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EKDUDAEGAN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24초

남해분취, 취나물속의 일신종 (Saussurea namhaedoana (Compositae), a new species from Namhaedo Island, Korea)

  • 선은미;윤선아;김승철;정재민;임형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97-101
    • /
    • 2022
  • 경상남도 남해도에서 발견된 취나물속의 신종을 남해분취(Saussurea namhaedoana)로 기재했다. 이 종은 우리나라 특산으로 근생엽이 화기까지 숙존하며, 잎은 극형, 전형또는 드물게 심장형으로 잎 가장자리는 중열 또는 큰 거치가 발달하고, 아랫면에 조락하는 회백색 거미줄 털이 밀생하며, 총포는 통형으로 회백색 거미줄 털로 덮여 있다. 자생 취나물속 식물 중에 잎 아랫면에 회백색 또는 흰색 털이 밀생하는 종으로는 은분취(S. gracilis), 함백취(S. albifolia), 서울분취(S. seoulensis), 백운취(S. insularis)가 있으나, 극형, 전형의 잎은 남해분취만의 특징이다.

관매도의 식물상 (Flora of Gwanmae Island)

  • 선은미;손현덕;박한수;임형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9-133
    • /
    • 2022
  • 2016년-2021년의 현지조사와 전남대 표본실(CNU) 소장 표본에 기초하여 전라남도 진도군 관매도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관매도에서는 103과 307속 461종 4아종 32변종 3품종의 총 500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에는 홍도서덜취(Saussurea polylepis Nakai)를 포함한 10종의 고유종과, 지네발란(Cleisostoma scolopendrifolium (Makino) Garay), 새깃아재비(Woodwardia japonica (L. f.) Sm.)를 포함한 15종의 적색목록식물이 포함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V등급종인 새깃아재비 등 4분류군, IV등급종인 애기등(Wisteria japonica Siebold & Zucc.) 등 4분류군, III등급종인 거문딸기(Rubus trifidus Thunb) 등 45분류군, II등급종인 닭의난초(Epipactis thunbergii A. Gray) 등 16분류군, I등급종인 천일담배풀(Carpesium glossophyllum Maxim.) 등 5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로는 냄새명아주(Cerastium glomeratum Thuill.) 등 3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A survey of viruses and viroids in astringent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and the development of a one-step multiplex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 for the identification of pathogens

  • Kwon, Boram;Lee, Hong-Kyu;Yang, Hee-Ji;Kim, So-Yeon;Lee, Da-Som;An, ChanHoon;Kim, Tae-Dong;Park, Chung Youl;Lee, Su-Heo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193-206
    • /
    • 2022
  • Astringent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is an important fruit crop in Korea; it possesses significant medicinal potential. However, knowledge regarding the pathogens affecting this crop, particularly, viruses and viroids, is limited. In the present stud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high-throughput transcriptome sequencing (HT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viruses and viroids infecting astringent persimmons cultivated in Korea. A one-step multiplex RT-PCR (mRT-PCR) method for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the pathogens was developed by designing species-specific primers and selecting the primer pairs via combination and detection limit testing. Seven of the sixteen cultivars tested were found to be infection-free. The RT-PCR and HTS analyses identified two viruses and one viroid in the infected samples (n = 51/100 samples collected from 16 cultivars). The incidence of single infections (n = 39/51) was higher than that of mixed infections (n = 12/51); the infection rate of the Persimmon cryptic virus was the highest (n = 31/39). Comparison of the monoplex and mRT-PCR results using randomly selected samples confirmed the efficiency of mRT-PCR for the identification of pathogens. Collectively, the present study provides useful resources for developing disease-free seedlings; further, the developed mRT-PCR method can be extended to investigate pathogens in other woody plants.

Keyword Analysis of Arboretums and Botanical Gardens Using Social Big Data

  • Shin, Hyun-Tak;Kim, Sang-Jun;Sung, Jung-Wo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33-243
    • /
    • 2020
  • This study collects social big data used in various fields in the past 9 years and explains the patterns of major keywords of the arboretums and botanical gardens to use as the basic data to establish operational strategies for future arboretums and botanical gardens. A total of 6,245,278 cases of data were collected: 4,250,583 from blogs (68.1%), 1,843,677 from online cafes (29.5%), and 151,018 from knowledge search engine (2.4%). As a result of refining valid data, 1,223,162 cas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We came up with keywords through big data, and used big data program Textom to derive keywords of arboretums and botanical gardens using text mining analysis. As a result, we identified keywords such as 'travel', 'picnic', 'children', 'festival', 'experience', 'Garden of Morning Calm', 'program', 'recreation forest', 'healing', and 'museum'. As a result of keyword analysis, we found that keywords such as 'healing', 'tree', 'experience', 'garden', and 'Garden of Morning Calm' received high public interest. We conducted word cloud analysis by extracting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in total 6,245,278 titles on social media. The results showed that arboretums and botanical gardens were perceived as spaces for relaxation and leisure such as 'travel', 'picnic' and 'recreation', and that people had high interest in educational aspects with keywords such as 'experience' and 'field trip'. The demand for rest and leisure space, education, and things to see and enjoy in arboretums and botanical gardens increased than in the past. Therefore, there must be differentiation and specialization strategies such as plant collection strategies, exhibition planning and programs in establishing future operation strategies.

Prediction of potential spread areas of African swine fever virus through wild boars using Maxent model

  • Lim, Sang Jin;Namgung, Hun;Kim, Nam Hyung;Oh, Yeonsu;Park, Yung Chul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6권1호
    • /
    • pp.54-61
    • /
    • 2022
  • Background: In South Korea, African swine fever virus (ASFV) has spread among wild boars through Gangwon-do to Dangyang-gun, Chungcheongbuk-do on the southern border of Gangwon-do. To prevent the spread of ASFV to African swine fever (ASF)-free area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reas with a high probability of finding ASFV-infected carcasses and to reduce the density of wild boars in those areas. In this study, we described the propagation trend of ASFV among wild boars, constructed the habitat suitability maps for ASFV-infected carcasses, and suggested areas with a high probability of finding ASFV-infected carcasses and an important route of ASFV transmission. Results: Despite the active quarantine policies in Korea to prevent the spread of ASFV through wild boa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nthly average of number of ASFV-infected carcasses observed between 2020 and 2021. The ASFV-infected carcasses were found more in winter and spring (January to April). Since the first ASF outbreak in wild boars on October 2, 2019, the maximum width of ASFV-infected carcass distribution area was 222.7 km for about 26 months till November 20, 2021. The habitat suitability map, based on GPS coordinates of ASFV-infected wild boar carcasses, shows that highly detectable areas of ASFV-infected carcasses were sporadically dispersed in western and southwestern parts of Gangwon-do, and ranged from north to south of the province along the Baekdudaegan Mountains, whereas poorly detectable areas ranged along the north to the south in the middle parts of the province. Conclusions: Our suitability model, based on the GPS coordinates of ASFV-infected carcasses, identifies potential habitats where ASFV-infected carcasses are likely to be found and ponential routes where ASFV is likely to spread. Among ASF-free areas, the areas with high suitability predicted in this study should be given priority as survey areas to find ASFV-infected carcasses and hunting areas to reduce wild boar populations.

국내 자생 구과식물의 분포 및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Native Conifers in Korea)

  • 양종철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
    • /
    • 2020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 인해 지리적 분포가 한정적인 한반도 구과식물들은 점점 서식지 내 생육에 위협을 받고 있다. 이러한 구과식물의 지속이용가능한 보전을 위해서는 각 종별 형질 특성 및 분포, 생육정보 등의 기초정보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구과식물(Pinidae, Conifers)은 전 세계적으로 나자식물(Gymnosperms)의 3/5정도인 630여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arjon, 2008). 은행나무나 소철나무류 등 다른 나자식물과 비교하여 여러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진 구과(웅성, 자성 구과)를 형성하고, 잎은 대부분 바늘형으로 단순하며, 상록성인 특징 등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에 분포 및 식재되고 있는 나자식물 중 은행나무와 소철나무를 제외한 모든 나자식물이 구과식물에 속한다. 구과식물이 전 세계적으로 넓은 분포역을 갖지만, 종별로는 제한적인 분포를 갖는 것들이 많이 나타난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구과식물 대부분도 동북아시아에만 분포하는 종들이 대다수이다. 한반도 구과식물은 총 5과 12속 23종 5변종 총 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소나무과는 5속 12분류군으로 구상나무와 분비나무의 형태적 중복형질이 확인되었으며, 측백나무과는 3속 9분류군으로 눈향나무를 변종에서 종 수준으로 적용하였고, 어청도에서 해변노간주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개비자나무과는 1속 3분류군으로 수형에 따라 큰개비자나무, 눈개비자나무, 개비자나무로 구분하였다. 주목과는 비자나무속을 포함하여 2속 3분류군으로 설악눈주목에 대한 세부적인 분류학적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나한송과는 1속 1분류군으로 신안군 가거도에서 나한송의 자생지를 확인하였다. 구상나무와 분비나무의 형태적 구분형질이 모호함에 따라 집단별 유전정보 분석을 통한 계통지리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을 통해 구상나무는 빙하기에 북부지역의 조상종이 남하하여 분화되고, 후빙기에 중부지역까지 분포확장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백두대간 조침령-신배령 구간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의 군락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forest in Jochimryeong to Shinbaeryeong of the Baekdudaegan)

  • 이하영;김혜진;신학섭;한상학;고승연;송주현;이중효;장경환;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339-352
    • /
    • 2014
  • 백두대간 조침령-신배령 구간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2012년 4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영구조사구($100m{\times}100m$)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총 50개소의 산림식생조사 자료를 토대로 Z-M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식생유형 분류를 수행하였던바, 최상위 수준에서 신갈나무군락군이 분류되었으며, 군락단위에서는 물푸레나무군락과 까치박달군락으로 세분되었다. 물푸레나무군락은 군단위에서 소나무군과 가래나무군으로 나누어지며, 소나무군은 다시 회나무소군과 머루소군으로 분류되었고, 까치박달군락은 시닥나무군과 사스래나무군으로 각각 세분되어, 총 5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식생단위별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 소나무림에서 소나무와 신갈나무의 중요치가 2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소나무가 신갈나무보다 상대피도가 50%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간연관 분석결과 크게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이는 식생단위의 식별종 및 표징종과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소나무림의 흉고직경급별 개체 분포에서 중간직경급에서 개체수가 가장 많은 정규분포를 나타낸 소나무와 이를 제외한 다른 수종은 직경이 커질수록 개체수가 감소하는 역 J자형의 분포유형을 나타내어 소나무림에서 신갈나무림으로 교체될 가능성이 크다 판단된다. 반면 신갈나무림에서는 신갈나무를 포함한 다른 수종 모두 역 J자형의 분포유형을 나타내어 신갈나무림은 당분간 안정된 상태로 지속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설악산 상록침엽수림의 고도별 종조성 및 치수 밀도 변화 (Species Composition Dynamics and Seedling Density Along Altitudinal Gradients in Coniferous Forests of Seorak Mountain)

  • 김지동;변성엽;송주현;채승범;김호진;이정은;윤이슬;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2호
    • /
    • pp.115-123
    • /
    • 2020
  • 식생의 수직적 분포는 고도구배에 따라 구분할 수 있으며, 수종의 분포패턴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상록침엽수림의 고도별 분포 변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식생구조, 고도에 따른 종조성, 치수 밀도와 고도에 따른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중요치 분석 결과, 식생구조는 분비나무(12.2), 잣나무(10.86), 시닥나무(8.11) 등의 혼효림 구조로 나타났다. 고도에 따른 종조성 결과로, 분비나무와 두루미꽃은 해발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중요치가 함께 증가하였다. 1,400 m에서 1,600 m 구간 사이에서 미역줄나무의 출현은 숲 틈의 발생이 빈번함을 알 수 있었다. 종다양성지수는 1,400-1,500 m 구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위에 숲 틈 발생의 당위성을 반영해주는 결과로 적절하였다. 상록침엽수의 치수밀도 변화는 2년 동안 분비나무가 402 ± 5.4 ha-1에서 528 ± 11.6 ha-1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증가하였고, 잣나무는 57 ± 1.3 ha-1에서 56 ± 1.6 ha-1으로 감소하였다. 해발고도별 치수밀도 변화는 1,500-1,600 m에서 분비나무와 잣나무 모두 대폭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치수의 증가나 감소 경향이 mast seeding 해를 파악해야 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설악산의 상록침엽수종 개체군뿐만 아니라 치수의 생존 및 사망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본 연구결과가 활용되길 기대해본다.

경상북도 산림지역의 토양 환경이 호기성 토양 세균의 다양성과 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Environment on Diversity and Population of Aerobic Soil Bacteria from Baekdudaegan Mountain Forests in Gyeongsangbuk-do, Korea)

  • 박출영;이선근;김지홍;이상용;이종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501-508
    • /
    • 2012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 문경시 및 상주시에 위치한 백두대간 산림지역에서 토양 시료를 채취하여 도말 평판법으로 세균을 분리 배양하고 DNA추출 및 염기배열 분석에 의하여 동정하여 지역별 토양 세균의 다양성을 비교하고, 토양환경이 토양 세균의 다양성과 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역별 세균 밀도는 봉화군에서 $5.1{\times}10^5cfu/g$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문경시에서 $1.9{\times}10^5cfu/g$, 상주시에서 $1.1{\times}10^5cfu/g$ 순으로 조사되었다. 토양 깊이별로 는 모든 지역의 시료에서 표토층에서 밀도가 가장 높았고 깊어질수록 밀도가 감소하였다. 각 지역 site별로 토양 세균의 밀도를 비교하였을 때, 고도, A층위의 깊이, 토양 3상 중 액상, 수분함량 및 용적밀도가 높을수록 세균의 밀도는 증가하였다. 토양 세균을 동정한 결과, 봉화군에서는 8속, 10종의 268개 균주가, 문경시에서는 9속, 15종의 134개 균주가, 상주시에서는 2속, 5종의 44개 균주가 동정되었다. 봉화군 및 문경시의 우점종은 Bacillus weihenstephanensis (36%, 40%)였으며, 상주시의 우점종은 Bacillus cereus(39%)로 확인되었다. 각 지역별 다양도, 균등도 및 우점도 지수는 봉화군의 경우 각각 6.30, 2.04, 0.59이고, 문경시는 각각 9.09, 2.94, 0.51이었으며, 상주시는 4.55, 2.34, 0.71이었다. 지역별 토양 세균 군집구조의 안정성과 토양환경과의 유의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 배수상태 및 석량 함량이 높을수록 토양세균의 다양도 및 균등도 지수는 증가하였고, 우점도 지수는 감소하였다.

한국의 묵논에서 멸종위기식물의 복원생태학적 연구 및 서식지 관리방안 (Study on Ecological Restoration of Endangered Species in Abandoned Paddy of Korea and Management Plan for its Habitat)

  • 이수인;이응필;홍용식;김의주;이승연;박재훈;장래하;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1-91
    • /
    • 2020
  • 묵논을 생태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논의 특성을 고려하여 생활형이 다른 멸종위기식물 9종의 현지외보전 대상지로서의 잠재력을 확인하였다. 한국의 전통적인 논의 구성요소인 둠벙을 조성하기 위해 묵논의 일부를 변형하여 수분 환경을 다르게 하였다. 묵논에 각 식물들의 유성생식체(seed, sapling)와 무성생식체를 이식하여 1년간 생존률과 식물계절학 반응을 관찰하였고 그 후 2년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묵논에 도입이 가능한 수생식물은 4 분류군 (가시연꽃, 삼백초, 전주물꼬리풀, 조름나물), 지중식물은 1 분류군 (큰바늘꽃), 반지중식물은 1 분류군 (독미나리) 이었다. 도입시 가시연꽃, 전주물꼬리풀, 조름나물은 둠벙에 도입해야하고, 삼백초, 큰바늘꽃, 독미나리는 논습지에 도입해야한다. 또한, 가시연꽃과 순채의 생육은 초본류에 의해 저해되었고 큰바늘꽃의 생식생장은 섭식자에 의해 저해되었다. 따라서 묵논에 도입한 멸종위기식물의 효율적인 정착을 돕기 위해서는 생육을 저해하는 초본류들의 제거와 섭식자의 관리가 필요하고, 논둑에 목본 또는 식생 매트를 형성하는 초본류를 식재하여 둑의 붕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묵논을 생태적으로 활용할 때 생물다양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둠벙을 조성하여 수분환경을 다양화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