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

검색결과 348건 처리시간 0.028초

금속이온이 담지 된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도시가스 내 부취제 제거 (Desulfurization of Sulfur Compounds in City-gas using Metal Salt Impregnated Zeolite)

  • 송헌일;고창현;김재창;김종남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2호
    • /
    • pp.143-148
    • /
    • 2007
  • 도시가스를 원료로 수소를 제조하여 연료전지에 활용할 경우에 도시가스에 포함된 황화합물이 개질기의 촉매와 연료전지의 전극에 독으로 작용하므로 금속이온이 담지 된 $\beta$-제올라이트(BEA)로 황화합물 흡착 제거를 수행하였다. 담지 된 금속염의 농도, 종류에 따라 파과흡착량이 달라졌으며, $AgNO_3$이 담지 된 흡착제가 실험에 사용된 흡착제 중 가장 높은 파과흡착량을 나타내었다(41.1 mg/g). 그러나 $Ni(NO_3)_2$, $Fe(NO_3)_3$, $Co(NO_3)_2$와 같은 금속염이 담지 된 BEA도 $AgNO_3/BEA$와 비교할 수준의 황화합물 흡착량을 나타냈다. $AgNO_3/BEA$ 흡착제 특성 분석과 온도 영향성 실험 및 X선 광전자 분광기(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분석을 통하여 흡착제와 황화합물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금속이온과 황화합물간의 화학적 상호작용보다 물리적 상호작용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산 생강 및 생강가루의 Beauvericin과 Enniatins 오염도 조사 (Survey on Contamination of Beauvericin and Enniatins in Korean Ginger and Ginger Powder)

  • 이미정;임수빈;최정혜;김점순;이데레사;장자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47-35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생강(n = 43)과 생강가루(n = 31)를 대상으로 beauvericin (BEA)과 enniatins (ENNs)의 오염 실태를 조사하였다. 생강 시료 중 62.79%가 BEA에 오염되었으며, 최대 오염농도는 640.07 ㎍/kg으로 오염률과 오염농도가 조사 대상 독소 중 가장 높았다. 생강에서 ENNs의 오염률은 최대 11.63% (ENB, ENB1)이었으며, 최대 오염농도는 91.02 ㎍/kg (ENA)였다. 생강가루에서는 ENB의 오염률이 70.97%로 가장 높았으나, 오염농도는 BEA이 최대 1, 344.18 ㎍/kg으로 조사 대상 독소 중 가장 높았다. 생강가루의 ENA, ENA1, ENB, ENB1의 오염률은 29.03%, 22.58%, 70.97%, 35.48%였으며, 최대 오염농도는 220.45 ㎍/kg, 156.61 ㎍/kg, 413.99 ㎍/kg, 70.29 ㎍/kg로 ENB의 오염률과 오염농도가 높았다. BEA과 ENNs은 생강보다 생강가루에서 오염농도가 높았다. 생강과 생강가루에서 BEA과 ENNs의 중복 오염률은 각각 16.28%와 64.52%로 생강에 비해 생강가루에서 독소의 중복오염률이 높았다. 본 연구는 한국산 생강과 생강가루의 BEA과 ENNs의 발생 및 이들의 중복 오염을 처음으로 보고하는 것이다.

Beauvericin, a cyclic peptide, inhibits inflammatory responses in macrophages by inhibiting the NF-κB pathway

  • Yoo, Sulgi;Kim, Mi-Yeon;Cho, Jae Youl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1권4호
    • /
    • pp.449-456
    • /
    • 2017
  • Beauvericin (BEA), a cyclic hexadepsipeptide produced by the fungus Beauveria bassiana, is known to have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actions. However, how BEA suppresses macrophag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has not been fully elucidated.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BEA and the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using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macrophage-like RAW264.7 cells. Levels of nitric oxide (NO), mRNA levels of transcription factors and the inflammatory genes inducible NO synthase (iNOS) and interleukin (IL)-1, and protein levels of activated intracellular signaling molecules were determined by Griess assay,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 and immunoblotting analysis. BEA dose-dependently blocked the production of NO in LPS-treated RAW264.7 cells without inducing cell cytotoxicity. BEA also prevented LPS-triggered morphological changes. This compound significantly inhibited nuclear translocation of the $NF-{\kappa}B$ subunits p65 and p50.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s demonstrated that BEA suppresses MyD88-dependent NF-${\kappa}B$ activation. By analyzing upstream signaling events for $NF-{\kappa}B$ activation and overexpressing Src and Syk, these two enzymes were revealed to be targets of BEA.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A suppresses $NF-{\kappa}B$-dependent inflammatory responses by suppressing both Src and Syk.

NH3-SCR 반응에서 스팀 처리된 zeolite BEA 촉매의 영향 (Effect of Steam-Treated Zeolite BEA Catalyst in NH3-SCR Reaction)

  • 박지혜;조광희;황라현;백정훈;이광복
    • 청정기술
    • /
    • 제26권2호
    • /
    • pp.145-150
    • /
    • 2020
  • 아산화질소(N2O)는 6대 온실가스 중 하나로 이산화탄소(CO2)의 310배에 해당하는 지구온난화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 GWP)를 나타내어 N2O를 저감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선택적 촉매환원법(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은 대기오염 물질의 하나인 NOx의 제거를 위해 암모니아를 환원제로 사용하여 무해한 N2 및 H2O로 전환하는 기술로 높은 탈질효율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NH3-SCR반응에서 스팀 처리된 Fe-BEA 촉매가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Fe-BEA 촉매는 Fe를 이온교환하기 전, 고정층 반응기로 100 ℃에서 2 h 동안 스팀 처리 되었다. 제조된 촉매의 NH3-SCR반응 테스트는 고정층 반응기로 WHSV = 180 h-1, 370 ~ 400 ℃에서 수행되었다. 100 ℃에서 스팀 처리된 Fe-BEA(100) 촉매가 370 ~ 390℃에서 Fe-BEA 촉매보다 다소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NH3-SCR 활성에 영향을 주는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제조된 촉매는 BET, ICP, NH3-TPD, H2-TPR, 27Al MAS NMR을 통하여 특성분석 되었다. H2-TPR결과를 통해 Fe-BEA(100) 촉매가 Fe-BEA 촉매 보다 isolated Fe3+의 환원이 더 많이 일어난 것을 확인하였으며, 스팀 처리는 활성종인 isolated Fe3+의 양을 늘려주어 활성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Statistical Optimization of Growth Medium for the Production of the Entomopathogenic and Phytotoxic Cyclic Depsipeptide Beauvericin from Fusarium oxysporum KFCC 11363P

  • Lee, Hee-Seok;Song, Hyuk-Hwan;Ahn, Joong-Hoon;Shin, Cha-Gyun;Lee, Gung-Pyo;Lee, Ch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138-144
    • /
    • 2008
  • The production of the entomopathogenic and phytotoxic cyclic depsipeptide beauvericin (BEA) was studied in submerged cultures of Fusarium oxysporum KFCC 11363P isolated in Korea. The influences of various factors on mycelia growth and BEA production were examined in both complete and chemically defined culture media. The mycelia growth and BEA production were highest in Fusarium defined medium. The optimal carbon and nitrogen sources for maximizing BEA production were glucose and $NaNO_3$, respectively. The carbon/nitrogen ratio for maximal production of BEA was investigated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Equations derived by differentiation of the RSM model revealed that the production of BEA was maximal when using 108 mM glucose and 25 mM $NaNO_3$.

NO의 암모니아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을 위한 철 제올라이트 촉매의 내황성에 미치는 조촉매 효과 (The Effect of Promoter on the SO2-resistance of Fe/zeolite Catalysts fo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of NO with Ammonia)

  • 하호정;최준환;한종대
    • 청정기술
    • /
    • 제21권3호
    • /
    • pp.153-163
    • /
    • 2015
  • Fe/제올라이트 촉매의 저온에서의 NO의 암모니아 선택적 촉매환원반응 활성에 미치는 반응가스 중의 수분과 SO2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Fe/제올라이트 촉매에 조촉매로 Mn, Zr과 Ce를 첨가한 Fe/제올라이트 촉매로 수분과 SO2가 포함된 저온에서의 NO의 암모니아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에서 조촉매 첨가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촉매는 이온교환법으로 철을 담지시킨 Fe/제올라이트 촉매에 건식 함침법으로 첨가하였다. 제올라이트는 디젤엔진에서의 SCR기술의 적용을 위하여 NH4-BEA와 NH4-ZSM-5을 사용하였다. 촉매의 특성은 BET, XRD, SEM/EDS와 TEM/EDS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반응가스 중에 5% H2O와 100 ppm SO2이 존재하는 경우 Fe/BEA 촉매의 NO 전환율은 200 ℃에서 77%에서 47%로 감소하였다. MnFe/BEA 촉매는 수분과 SO2가 존재하는 경우에 200 ℃에서 53% 이상의 NO 전환율을 나타내며 Fe/BEA 촉매보다 우수한 반응활성을 보였다. Mn은 Fe 성분의 분산도를 증가시키고 Fe의 소중합체 형성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첨가제는 Mn이 Zr과 Ce보다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250 ℃ 이하의 온도에서 Fe/BEA 촉매가 Fe/ZSM-5 촉매보다 우수한 반응특성을 나타내었다.

Beta and Alpha Regularizers of Mish Activation Functions for Machine Learning Applications in Deep Neural Networks

  • Mathayo, Peter Beatus;Kang, Dae-Ki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1호
    • /
    • pp.136-141
    • /
    • 2022
  • A very complex task in deep learning such as image classification must be solved with the help of neural networks and activation functions. The backpropagation algorithm advances backward from the output layer towards the input layer, the gradients often get smaller and smaller and approach zero which eventually leaves the weights of the initial or lower layers nearly unchanged, as a result, the gradient descent never converges to the optimum. We propose a two-factor non-saturating activation functions known as Bea-Mish for machine learning applications in deep neural networks. Our method uses two factors, beta (𝛽) and alpha (𝛼), to normalize the area below the boundary in the Mish activation function and we regard these elements as Bea. Bea-Mish provid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s and conditions governing this regularization term can lead to a more principled approach for constructing better performing activation functions. We evaluate Bea-Mish results against Mish and Swish activation functions in various models and data set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our approach (Bea-Mish) outperforms native Mish using SqueezeNet backbone with an average precision (AP50val) of 2.51% in CIFAR-10 and top-1accuracy in ResNet-50 on ImageNet-1k. shows an improvement of 1.20%.

메조세공 BEA에 고정화된 키랄 Co살렌 착체의 동적분할을 통한 고광학순도의 키랄 모노에스테르 합성 (Synthesis of Optically Active Monoesters via Kinetic Resolution by Chiral Co (Salen) Complex Immobilized on Mesoporous BEA)

  • 최성대;박근우;이경찬;김건중
    • 공업화학
    • /
    • 제26권2호
    • /
    • pp.132-137
    • /
    • 2015
  • BEA형 제올라이트를 알칼리용액으로 처리하여 결정구조 내에 메조세공이 형성되도록 제조하고, 세공 내에 균일계 키랄 Co(III) 살렌을 고정화시켰다. 메조세공 BEA-제올라이트에 고정화된 이핵형 Co-$GaCl_3$ 살렌 촉매는 말단 에폭사이드의 산소고리를 카르복실산으로 여는 키랄 반응에 대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반응을 통하여 라세믹 에폭사이드로부터 다양한 모노 에스테르 유도체를 중간 정도의 광학선택도(47~69 ee%)로 합성할 수 있었다. 키랄(S)-ECH를 반응물로 사용하면, 이들은 키랄 살렌 촉매 존재하에서 카르복시 산에 의하여 에폭사이드의 링이 광학선택적으로 열리며, 생성된 화합물을 염기용액에서 탈염산 처리하면 다시 에폭사이드 링이 형성되면서 광학순도가 매우 높은 모노에스터 에폭사이드 (R)-GB (98 ee% 이상)가 얻어졌다. 고정화촉매는 매우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었으며, 특별한 재생처리 없이 여러번 재사용하여도 촉매의 활성이 유지되었다.

구리 제올라이트와 철 제올라이트 촉매에 의한 질소산화물의 암모니아 선택적 촉매환원반응 특성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of NOx with Ammonia over Cu and Fe Promoted Zeolite Catalysts)

  • 하호정;홍주환;최준환;한종대
    • 청정기술
    • /
    • 제19권3호
    • /
    • pp.287-294
    • /
    • 2013
  • 구리-제올라이트 촉매와 Fe-제올라이트 촉매로 과잉산소 분위기에서 일산화질소의 암모니아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촉매는 디젤엔진에서의 SCR기술의 적용을 위하여 구리와 철을 $NH_4$-BEA와 $NH_4$-ZSM-5 제올라이트에 이온교환법과 함침법으로 담지시켜 제조하였다. 촉매의 특성은 BET, XRD, FE-TEM과 SEM/EDS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고정된 반응조건에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에서 구리를 BEA 제올라이트에 이온교환시켜 제조한 촉매가 $200{\sim}250^{\circ}C$의 저온영역에서 탁월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250^{\circ}C$ 이하의 저온에서 구리-제올라이트 촉매가 Fe-제올라이트 촉매보다 높은 반응활성을 나타내었다. BEA 제올라이트에 담지된 촉매가 ZSM-5 제올라이트에 담지된 촉매보다 $250^{\circ}C$ 이하의 저온에서 우수한 반응활성을 나타내었다.

귀전우(鬼箭羽) 부탄올 추출물의 혈관이완 기전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Vasorelaxant Mechanism of the Butanol Extract of Euonymus alatus)

  • 리향;강대길;이준경;김승주;최덕호;이계복;최호진;염기복;이호섭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48-154
    • /
    • 2008
  • The butanol extract of Euonymus alatus (BEA) induced dose-dependent relaxation of phenylephrine-precontracted aorta, which was abolished by removal of functional endothelium. Pre-treatment of the endothelium-intact aortic tissues with $N^G-nitro-L-arginine methylester$ (L-NAME), and 1 H-[1,2,4]-oxadiazole- [$4,3-{\alpha}$]-quinoxalin-1-one (ODQ) inhibited the relaxation induced by BEA, respectively. BEA-induced vascular relaxation was not blocked by glibenclamide, tetraethylammonium (TEA), indomethacin, atropine, propranolol, verapamil, and diltiazem, respectively. Moreover, BEA inhibits phenylephrine-induced vascular constri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A relaxes vascular smooth muscle via endothelium-dependent nitric oxide/cGMP signa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