, 3 cm는 11m/min, 4cm는 6m/min, 5cm는 9m/min, 6cm는 6.6m/min로 나타났다. 산림연료의 두께와 산불의 확산과의 관계는 연료의 무게 0.1kg/$m^2$의 경우 산불의 평균 확산속도는 22.4m/min, 0.15kg/$m^2$의 경우 9.4m/min, 0.2kg/$m^2$의 경우 6.5m/min로 나타났다. 연료 무게의 경우는 경사도와 유사하게 무게의 크기에 따라 산불의 확산 속도가 좌우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들 3가지 인자와 산불의 확산과의 관계를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사도가 가장 영향을 미치며, 다음으로 연료의 무게이며, 지피물의 두께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연구된 산불 확산 속도는 산림미세연료 (임지에 있어서 지피물)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식생분포와 산불의 확산속도와의 관계를 제외하였다. 보다 정밀한 확산속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알맞은 지형조건과 풍향조건의 인자들을 분석하여 산불의 확산속도를 예측하는 model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