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M

검색결과 333건 처리시간 0.027초

전구체의 특성 및 AlF3 융제가 청색 발광의 BAM:Eu 형광체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Precursor Powders and AlF3 Flux on the Properties of Blue-Emitting BAM:Eu Phosphor Powders)

  • 조중상;이상호;강윤찬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37-142
    • /
    • 2008
  • Blue-emitting BAM:Eu phosphor powders were formed by post-treatment of precursor powders with hollow or dense morphologies. The morphologies of the precursor powders obtained by spray pyrolysis were controlled by changing the preparation conditions and by changing the type of spray solution. The effects of the morphologies of the precursor powder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M : Eu phosphor powders reacted with $AlF_3$ flux were investigated. Precursor powders with a spherical shape and a hollow morphology produced BAM : Eu phosphor powders with a plate-like morphology, a fine size and a narrow size distribution. On the other hand, precursor powders with a spherical shape and dense morphology produced BAM : Eu phosphor powders with a plate-like morphology and a large size. $AlF_3$ flux improved the photoluminescence intensities of the BAM : Eu phosphor powders. The photoluminescence intensity of the fine-sized BAM : Eu phosphor powders with a plate-like morphology was 90% of the commercial product under vacuum ultraviolet conditions.

저온 감열 특성을 가지는 Comb-Type Grafted Polymer Hydrogels의 합성 및 특성평가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omb-Type Grafted Polymer Hydrogels with Low Temperature Sensitivity)

  • 정택규;김승수;신병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9-66
    • /
    • 2003
  • 생물학적 의약품, 식품 등과 같이 저온 유통 체계(cold chain)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제품 용기에 부착하여 보관 온도 이상에 노출될 경우 비가역적인 변화를 일으켜 고온 노출여부를 검지 할 수 있는 라벨의 소재로소 poly(N-isopropylacrylamide-co-t-butylacrylamide) [p(NIPAAm-co-t-BAM)]수화겔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p(NIPAAm-co-t-BAM)수화겔은 cold chain 온도인 8$^{\circ}$C 이하에서 온도 민감성을 갖도록 t-BAM양을 조절하여 레독스 중합반응을 통하여 저온 (4$^{\circ}$C)합성하였고, 또한 oli해(NIPAAm-co-t-BAM) 공중합체를 그라프트하여 빗살 구조를 가지는 가교수화겔을 제조함으로써 수화겔의 수축 팽윤 속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합성 된 수화겔의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s(LCSTs)는 흐림 점 측정법과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NIPAAm 단량체와 빗살형태의 t-BAM 공중합체의 조성비가 가교제의 양에 따라 수화겔의 수축과 팽윤 거동을 관찰하였다. 소수성기를 포함하는 t-BAM의 조성비율에 따라 8$^{\circ}$C 이하 저온에서 수화겔의 LCST조절이 가능하며, 빗살 형태로 그라프트된 공중합체의 조성비에 따라 수축-팽윤율 및 속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적화기법을 이용한 BAM의 설계 (Design of BAM using an Optimization approach)

  • 권철희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61-16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양방향 연상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BAM(bidirectional associative memory)의 설계방법론을 제안한다. 먼저 BAM의 성질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주어진 패턴 쌍을 안정하게 그리고 높은 오차수정율(error correction ratio)을 가지고 저장할 수 있는 BAM을 찾는 문제를 제약조건이 있는 최적화 문제로 공식화한다 다음과정에서 이 최적화 문제를 GEVP(generalized eigenvalue problem)로 변환함으로써 최근에 개발된 내부점 방법(interior point method)을 통하여 해가 구해질 수 있도록 한다. 제안된 설계 방법론의 적용가능성은 예제를 통해 확인된다.

  • PDF

템플릿 워핑 BAM을 이용한 얼굴 윤곽선 검출 (Face Alignment using Template Warping BAM)

  • 김석호;김재민;조성원;이기성;정선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18-420
    • /
    • 2008
  • 얼굴 윤곽선 검출을 위해 그동안 많은 알고리즘이 연구되었다. 그리고 최근에 기존 Active Appearance Model(AAM)에 비해 성능이 개선된 Boosted Appearance Model (BAM)가 Liu에 의해제안되었다. BAM에서는 매 반복 단계마다 Steepest Descent 영상을 구해야 하는데 입력영상의 워핑을 해야 하므로 이것은 계산량이 많다. 본 논문은 BAM을 사용하면서 매번 계산되어야 하는 입력 영상의 워핑을 대신해 템플릿이 워핑함으로써 계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템플릿은 약한 분류기에 사용되는 Haar-like feature들로 이것은 입력 영상에 비해 크기가 매우 작으므로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면 Steepest Descent 영상을 구하는데 필요한 워핑 속도를 줄일 수 있다.

  • PDF

재료배합비를 달리한 밤떡의 관능적 및 물리적 특성 (Sensory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am-dduk Prepared with Different Ratio of the Ingredients)

  • 김지영;차경희;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27-433
    • /
    • 1997
  • Various Bam-dduk were prepared by using two kinds of chestnut flour (dried chestnut, boiled chestnut), 2 types of sugar (sugar and honey), and 3 levels of sugar (10, 20, 30 g), and they were evaluated for sensory quality, texture, moisture, and color. The addition of 10∼15% of dried chestnut flour to glutinous rice flour increased the graininess, moistness, chewiness, and sweetness of Bam-dduk, and the addition of 30∼40% boiled chestnut flour increased the graininess, moistness, and sweetness, depending up on the types and levels of sugar. The use of 10% dried chestnut flour and 30 $m\ell$ of honey gave the highest value of springiness in Bam-dduk. Gumminess, hardness and chewiness were the highest with 15% dried chestnut flour and 20 g sugar. Cohesiveness was the strongest at 30% boiled chestnut flour and 10 $m\ell$ honey. Adhesiveness was most proper when 30 g sugar was added to 10% dried chestnut flour. The use of boiled chestnut flour gave higher moisture content in Bam-dduk (32.2∼41.3%) than the use of dried chestnut flour (29.6∼34.2%). The values of 'L' (67.43) and 'b' (18.07) were most intensive in Bam-ddfik prepared with 15% dried chestnut and 20 g sugar, and the replacement of 20 g sugar with 30 $m\ell$ of honey gave the highest 'a' value, 2.33.

  • PDF

옥수수 엽록체 rbcL 유전자의 클로닝 (Cloning of the rbcL Gene from Maize Chloroplast)

  • 이재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2호
    • /
    • pp.165-171
    • /
    • 1992
  • rbcL 유전자 발현조절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Cp DNA로부터 분리한 rbcL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옥수수의 엽록체로부터 DNA를 분리한 후 제한효소 BamHI으로 절단하여 rbcL 유전자가 포함된 BamHI 9 절편을 pUC19에 클로닝하여 재조합 플라스미드 pRLYS1을 만들었다. 쌀의 rbcL 유전자 일부를 probe로 사용하여 pRLYS1과 Southern hybridization한 결과와 제한효소 BamHI, HindIII, 그리고 PstI으로 절단된 pRLYS1 절편의 전기영동 결과로부터 재조합 플라스미드의 내부에 완전한 rbcL 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삽입방향을 결정하였다.

  • PDF

Cloning and Idendification of dTDP-L-Rhamnose Biosynthetic Gene Cluster from Thermus caldophilus GK24

  • Kim, Ki-Chan;Lee, Seung-Don;Han, Ju-Hee;Sohng, Jae-Kyung;Liou, Kwang-Kyoung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749-754
    • /
    • 2000
  • 알려진 dTDP-D-glucose 4,6-dehydratase의 amino acid 서열로 부터 primer를 제작하여 내열성 균주인 Thermus caldophilus GK24에서 colony hybridization 과정을 거쳐 dTDP-D-glucose 4,6-dehydratase를 포함하는 cosmid DNA를 얻었다. 유전자 분석을 위해 cosmid DNA를 subclone 하여 작은 크기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cosmid를 pSMTC-1 으로 명명하고 pSMTC-1를 BamHI으로 반응시켜 BamHI 단편 모두를 pGEM 7(+)를 이용하여 subclone 하였다. 각각의 이름은 크기에 따라 pKCB10(1.2kb-BamHI), pKCB20(1.6kb-BamHI), pKCB30(2.Ikb-BamHI), pKCB40(2.5kb-BamHI), pKCB50(2.5kb-BamHI), pKCB60(2.7kb-BamHI), pKCB70(3.4kb-BamHI), pKCB80(4.4kb-BamHI), pKCB90(7.0kb-BomHI) 으로 명명하였다. 각각의 subclone된 유전자를 분석하기 위해 Erase-a-base 방법을 이용하여 template를 준비하였고 이를 자동 염기서열 분석기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염기서열분석 결과 pKCB80(4.2kb)에 dTDP-D-glucose synthase(orfA) 유전자를 비롯하여 dTDP-D-glucose 4,6-dehydratase(orfB), orfC (dTDP-4-keto-L-rhamnose reductase) 그리고 orfD(dTDP-4-keto-6-deoxy-D-glucose 3,5-epimerase)와 유사한 유전자들이 있음이 확인 되었고 dTDP-L-rhamnose의 생합성 과정을 예상할 수 있었다.

  • PDF

제한효소의 인식자리 변화 -BamHI 특이성에 미치는 산도와 소수성의 영향- (Alteration of Recognition Sequence by Restriction Endonuclease -Effect of pH and Hydrophobicity on BamHI-)

  • 이강민
    • KSBB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193-200
    • /
    • 1996
  • DNA를 인식하여 절단하는 제한효소의 발견은 유전자를 연구, 조작할 수 있게 되어 분자생물학 연구에 큰 발전을 가져 왔다. 제한효소의 인식자리는 반 응용액의 산도, 유기용애의 소수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제한 효소 BamHI의 특이성 변화는 유기용 매의 소수성CLogP)과 산도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제한효소 BamHI의 인식자리의 특이성 변화는 산도 7.5에셔 LogP값이 -1.3~-1.35, 8.0에서 -1. 0 03~-2.5, 8.5에서 0.75~-2.5, 8.9에서 -0.32 ~­2 2.5 벙위에셔 각각 나타난다. 통일한 유기용매 혼합 물에서 산도가 알카리 일수록 낮은 유기용매 놓도에 서 특이성의 변화가 나타난다. DMSO용액에서 Bam H HI의 특이성 변화는 산도가 7.5일때 20% 농도에서 나타나지만 산도가 8.9일때는 4%에서 나타난다.

  • PDF

Frankia sp. strain SNU 014201의 nif-H, D, K, 유전자 클로닝

  • 권석윤;강명수;안정선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0-36
    • /
    • 1992
  • 물오리나무의 뿌리혹에서 분기한 Frankia sp. SNU 014201 공생균주의 게놈내에 13.5 kb의 EcoRI, 18.0 kb 의 BamHI, 10.5 kb의 Bg/II, 4.5 kb의 KpnI 절편에 nif-H, D 유전자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람다 파아지 EMBI3-BamHI arm을 사용하여 제조한 genomic library 에서 nif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14개의 재조합 파아지 클론을 선별하였다. 이들 중 Ahnif-12번 클론은 nif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18kb 의 삽입 DNA 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중 7.9 kb 의 BamHI 절편내에 nif-H. D. K가 3.6kb 의 HindIII/KpnI 절편내에 nif D 의 일부와 H 가 위치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등 절편을 각각 subcloning 하고 제한효소 지도를 작성한 결과, Frankia sp. SNU 01420의 nif-H. D. K 유전자는 6.5 kb 의 Hind III/Bam HI 절편과 5.2 kb Sal/IBamHI 절편내에 연속 배열하고 있다.

  • PDF

제주도 고산 측정소의 미세먼지 측정방법에 따른 질량농도 비교 (Comparison of the PM10 Concentration in Different Measurement Methods at Gosan Site in Jeju Island)

  • 신소은;김용표;강창희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4호
    • /
    • pp.421-429
    • /
    • 2010
  •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of ambient trace species is an important issue, especially, in background area such as Gosan in Jeju Island. In a previous episodic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PM10 measurement result by the gravimetric method(GMM) was not in agreement with the result by the ${\beta}$-ray absorption method(BAM). In this study, a systematic comparison was carried out for the data between 2001 and 2008 at Gosan(GMM and BAM) and Jeju city (BAM) which is near to Gosan. It was found that at Gosan the PM10 concentration by BAM was higher than GMM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was low. The BAM results at Gosan and Jeju city showed similar trend implying the discrepancy at Gosan was not caused by instrumental problem of the BAM at Gosan.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wo probable reasons for the discrepancy are identified; (1) negative measurement error by the evaporation of volatile ambient species at the filter in GMM such as nitrate and ammonium and (2) positive error by the absorption of water vapor during measurement in BAM. There was no heater at the inlet of BAM at Gosan during the sampling period. Based on the size-segregated measurement data, it was identified that the evaporation error was minor, if an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ethods did not vary with the ambient relative humidity. Thus, at present, it is not clear why the discrepancy had been occurring and when using the PM10 data at Gosan, one should be aware the possible err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